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빨채비가 궁금합니다..

별을세다 IP : eda2108f97b52e7 날짜 : 2010-02-03 00:09 조회 : 13819 본문+댓글추천 : 0

검색해 보니 중통낚시,외통낚시라고
채비는 대충 이해가 가는데요.
찌춤과 수심체크하는 방법이 없네요

이 채비를 아시는분 찌맞춤과
수심체크방법 좀 알려주세요~

*그리고,중통낚시가 내림낚시를 능가한다던데
과연 사실인가요?..
추천 0

1등! 뻐꾸통 10-02-03 09:23 IP : 8a1b662d47f379f
제가아는 걸로는 빨채비는 찌맞춤을 따로 할필요없는 채비더라고요.

어차피 추와 찌는 직공이 되는게 아니고 사선을 주는게 이채비의 특징이기때문이죠.

원줄연결하고 멈춤스토퍼1-2개 - 찌고무 - 멈춤스토퍼 1-2개 - 멈춤스토퍼1개 - 자유 유동추 - 멈춤 스토퍼 2개 - 롤링 스위벨1개

바늘다시고 찌맞춤필요없고 풀스윙하셔서 낚시대를 뒷꽂이에 꽂기전에 찌가 5마디 이상서면 그때 천천히 낚시대를 당기셔서

2마디 정도에 뒷꽂이에 꽂아놓으시고 낚시하시다가 일질이 약할때에는 1-2마디 빨면 당겨보시고 아니면 찌가 없어(?)지면

당기는게 가장좋은 챔질 방법이고요..

수심체크는 풀스윙하시고 찌가 5-6마디 설때까지(뒷꽂이에 낚시대를 바로 안착하시지 마시고 찌가 서는걸다확인후)

맞추시면 수심체크가 끝날것같습니다..(일단 올림체비 낚시보다는 수심을 많이 먹을겁니다...사선이 심하게 지니까요..)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이게 정확한지 모르겠네요..^^;;;)
추천 0

2등! 응삼이 10-02-03 09:31 IP : 24a24348085e698
저두 작년에 유료낚시터에서 꼬리표 한번 건져 보겠다고 빨채비를 했었어요~

근데 빨채비 비츄입니다!너무 피곤한 낚시 스타일이구요~어떻게보면 내림하고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찌가 쑥빨고 들어갈때 젖먹던 힘까지 챔질해야하고! 한눈판 사이 낚시대 탁~하면서 고기한테 뺏기기 다반사구요...

빨채비도 종류가 엄청 많습니다~설명하기가 좀 어렵네요!출조하게되면 한번 설명만해도 쉽게 이해가 되는데....

빨채비 왠만하면 안하시는게 좋아요! 지나가는 고기 옆구리, 아가미, 꼬리, 지느러미 등등 다칠수가 있습니다...

사선형으로 던져서 지나가는 고기 잡아내는건데....바늘도 엄청큰 향어바늘12호 이런거 써야되고.....

그냥 좁살봉돌을 사용하시는편이.....^^

지금은 전 빨채비 안하고 있습니다...고기한테도 미안하고ㅠㅠ불쌍해요~

유료낚시터에서 고기 죽는거 거의 빨채비90% 미늘있는바늘10% 때문에 죽는다고 유료터사장님한테 얼핏 들었습니다!

위에분이 설명 잘해주셨네요~

빨채비 하실꺼면 뒷꽂이에 총알은 필수입니다....무차별적으로 낚시대 뺏깁니다...

안출하시구요^^
추천 0

3등! 지피지기 10-02-03 09:52 IP : 4edfa9a7b9d7582
답변이 아니라 죄송 합니다..

덕분에 저도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철산아저씨 10-02-03 10:15 IP : a430895ba329c51
물가에 앉아만 있어도 좋습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입질이 아주 지저분하고 예민할때 (좁쌀채비도 못들어올릴때) 중통채비를 예비로 하나 가지고 다닙니다

찌에서 부력을 다 죽이시고 (3목이던 4목이던 찌에 편납을감아원하는 목수에 일단 맞추시고) 훓치기가 아니니

바늘은 4호나 5호 바늘로 모노나 카본줄로 매시고요 (합사보다는 입질이 깔끔하게 바로표현됩니다)

수심체크는 유동봉돌이 바닥이니 미리 맞추어두었던 목수랑 일치하게 하시면 됩니다

입질시 정확하게 2-3마디가 끊어집니다

중통도 내림이나 마찬가지로 한대이상 못보니 낚시대를 손에쥐고 하시는게 편합니다

내림보다 조과가 낳다...

제가아는한 어떠한채비도 내림 고수분들 못따라갑니다

그냥 내림대로 폼만 잡으시는분들 말고요..

즐기는 낚시로 더욱 행복하시길..
추천 0

골드man 10-02-03 13:18 IP : 4a75444dcfb2500
간단히 한마디

이봉채비하시고 조절받침대를 사용하시면 초릿대를 수면에서 약10센티 미터띄워 놓으세요

초릿대끗이 수면에닿아도 챔질마시고 수면을 파고들어간다 생각되실때 챔질해보세요

아주 초보적인겁니다 실전입니다

참 찌는 사용하지마세요 앞치기하시고 떡밥이 바닥에 완전히 닿았다싶으면 낙시대를 살짝당겨놓으시구요

손잡이에 꼭 줄매어놓으세요

구체적한마디

잉어 향어종류는 (기타 f1종류나 잡종은) 입에넣었다 내뱃고 넣었다 내뱃고 합니다

그러다가 바늘끝이 입안에 걸리면 아차싶어 도망갑니다

먹었다 뱃거나 주위를 배회할라치면 초릿대끝이 움직이고 입에 바늘끝이 걸려 고개를 돌리는

그때서야 초릿끗이 수면에 쭉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있지요

두서없습니다만 이해하셨으리라 믿고
추천 0

savatage 10-02-03 23:26 IP : d6aa3c483cfa18d
저도 집중도가 떨어지는 시간에 한번씩 빨채비를 씁니다. 나름 재미있지만 오랜시간 하면 짜증이 살살 나고요...

내림낚시 능가는 무리입니다... 철산아저씨 말씀과 같습니다.
요즘 손맛터에서 너도나도 내림낚시를 이해도 못하고 기계적으로 하는 분들이 많아서 그런말이 나오는것 같은데
태생적으로 예민성에서 비교가 불가한 기법입니다
추천 1

돌사랑 10-02-04 10:19 IP : 83b4053e47953d1
빨채비는 요즘대회용으로 유료터 만들다보니 보통30대이하로 낚시대를 제한하고있습니다.발밑부터 사선으로 불속 지형이 시작되는데 낚시대 길이상 평평하게 시작되는 바닥보다는 미끼가 경사부위에 걸치게 되는데 잉어가 밑에서 먹이를 흡입하게 되면 찌가 물속으로 빨려들어갑니다.요런 특성을 살린 찌보기 입니다.바닥이 일반 평평한 지역이 있는 낚시터는 일반잉어 채비로 하시면 환상의 찌올림을 보여줍니다.유료터 물빼고 공사하는곳 보시면 아실겁니다.
추천 0

별을세다 10-02-04 16:57 IP : eda2108f97b52e7
답변 주신 님들 감사합니다~
호기심이 발동했으니,,,
이번주말에 한번 해보고
훌치기식으로 나온다면
접을께요^^
추천 0

spini 10-02-05 10:59 IP : 7481560ee9562a3
완전초보지만...지도 요즘 요 채비로 하고있어서리..한마디만...^^*
요즘 황구지천같이(용수교) 유속 심한곳에서 사용하고있는데요..처음에는 중통(바다낚시용)으로 사용하다가 외통봉돌(신태양제품)로 사용하니 입질이 훨씬 시원하게 빨리네용...요래서 빨채비인가??ㅋㅋ훌치기..훌치기 하시는데,요 채비로 5번정도 출조해봤는데 몸통걸리는경우는 한번도 없었거는요..가끔 입옆으로 걸리긴하지만(거의다 정훅임당) 원줄은 모노2호,목줄은1.5호,바늘은 금호조침5호(미늘제거후),찌는 나루예 저부력(백사??)찌,목줄은 아랫줄30,윗줄20(단차10), 입질잦을때는 목줄 각10씩줄이구여
찌맞춤은 아예하지않습니다.(완전 사선입수죠...원 수심보다 2배는 더 나오네요) 미끼는 글루텐/어분+글루텐쓰구여(말랑말랑)
요번주는 찌부력을 더줄려볼라구 찌다리에 실납감아서(찌목만나오게끔) 맞춘후 시험출조해요(요래하면 붕어가 땡길때 이물감은 덜느낄꺼같아서요)....황구지함 오세요...^^*어르신덜 몇분 하시는거같던데요...그럼 2010 어복충만하시고^^*
추천 0

청산가인 10-02-05 16:19 IP : 835dfc6eaebd1f6
제가 옥수수내림에 빠져 있는데 또 다시 다른방법이 나오면 빨채비를 또 준비해야하나........ 씁쓸하군요.
추천 0

화왕산성 10-02-06 14:09 IP : f6543186e0ce85c
요즘 저수온기에 내림낚시가 안되면 중통낚시를 하곤 합니다.
중통낚시는 내림낚시 채비와 비슷하나 내림낚시는 바늘만 살짝 바닦에 닿아있고
중통낚시는 편납봉돌 약간 무겁게 사용하여 내림찌가 수면에서 서서히 내려갑니다.
단한가지 편납홀더가 원줄에서 유동이 되어야 한다는것,유동은 20정도 주며
편납봉돌이 바닦에 닿아있으므로 고기가 입질을 하면 쪽 빨아 찌가 물속으로
사라지는 형태랍니다.ㅣ
추천 0

개자라 10-02-07 04:04 IP : d42f14abfebea78
저는 요즘 하우스에서 빨채비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훌치기라는 오명을 벗기위해 내림채비 바늘 사이즈로 사용합니다. 4호나5호바늘
몸통걸려 나오는 건 어쩔 수 없지요(내림낚시도 몸통 나오는 건 마찬가지 입니다)
입질타이밍만 잘 잡으시면 정확히 입술로 걸려나옵니다

일단 집어력에서는 내림에 비해 월등합니다.(집어떡밥량의 차이)
대신 입질의 예민성에서는 내림에 비해 약간 둔하지요..(채비-라인,찌-의 차이)

저는 찌맞춤은 하고 사용 합니다.
저수온기의 예민한 입질을 위해,,찌부력을 잡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찌맞춤을 하지 않으면 채비를 끌어줄대 찌가 너무 넘실넘실 됩니다)
저는 찌( 길이80, 부력 3푼정도)3목정도에 맞춥니다(외통추 떼고)
외통추나 중통추는 찌 부력에 비해 무거운 것을 사용하지 않습니다.(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찌부력보다 약간 적은 푼수의 추가 입질이 좋습니다-그래도 전체적인 채비의 무게는 찌부력 이상이죠.찌부력 잡은 편납+외통/중통 추)

일단 채비세팅이 끝나면,, 채비를 최대한 멀리투척해 찌가 2/3정도 노출되게 수심을 잡습니다
그리고 목줄 길이정도 만큼 제 몸쪽으로 당겨줍니다.(이는 목줄을 바르게 펴주기 위함입니다)
이때도 입질 들어 옵니다..서서히 긴장하시면서 당겨주세요.
그 다음 찌는 4목이나 5목정도에 수심을 맞추고 본격적인 낚시를 시작합니다.
입질이 없을 때는 조금씩 조금씩 끌어주고요

올 겨울 하우스에서 빨낚시를 하면서 얻은 저의 작은 경헙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추천 1

별을세다 10-02-07 08:16 IP : eda2108f97b52e7
감사합니다~
어제 사용해본결과 입질은 놀랄만큼 많이 받았습니다.
옆에서 내림낚시 하시는분과 비교하면 2배이상은 더 받은거 같습니다.
(노지에서 하듯이 집어를 했거든요ㅋㅋ)
그런데 문제는 후킹이 안되네요ㅠ100%헛챔질
1마디~2마디 끊기면서 쏙 빨려 들어가는데 안되요..
목줄문제인거 같기도 하고,,내림낚시용 목줄이 없어서
바닥용목줄 10cm사용했거든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