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덧바늘중통낚시채비

여주화분 IP : 6e77afe555d0acf 날짜 : 2010-02-18 13:46 조회 : 23546 본문+댓글추천 : 0

덧바늘중통채비

안녕하세요. 이제 겨울이 가고 물낚시가 가능한 시기가 돌아 오네요.
벌써 부터 기대가 많이 되네요.

이 채비 법은 제가 요즘 사용하는 채비입니다.

이 채비는 유속이 심한 곳과 바닥이 뻘층이라 조과가 힘든 곳에서 특효를 보입니다.

그닥 깔끔하지 않은 채비도를 보시면 아주 간단합니다.

_ddunk_qna01400790.jpg

덧바늘과 중통채비를 같이 사용하는 것입니다.

단 덧바늘의 장착을 원줄에 면사를 사용하여 묶는데 바다낚시의 반유동조법에 사용하는
면사 묶는 방법을 사용하여 유동적이게 묶은뒤에 고급커피에 딸려 오는 가느다란 빨대를
넣은후 고무O링을 묶어서 목줄과 연결합니다.
이유는 빨대의 부력으로 떡밥의 부력을 상쇄 시켜서 덧바늘 하단부와 봉돌사이의 원줄의
늘어짐을 보완 합니다.

_ddunk_qna01401234.jpg


이후 하단부에 스토퍼를 사용하는데 이때 원줄보다 한두단계 높은 스토퍼를 사용하면
덧바늘이 어디에 위치 했던 챔질 후 랜딩시에 봉돌에 최대한 가깝게 되어 고기를 올릴
수 있읍니다. 피라미는 제외.

예를 들어 2.5칸 낚시대로 수심3미터에 덧바늘을 바닥에서 2.5미터에 위치 하고 고기를 걸었을때
스토퍼를 타이트 하게 사용했다면 덧바늘에 고기는 수초치기식으로 대를 접지 않고는
고기를 집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유속이 심한 곳은 거의 대부분 바람과 물 표면의 흔들림을 동반하기에 전층낚시는
찌를 보기가 힘들어서 하기가 힘들죠. 그래서 거의 대부분 전통낚시나 중통낚시를 하게 되는데요.
중통낚시 많으로도 조과도 훌륭하고 유속도 이길 수 있지만 바닥에 미끼가 고기에게
보이지 않는 다면 낚시하기가 상당히 힘이듭니다.

채비의 장점
1.유속에 강하다.
2.원하는 목적수심을 동시에 두곳을 이용할 수 있다
3.사용중인 채비에도 덧바늘을 탈부착이 가능하다.

채비의 단점
1.채비에 익숙하지 않을때 덧바늘을 너무 길게 쓰면 원줄과의 꼬임이 있을수 있다.
2.비싼커피를 먹어야 빨대를 구할 수 있다.
3.덧바늘에 집어제를 사용할 시에는 잘쓰면 약이지만 잘못쓰면 목적고기를 바늘과
분리시키는 오류를 낼 수 있다.

각기법의 매니아 분들은 사용하는 채비의 신뢰와 전문적 채비변화로 상황변화에 빠르게
대처 하시지만 아주 가끔 머리 식히러 가시는 생활낚시 인들은 못잡아도 즐겁다고 말은
하시지만 속으로는 옆에 분이 잘잡으시면 어떤 미끼를 쓰는지 어떤 수심을 노리는지
궁금해 지는건 저 자신도 마찮가지이며 대부분 낚시인이 물가게 가서 대를 드리우는것은
고기를 잡고 싶어서 일듯 합니다.
일단 고기가 잡혀야 찌맛 손맛 눈맛 입맛이 있죠.

바닥에 고기가 있는 겨울철은 몰라도 활성도가 좋아서 중층에 있는 고기가 많이 있다면
이때는 바로 중층에 바늘 하나 부착해서 잡아 내도 좋은 방법이죠. ^^

이 채비는 저의 개인적인 채비법이라 마음상하는 태글은 사양합니다.
단 궁금증이나 더 좋은 방법에 대한 지적및 문의는 환영합니다.
추천 0

1등! 로체 10-02-18 15:19 IP : f2f48d63548d22f
빨대 사용치 않고, 2호나 3호의 작은 학꽁치 낚시용 연주찌를 덧바늘 목줄에 사용하면 어떨까요? ^^;;
빨대는 커피 재료 전문 매장이나 대형마트(저마트?홈마이너스?) 가보시면 있을 듯...^^;;
추천 0

2등! 바닥낚시 10-02-18 16:56 IP : 911c88baa154723
덧바늘에 걸린 붕어는 랜딩후 보면 봉돌위 스토퍼에 까지 내려와 있게되고 붕어를 떼내면
다시 덧바늘아래 스토퍼를 본래 위치로 올려야 됩니까
추천 0

3등! 여주화분 10-02-18 18:15 IP : 6e77afe555d0acf
연주찌는 생각을 안해 봤네요. ^^; 제가 빨대를 생각한것은 찌와 봉돌간의 원줄이 최대한 팽팽함을 원해서 떡밥의 무게만 상쇠시켜야지 너무 많은 부력이나 적은 부력은 원줄의 영향을 주는것 같아 사용합니다. ^^ 연주찌도 한번 생각을 해봐야 겠네요.

바닥낚시님이 문의 하신건 고기 잡고 나면 덧바늘은 수동으로 나시 올려야 합니다. 덧바늘 상단의 스토퍼는 움직이지 않기에 좀전의 위치 한곳 동일한 위치 원상태로 할 수 있읍니다. 고기 잡고 자동으로 원위치는 제 머리로는 한개 라서요. ^^
추천 0

슬램이글 10-02-18 19:59 IP : c8559fc8a9f454a
여주화분님, 좋은 정보 올려주시느라 애쓰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의왕독학조사 10-02-18 20:41 IP : ecd62d69965de76
울동네 수로 유속이 심한데.. 얼음 녹으면 한번 실험 해보구 싶어요 ㄳ합니다
추천 0

한번쯤 10-02-19 22:31 IP : a64ebe6f7de5e93
제가 자주가는 수로도 뻘층인데
이런 채비를 올해 한번 시험 삼아 해바야겠네여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