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좁쌀봉돌채비 찌올림에 대해서....

macchiato IP : a2faa9727311c4c 날짜 : 2009-04-01 00:19 조회 : 6907 본문+댓글추천 : 0

좁살봉돌 채비쓸때요...
바늘은 군계일학에서 좁쌀채비묶음바늘 사용했습니다.
찌는 나루예걸로 유동채비인데요....
일반 바늘 수평맞춤과 좁쌀봉돌맞춤으로 낚시를 해봤는데요....
찌는 저부력찌(고리추2호내외)사용했구요...
일반바늘일시 입질이 옆으로 끄는 입질까지 나타나고 좀 천천히올라 타이밍을 맞추긴하는데 찌를 저부력으로 ㅓ서 그런가....
다대편성시 다른대 떡밥이라도 갈아주려고 하면 입질이 약해서 그런지 한마디 찔끔 올리고 멈칫하면서 원래제자리로....
초보조사가 생각하기에는 목줄과 바늘사이의 좁쌀봉돌로 인한 이물감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무자게 짜증나더군요....
혹시나해서 고리추기준 6호정도되는 찌를 사용해봐도 마찬가지....
낚시를 양어장 미세입질 로 배우질 않아서리.....
이런 한마디 깜박입질시 챔질하려면 무조건 대 2대내외로 항상 대기중이여야할듯 싶네요....
이렇게 낚시는 무지 스트레스 받을거 같다는...
도통 모르겠네요...
걍 피래미 입질이라 생각하며 스스로 위안삼고 있는데...
참고로 찌맞춤은 군계일학 동영상 대로 했구요...
낚시한곳 수심은 2.5미터에서 3미터정도 입니다.
결국 꽝치고 왔네요....
이런 참패는 없었는데....
고수님들의 조언부탁합니다.
추천 0

1등! 1a1a1a 09-04-01 00:29 IP : f1949c771a6bb39
저는 하우스에서 1호 미만 봉돌 찌를 사용하다 낭패를 보았습니다.

그후 5호 봉돌 찌를 사용했는데 입질이 아주 좋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1호미만 찌와 5호 찌를 사용했을때 같은 찌맞춤일시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것 같습니다.

고수님께 문의후 패쑤!!!
추천 0

2등! whoon07 09-04-01 09:00 IP : 6b64583a9eb70dd
좁쌀봉돌 채비는 찌 부력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낚시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수심또는 낚싯대 길이에 따라 찌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좁쌀 봉돌채비는 찌 맞춤법을 이해하지 못하면 일반 단봉채비보다 더 입질을 보기 힘들게 됩니다. 먼저 어떤찌던지
바늘없이 윗봉돌(본봉돌)로 찌톱의 최 하단에 찌 맞춤을 합니다(찌몸체가 조금 보일듯하면 됨) 바늘을 달고 맞추면 사람마다 바늘이 다르기 때문에 오차가 생기게 되어 아예 처음부터 바늘을 제외하고 찌맞춤을 하는 편이 났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찌톱 상단 1마디 부분까지는 좁쌀봉돌로 맞춥니다. 이때 1마디를 내놓는 이유는 찌가 오랜시간 물에 적응하면
1마디 정도 오차가 생길 수 있기에 미리 그렇게 맞추고 난 후 수심도 찌톱 1마디를 올려 놓고 맞춥니다. 그 후 바늘을 달고
낚시하면 됩니다. 같은 곳에서 고기를 몇 마리 잡으면 수심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고기의 저항으로 낚시하는 곳이 파이게
됩니다. 뻘흙일 수록 더 심합니다. 이때는 수시로 수심을 측정하며 낚시 하시면 됩니다(이는 내림 바닥 공통된 현상임)
추천 0

3등! 포항인 09-04-01 23:43 IP : bc0167de7b38eda
바닥낚시도 내림처럼 저부력찌(2-3푼)와 0.6-1호 정도의 원줄이면 내림못지않은 조과를 올릴수있습니다

수온이 떨어져 있을땐 일반적인 채비로는 입질을 파학 하기가 힘들더군요 위와 같은 방법을 쓰게되면

찌톱이 2-3목정도 올라오는 입질을 보게 됩니다 그나마 저수온기에 어느정도 조과를 볼수있는 방법중 하나라 봅니다

아니면 내림 낚시를 하든지 해야겠죠^^
추천 0

투명인간 09-04-02 12:51 IP : 256939201a32370
찌가 5호든 1호든 봉돌로 찌맞춤하면 붕어가 봉돌을 들어올리는데 들어가는 힘은 같은것 아닌가요?

찌가 5호면 봉돌을 5호를 달고 낚시줄 끝에 아주작은 도래를 단후 도래 바로 위에 조개봉돌을 작은것을
빠지지만 않게 단후
바늘 안달고 케미 꽂은 상태에서 고무로된 케미 꽂이와 찌톱이 만나는 부분이 수면과 일치 하도록 맞춤니다
(처음엔 니퍼로 깍고 나중엔 칼이나 손톱가는걸로 갈아서 --- 한 30분 걸림)

그리고 수심을 케미꽂이와 찌톱이 만나는 부분이 수면에서 1cm 정도 나오게 한후
도래 위에 있던 봉돌을 떼어내어 바늘 달고(보통 한바늘 ) 목줄에 고정 합니다 그러면 조개 봉돌이 바닥에 닺게 됩니다
(상황에 따라 목줄을 짧게도 하고 길게도 하고요--- 향어가 많으면 짧게 붕어가 많으면 조금 길게 )

1호찌는없어서 모르 겠고 2호정도 되는 찌나 1M찌리 8호 정도 먹는 찌나 찌올림은 비슷 하더라고요
추천 0

아띠 09-04-02 15:21 IP : 688e9aaf754dd19
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macchiato님께서 쓰시는 원줄 몇호를 쓰시는 지요....

저부력 찌로에 혹시 원줄 3호이상으로 갈시 그런 현상이 있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제 경험상 드리는 말씀 입니다.
저부력찌 사용시 원줄이 너무 굵으면, 수심이 낮은 곳은 별로 차이가 없을수 있지만 수심 2.5M 이상될시 찌올림에 원줄이 방해가 될수 있는것 같았습니다.
추천 0

무인부달 09-04-02 16:46 IP : af78c4f85e4ad6b
관리형저수지인지 조그만 양어장인지 궁금하네요..
관리형저수지에선 낮에 피라미입질이 틀림없을 꺼구요..
양어장에서 그런 입질이라면 현장에서 좀더 예민하게 찌맞춤을 하시고 원줄을 가늘게 쓰셔야 할것 같네요^^
그리고 당연 한두대로 바짝긴장하심이 당연하구요.
추천 0

산적꼬봉 09-04-02 18:34 IP : 6497f47b1089f1d
좁쌀봉돌 채비를 처음으로 접하고, 이제 열심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조통에서 맞춤을 하면서 제 나름대로 정리한 이론 입니다.
좁쌀봉돌채비의 맞춤을 공식으로 표기하면
[찌의 부력 = (주 봉돌의 침력 + 캐미의 침력 + 원줄의 침력 + 좁쌀봉돌의 침력 + 바늘의 침력)]
군계일학에서도 수조 찌 맞춤후 현장에서 찌 맞춤을 다시 하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원줄의 정확한 무게 및 물의 점성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더군요.
붕어가 미끼를 물고 좁쌀봉돌을 올리면 찌는 바로 반응을 합니다.
즉 좁쌀 봉돌을 빼고 물 밖에 나타나는 찌의 높이에 좁쌀봉돌에서 바늘까지의 길이를 빼면 붕어가 미끼를 물고 들어 올리는 높이가 됩니다. 바닥이 평평하지 않은곳에서는 수면위로 나타나는 찌의 높이가 다릅니다. 그것은 좁쌀봉돌이 바닥에 닿으면 찌는 하강을 멈추기 때문이지요.
추천 0

찌불야성 09-04-03 23:33 IP : 737305fbb82f2b0
만약 님께서 정석대로 찌맞춤을 하셨다면 잔챙이 입질입니다
하지만 찌맞춤의 오류라면 좁쌀봉돌이 바닥에 안착이 되지 않은상태일겁니다
좁살채비는 오로지 현장 찌맞춤이 되어야 합니다 수심에 따른 영향이 다소 큽니다
절대로 포인트의 수심에서 찌맞춤을 하십시요 아마도 저수심과 고수심의 경우 좁쌀 한홋수는 차이가 발생될거라봅니다
둘째로 바늘의 크기를 간과해선 안됩니다 가령 6호바늘을 달고 케미의 2/1을 맞추는 식으로 8호바늘이상을 달고
동일하게 찌맞춤을 하신다면 좁쌀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바늘의 무게가 좁쌀의 무게를 상쇄시키기 때문이죠 바늘이 커지면 좀더 무겁게 찌맞춤을 해야합니다
7호바늘이면 2/1. 8호면 3분에 1만 노출 , 9호이상이면 수면과 일치, 이런식으로 응용을 해야합니다
아님 아예바늘을 제거하시고 찌맞춤을 하시던가요
그리고 현장에서 찌맞춤후(위에사항을 염두했울경우)에는 자신의 채비에 믿음을 가지시고 낚시를 하십시요
포인트에 투척시 한번에 쭉 가라앉는다면 무거운 상태고요 너무 천천히 가라앉다 멈추면 좁쌀봉돌의 헛점에 노출되신겁니다
이상적인 찌의 안착형태는 일단 미끼가 달린 바늘이 닿을때까지 서서히 가라앉습니다
그다음 바늘과 좁쌀의 목줄길이만큼 1분정도의 시간차를 두고 2단입수의 형태를 보이는것이 맞습니다
그러니까 찌의 4목내지 3목정도에서 멈추는가 싶다가 조금있으면 1목내지 2목까지 서서히 가라앉습니다
던지고 나서 보기흉하게 뻘쭘히 나온 찌가 어느샌가 1목내지 2목만큼만 나와있을겁니다
내놓는 목수는 님이 편하실때로 하심이.... 명심할것은 1목정도는 필히 내놓고 사용하신다는거 아시죠 ....
제사견일뿐입니다 참고로만 님만의 좁쌀채비의 노하우가 생기실겁니다
추천 0

시즌2 09-04-07 19:53 IP : fea9c06a99dbcae
내 경우는 좀 고부력으로 사용합니다.
어차피 좁쌀 위로는 찌로 보는 겁니다.
추천 0

수목원™ 09-04-07 22:27 IP : d1ca5e119d3e55d
아띠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찌를 저부력으로 쓰신다면
원줄도 1호 1.2호 이렇게 가는줄을 사용하셔야 할듯 하네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좁쌀채비가 찌마다 같지는 않더군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