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수심 3m정도 수심에서 밑에 멈춤고무는 어느정도로 맞춰야될까요???

엘비란 IP : fe0aac678b521d5 날짜 : 2009-12-31 22:16 조회 : 4472 본문+댓글추천 : 0

저는 저수심에서는 밑에 찌멈춤고무를 캐미가 봉돌에 닺게끔 맞춥니다....

근데 3미터정도 되는 수심에서 저렇게 맞추면 봉돌이 착수하면서 찌가 뒤로 밀려오면

찌가 받침대와 1자로 되지 않고 옆으로 가버립니다....

대신 깊은 수심에서 사선입수는 어느정도 예방이 될거라 생각듭니다....

회원님들은 깊은 수심에서 밑에 멈춤고무를 위에 수심에 맞춘 찌멈춤고무와 어느정도 간격을 두시는지요???

그리고 위에 멈춤고무와 너무 딱 붙여 놓으면 혹시 사선입수가 일어나지는 않을까요???

찌부력은 5~7호정도를 씁니다...

둔한 초보가 소중한 답변 기다립니다 ㅎㅎ;;
추천 0

1등! 봄을기다리며 09-12-31 22:45 IP : 177e32c6c9b8d6a
멈춤고무의 위치와 사선 입수는 앞치기가 안정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서는 큰 영향이 없는것 같습니다.
오히려 찌맞춤이 더 영향이 크지 않나 싶은데요...
예를들어 멈춤고무가 밑에 내려와 있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가벼운 찌맞춤일 경우 사선입수의 확률은 줄어 들수 있지요...
깊은 수심일때 멈춤고무가 봉돌에 가까우면 찌가 주욱 앞으로 딸려 오다가 내려 앉는 모양이 생기는데
이걸 싫어 하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고요... 앞치기가 정확하다는 전제하에서라면 이것 때문에 낚시대와의 일직선 정렬이
되지 않는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기분상 그럴것 같긴 하나 실제 정확한 위치에 투척된 경우 물흐름이 없다면 정위치에 찌가
서게 되는걸 확인 하실수 있을겁니다.
너무 예민하게 반응 하실 필요 없이 앞치기 하시기에 편한 위치에 두고 사용하심이 어떨런지요...
추천 1

2등! 엉터리꾼 09-12-31 23:35 IP : 5f90c49f826d452
모 낚시 월간지에서 채비의 직립에 대해 실내 수영장에서 실험한 일이 있었습니다.
수심 2m 정도가 되면 고정채비던, 유동채비던 거의 채비가 수직에 가까운 직립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저는 수심에 상관 없이 봉돌과 케미고무 끝이 10cm 정도 떨어지게 찌멈춤 고무를 고정합니다.
장대로 수심 깊은 곳에 던질 때, 가끔 착지오차가 있어 조금 옆으로 채비가 떨어지지만, 상관 없이 그냥 둡니다.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찌의 위치를 더 올리는 반고정 상태로 투척을 하게 되면 바람의 영향을 더 받아 착지오차가 더 생기지 않을까요? ^^*
추천 0

3등! 엘비란 10-01-01 01:01 IP : fe0aac678b521d5
저도 앞치기가 틀어져서 그러겠지하고 몇번이고 봉돌착수 찌착수를 확인해봣는데 거의 일직선이 되드라구요....

근데 찌가 앞으로 끌려오다보면 꼭 받침대 기준 옆으로 20~30정도 틀어지드라구요....

그래서 찌에 유동을 너무길게 2~3m를 주니 그런가 하고 생각해봤습니다... 혹시 모노줄을 써서 그런건 아니겠죠???

떡밥할때 쓰는 원줄 그대로 했었는데...;; 저는 물속에서 안보이는 사선입수보다 찌가 옆으로 틀어져 있는게 보이면

무지 신경쓰여 꼭 다시 던지곤 합니다 ㅜ.ㅜ
추천 0

대주면사 10-01-01 10:49 IP : 6802ba2a50df954
유동간격을 말씀하시는데요.....상관없습니다.

유동간격을 벌리면 사용하는데는 여러 잇점이 있지만 찌가 입수할 때에 질질거림이 보기 싫지요

유동간격을 좁게 사용하시면 찌맞춤 시는 정확합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불편한 점이 많고요

저 같은 경우 주간에는 고정찌 형태로 사용하다가 밤이 되면 유동찌 형태로 사용합니다.
추천 0

블루길4짜 10-01-01 14:11 IP : 8da144862992510
30Cm 가 가장 적당합니다^^
치수를 정확히 하기라 힘드니가 찌 길이만큼 내려 주시면 됩니다.
추천 1

블루길4짜 10-01-01 17:14 IP : 8da144862992510
아 글구 제가 외 30정도가 가장 적당하다라고 했냐면 집어제 배합시 저같은 경우는 집어제를 달고 투척을해서
집어제가 바닥에 안착되기까지 반에 반정도는 풀리게 해서 집어를 시킵니다.
그러니가 바닥에 어느정도 집어제가 깔려있어야 한다는 뜻이겠죠.
물속 바닥에 봉돌이 안착 되기 까지 어느정도 집어제가 중간에서 풀려야 집어 효과도 배로 보실수 입습니다.
하지만 집어제를 어떻게 배합을 하시는지 모르지만 찌멈춤고무를 너무 많이 내려놓고 하시게 되면 봉돌이 안착이 되기도 전에
이미 집어제가 다 풀리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찌멈춤고무를 많이 내리면 내릴수록 봉돌이 물속 상층서부터 바닥에 닫을 때까지의 머무는 시간이 많아집니다.
이점 유위하시되 어디까지나 집어제 배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틀려집니다.
추천 0

태공준 10-01-01 19:13 IP : 7952de5dfbd210f
원줄 정리가 원인이 될수도 있다 여겨집니다.

바람이나 물의 흐름 혹은 체비투척 후 줄정리가 되지않아 줄과 물의 저향력에 의해 찌가 바로 당겨오지않고
틀어진 혹은 틀어질려하는 줄쪽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체비 투척후 낚시대를 앞 받침대에 걸치고 손잡이를 눈높이까지 둘어주신 후 찌가 내려갈때
낚시대를 뒷받침대에 내려노으시면 원줄의 좌우 정렬이 조아지고 원줄이 빠르게 가라않기 때문에
찌가 바로 서는대 도움을 주고, 이경우 고정채비의 경우에도 투척 후 사선입수를 거의 없애줍니다.

내림이낚시 하시는 분들의 앞치기 모습을 상상하시면 이해가 뒬 듯 합니다.

이상 저의 경험에 의한 미천한 의견이었습니다.
추천 0

정든고향 10-01-04 12:38 IP : af7cc21b353d6ea
찌길이보다 약 10센티정도 위로 올려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음다 넘 내려도 봉돌과 찌의 엉킴이 생기고 해서여`~ 봉돌무게가 어느정도 영향을 줄수있다고 볼수있어나 정확한 앞치가전제된다면 별 무리없이 ~~~~
추천 0

진개미 10-01-04 15:12 IP : 308107ab70ac9f0
1. 수초가에서 낚시할때는 거의 봉돌있는데 까지 내려서 사용해야 수초에 바아짝 붙일수 가 있습니다...남양만에서

2. 보통때는 수심에 관계없이 간격은 1cm 미만을 줍니다...앞치기할때 좋습니다.
-ㅡ 간격이 넓으면,,,앞치기가 잘 안되더군요.....
추천 0

카리없수마 10-01-05 14:19 IP : 07c44e6d3083ce3
질질 끌려오는 모습이 별로 보기 안좋아 잘 쓰지 않습니다..

2m이상 깊은 수심에서는 약 2~30cm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유동 찌고무의 원줄통과 구멍이 상당히 부드럽게 흐르는 것을 구매하시는 게 좋겠죠..

시증에는 잘 안 움직인 것도 있더라구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