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좁쌀봉동 채비시 좁쌀과 바늘사이의 간격언 어떻게 쓰시나요?

밥만주다오지요 IP : cb60e560bfa57c3 날짜 : 2010-01-25 21:42 조회 : 7931 본문+댓글추천 : 0

군계일학 좁쌀 봉돌(바늘과 좁쌀 사이가 2.5~3cm정도)을 쓰는데요.

잉어 낚시하며 입질이 없을때 채비에 불안감이 엄습하네요.

보통 좁쌀과 바늘사이의 간격은 어느정도 잡으시나요?

완전 바닥채비에서는 5-7cm로 잡고 올림낚시를 합니다.

잉어낚시에서는 군계일한 좁쌀 봉돌이 영 아닌거 같아서요....
추천 0

1등! 6시내고환 10-01-25 22:24 IP : fa13b120ae87ba4
전 5cm를 사용합니다
짧으면 떡밥달때 힘듭니다.
추천 0

2등! savatage 10-01-26 01:13 IP : 1462653b8181d56
저는 잉어낚시(발갱이급 말고 대구리만 있는곳)에서는 좁쌀채비가 그닥이더군요

4호이하 저부력찌는 그냥 원봉돌로, 그이상은 분할봉돌을 쓰는편입니다
추천 0

3등! 대주면사 10-01-26 07:23 IP : 6802ba2a50df954
군계일학이 말한 3cm는 사각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4~5cm가 적당하다고 보겠고요.

자신에 채비에 믿음이 없으면 아무리 좋다는 채비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생각에 낚시에는 정석이란 없습니다. 목줄길이도 자신의 생각대로 조절하시고 그 것에 믿음이 가시면 자신만의 채비가 되는 것 아닐까요?
추천 0

라잇나우 10-01-26 10:13 IP : ee3f18d048a2dca
잉어낚시할때는 그냥 원봉돌 채비가 낫습니다.
추천 0

붕찾사 10-01-26 10:27 IP : 1b8a9b4961e094d
굳이 잉어낚시하는데 좁쌀채비를 하실필요까지.
라잇나우님처럼 본봉돌 1개로 채비하는게 보통아닐까요?
추천 0

황금토종붕어 10-01-26 10:32 IP : 1b8a9b4961e094d
좁쌀 봉돌 채비 그리 만만하지 않습니다.
제 견해로는 사선입수에 대한 불안감과 목줄 길이에 따른 사각지대 발생이 항상 마음에 걸리죠
참고로 저는 3~5센티 사이에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좁쌀 봉돌채비에 대해서 한말씀 드리자면
제가 좁쌀봉돌채비로 많이 써보았습니다.
실제로 운용상에 많은 의구심이 듭니다.

목줄의 재질에 따라 입질 패턴이 달라지고, 목줄의 길이에 따라 입질 패턴이 달라집니다.
또한 사선입수에 대한 불안감도 작용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저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우선 좁쌀봉돌 채비를 하실때는 반드시 바늘은 제거하시고 찌맞춤을 하시기 바랍니다.
군계일학에서는 바늘을 달고 찌맞춤을 한다고 하지만 제가 경험한 바로는 절대로 바늘은 달고
찌맞춤을 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바늘을 달고 찌를 맞추는 것은 군계일학찌의 특성일 수도 있지만
일반 떡밥찌로 좁쌀봉돌 채비를 하실때는 절대 바늘은 달고 하시면 안됩니다.

우선 본 봉돌이나 편납으로 찌톱이 표면에 다 들어 날때까지 봉돌의 무게를 맞추신 후
봉돌에 줄을 달고 좁쌀 가장 작은 사이즈로 달면 찌톱을 충분히 내립니다.
그런 후 다시 케미고무가 물 밖으로 나오게 본봉돌의 무게를 조절 하신 후 바늘을 다시면 됩니다.
단, 수심을 먼저 맞추신 다음에 찌맞춤을 하시면 좀더 믿음이 갑니다.
이렇게 해서 찌맞춤이 끝나면 찌톱을 수면에 두마디 정도 나오게 맞추시면 됩니다.
단, 반드시 좁쌀 봉돌은 바닥에 닿아야 한다는것이 절대적인 조건입니다. 위와 같이 하시면 그렇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문제 합사줄로 목줄을 쓰느냐 아니면 모노줄을 쓰느냐가 관건인데
이건 낚시터의 환경에 따라 조절 하셔야 합니다. 바닥이 깨끗하다면 합사줄도 상관은 없으나
바닥에서 수초나 이런게 걸려 나오면 모노줄을 사용하십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사선 입수가 되었을시에는 예민한 양어장 붕어에서는 입질을 보기 어렵습니다. 노지에서 토종을 잡을때는 상관이 없겠지만 따라서 낚시대를 투척하고 모노줄을 물속에 입수시켜 줌으로써 어느정도 사선 입수는 피할 수 있습니다.
만일 위와 같이 채비를 했는데도 찌만 건드리고 시원한 찌올림이 없을시에는 외바늘로 가시는 것이 효과 적일 수 있습니다.

이때 목줄에서 좁쌀 봉돌과의 유격문제가 발생하는데 잘 생각해보면 좁쌀봉돌채비는 예민한 채비입니다. 따라서 좁쌀의 무게만 깨지면 찌가 올라 옵니다. 따라써 고기가 이물감을 최소화 하려고 하는 채비임으로 바늘과 좁쌀 봉돌의 유격은 5센티 이하로 주셔도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위의 모든 사항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습니다.
그점 양해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3

하나유통할인마트 10-01-26 10:44 IP : c7516e0b5998cfc
좁살봉돌 쉬워보이지만 의외로 실패를 보신분들많습니다.
물론 저도 좁살봉돌을 습득하는데 한참의 시간이 지나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설명을 하려면 너무 길기에
질문에대한 답변만 말씀드리면.
저의 기준입니다.
물론 정답일수는 없습니다.
좁살과 바늘까지거리는 대략 3.5~5정도로 합니다.
입질이약았다고 생각이들면 5정도 입질이 그래도 나름 깔끔하다면 3.5정도짧게 합니다.
그이상 짧으면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떡밥다는데도 번거로움이있습니다.
좁살과 본봉돌사이는 요즘같이 민감하고 예민한시기에는 15cm~18cm정도를 사용하고
활성도가 좋은시기에는 8~12cm정도 사용합니다....
추천 0

어린붕애 10-01-26 12:40 IP : 769543aab0da85c
저는 그냥 묶여져 있는 것을 사용합니다
목줄길이에 따라 입질의 차이는 없는것 같아서요
추천 0

★투투★ 10-01-26 13:18 IP : 191bbf3492e477c
채비에 대한 믿음이 중요합니다..
본문에도 말씀하시길 "불안감이 엄습합니다"
좁살봉돌채비 만만치 않습니다
그러시면 단차를 주세요 2센티 정도
한쪽은 3센티 반대쪽은 5센티요..
여러채비 사용해 봤지만 원점으로 돌아 오더군요..
즐기는 낚시하시길..
추천 1

가족과낚시 10-01-26 22:06 IP : 2e3b343264c3a82
제가 가는 관리터가 잉어터인데 여기는 찌를 잘올려주는곳입니다 하지만 좁쌀로는 역시 빠는입질이 대부분입니다
3센치는 잉어먹이 흡입과정상 거의 90푸로가 빠는 입질이며 6센치 정도 하였을때 그나마 30푸로 올리는 입질이었습니다
savatage 님 말씀처럼 잉어는 좁쌀이나 편대 분납 효과 보다 확실히 조과를 원할려면 내림 아니면 원봉돌 바닥이 최고입니다
요주리 2호 부터 b3봉돌까지 확인한 결과이니 한번쯤 실험해보시고 안되면 바로 접는게 낳을것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