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하우스에서 개피를 보고 왔습니다. 간단 찌맞춤 문의 드려요

초붕어 IP : 3bf2e10b8392259 날짜 : 2010-03-08 14:22 조회 : 9114 본문+댓글추천 : 0

저는 잡는 낚시보다는 느끼는 낚시를 하는 사람입니다. 대략 이해는 가시죠? ㅎㅎ

고기가 잡히면 잡아서 기분 좋고, 덩그런 물가에 우뚝 솟은 찌만 감상할 수 있다면 못 잡는 날도 기분이 좋아요.

찌맞춤도.. 찌에 주간캐미와 봉돌만 달고, 주간캐미 끝까지만 딱 깍아서... 걍 현장채비 없이 그걸 씁니다.

유동채비도 안 씁니다. ^^;

잡는 낚시를 추구하지 않다보니... 지금껏 불편함을 느껴본 적은 없습니다.

근데.... 1월 중순쯤이었죠.

겨울이라 딱히 갈 곳도 없고, 주말에 집에서 낚시대만 만지작만지작 하고 있는데

친구넘이 하우스를 가자고 하더군요.

제 친구는 경기 낚시 다녔던 놈이구요. 내림 바닥 다 구사합니다.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놈입니다. ㅎㅎ

결과는.... 친구놈의 압승. 저는 개피를 보고 왔습니다.

아침7시에 도착해서 저녁 6시까지 11시간 동안 정말 찌만 열심히 보다 왔습니다.

변변한 찌올림 한 번 제대로 못 봤습니다. 간혹 올려도 100% 헛챔이구요.

미끼 갈아주려고 낚시대 들어보니 붕어가 두번인가 걸려있는걸 본 후

내 찌맞춤이 허당이었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3만원의 입어료와 11시간의 인내라는 비싼 댓가를 치르고 찌맞춤을 이렇게 해서 다니면 안 되겠구나

라고 뼈져리게 느꼈답니다.

나름대로 조과에 욕심이 없는 낚시를 한다고 자부해왔지만... 솔직히 돈도 아깝도 인내심의 한계를 보고왔습니다

ㅡ.ㅡ;;;;;

현장맞춤 복잡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지도편달부탁드립니다. 되도록 쉽게요.

낚시 잘 하는 친구놈에게 물어보는게 가장 빠르다고 하시겠지만 너무 자존심 상해서 친구놈한테 묻기도 싫습니다.

어복 충만하시고 안출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1등! 체리쥬빌레 10-03-08 14:28 IP : 1ad8144fa5b7f92
찌맞춤의 문제가 아니라, 채비 선택의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1월 중순의 하우스 낚시라고 하면, 게다가 사람이 풀방인 주말엔 완전 예민함이 쩔어 있는 시기입니다.

그 시기에 찌의 부력은 어느 정도를 쓰셨는지 모르겠지만, 전통바닥낚시 채비로 승부를 보기엔 분명 어려움이 있습니다.
게다가 현장 찌맞춤도 하지 않으셨다면.. 그 날의 온도나 수압에 따라 찌의 부력도 달라지는데.. 찌가 맞지 않았을 수도 있구요..
예민한 채비를 사용해도 찌 한두마디 올려줄까 말까 하는 어려움이 있거든요.

글서 예민한 시기에 하우스 낚시를 하실 때에는 좁쌀봉돌채비나 분할채비 등을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글고 좁쌀봉돌채비 찌맞춤법은 월척에서 검색하셔도 좋고, 군계일학 홈페이지 가셔서 동영상으로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좁쌀봉돌채비 뿐만 아니라, 전통바닥낚시 채비 찌맞춤 법도 있으니, 한번 둘러 보세요~
말보단 직접 보는게 좋고, 본담에 직접 해보시면서 나의 것으로 만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0

2등! 초붕어 10-03-08 14:55 IP : 3bf2e10b8392259
체리쥬빌레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도 단지 찌맞춤보다는 전체적인 채비나, 하우스의 상황 자체가 맞물렸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복 충만하시고, 안전 출조 하시길 바랍니다. ^^
추천 0

3등! 라잇나우 10-03-08 14:55 IP : ee3f18d048a2dca
좁쌀채비를 배워보시는게 좋겟습니다
추천 0

초붕어 10-03-08 15:04 IP : 3bf2e10b8392259
라잇나우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좁쌀채비도 좀 배워두는게 좋을 듯 합니다 ㅋㅋ

어복 충만하시고, 안전 출조 하시길 바랍니다. ^^
추천 0

기맥힌찌올림 10-03-08 16:40 IP : ff7883e25cdbeec
좁살채비는 군계일학 홈피에서 참조하시길~~

상당히 쉽고 조과면에서 낳은감이 있네요!!!

선택은 조사님께서 하시길~~~

그리고 지금처럼 그냥 즐기시는 낚시를 항상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정신건강 해롭지 않게 ㅋㅋㅋㅋ
추천 0

월화수목토토일 10-03-08 17:18 IP : fab7e20fc9dc82a
1월 중순경 주말 하우스 낚시... 원래 그렇습니다. 상당히 피곤하죠~
대신 잘 잡으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어떤 분은 얼레벌레로 내림보다 탁월한 조과를... ㅎㅎ
하우스 예민한 채비 배우셔서 나쁠 건 없지만...
전 그냥 원봉돌 이봉채비로 합니다. 그래도 올릴 붕어들은 올리더라는... ㅎㅎ
추천 0

달빛아래서 10-03-08 17:26 IP : 94ed54029793f08
현장에서 바늘까지달고 줄이다잠길때까지 ( 줄무게 감안) 정말 서서히 내려가서 캐미만 나오게하고

낚시 하실땐 한마디 올려놓고 사용해 보세요
나름 예민합니다..
추천 0

철산아저씨 10-03-08 18:55 IP : aac90c54c09bd2d
하우스..

좁쌀봉돌/어리버리/편대채비..

바닥채비로는 힘드십니다..

이제 봄도 왔으니 그냥 편하게 노지나 유료터를 즐기시는게..

안출하세요..
추천 0

홈런 10-03-08 19:35 IP : 64f42ad88392a02
제가 올겨울 하우스 다니면서 느낀점은 아무리 예민한채비도 좋은장비도 소용없엇읍니다..

바닥만 추구하는 낚시인으로 포인트와 떡밥배합술/운영술 요게 중요하더군여 바닥에서 좁쌀채비/편대채비/이봉채비던

저부력에 케미전부노출정도로 비슷하게 하는걸로 압니다.. 벽쪽에 붙일수 잇는자리나.. 꾸준히 집어만 하시면

내림 부럽지 않은 손맛 볼수 잇읍니다. 하우스 손맛터라 집어 쉽게 생각하면 스트레스 무지 쌓입니다 ㅎㅎ
추천 1

초록물고기™ 10-03-08 19:58 IP : e701bbcd58d2cf5
3월의 하우스 낚시라...
왠만해선 마릿수 보시기 힘든 것이
어쩜, 당연한 것일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답은 있습니다.

첫번째. 정교하고 극히 예민한 채비입니다.
두번째. 자리(위치) 입니다.

위 두가지가 충족되지 못할시 "꽝" or "1~2마리"
것도 운이 따를시 말입니다.

먼저 님들께서 많이들 말씀하시는 좁쌀봉돌 채비가 하우스 낚시의
조과 면에서 탁월하시던가요!?? 군계일학찌를 예로 들면 가장 저부력찌인
극소형에 2b의 봉돌을 물린 채비로 도전하신다면 마릿수 조과를 볼까요!??

저의 경험상으론 보기 어려울거라 생각합니다.

분납(분할봉돌)채비 역시 마찬가지지요.

물론, 좁쌀봉돌채비,분할봉돌채비,편대채비 모두다 하우스에선 휼륭한 채비임엔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어떻게 하우스 환경에 맞게 응용하느냐가 관건일거라
생각합니다.

응용입니다.
공통사항으로 원줄 모노 1~1.2호, 목줄 합사 0.6호(쫍쌀 당줄 2호), 바늘 무미늘 4호, 찌는
군계일학 극소형 기준부력.

㉠좁쌍봉돌채비- 극소형 부력 기준으로 2b 봉돌의 무게에서 1/3은 잘라 내시고 바늘달고 캐미꼿이
완전노출 찌맛춤(목줄 15~20cm)

㉡편대채비-바늘제외한 순 편대의 무게 0.46g의 양쪽 납을 1/3은 잘라 내시고 바늘달고 캐미꼿이
완전노출 찌맛춤(목줄 15~20cm)

㉢분할봉돌(분할홀더or분납)채비-3분할채비로 맨하단 맨도래 10호 달고 바늘 제외하고 찌톱 한목
수면노출 찌맛춤, 외바늘 달고 두목 노출 낚시(목줄 모노 0.6~0.8호/길이 5~8cm)

위상태로 채비 만들어 사용해 보십시요.

아~ 퇴근에 압박이...
드릴말씀이 너무도 많은데 죄송하군요...^^
추천 0

광야 10-03-08 21:17 IP : 1afb2fe1856ebdc
하우스 채비 내지 찌맞춤을 굳이 배우시더라도 특유한 환경임을 감안하여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시키시진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낚시의 기본은 자신만의 고집을 부리기보다 포인트와 상황에 따라 적응하는 것임은 당연하지만,
굳이 좋은 계절이 다가오는데...

노파심에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한가지 덧붙인다면, 채비와 찌맞춤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떡밥의 물성이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댐이나 일반 노지에서 쓰시듯이 딱딱하게 하실 경우, 입질이 없거나 선명하지 않습니다.
추천 0

찐5 10-03-08 22:53 IP : ed0c3afe71ec6a4
채비문제도 있고 친구분이 경기낚시 다닐실 정도면 보통은 아니시겠군요...
추천 0

경산조사 10-03-12 11:22 IP : 432414bac033c92
네이버에서 "이정호의 전통올림낚시까폐" 찾아서 공부좀 하시면

바닥낚시 대박칠듯합니다.

개인적으로

여태껏 수많은 채비 해봤지만

이정호의 전통올림낚시기법 이 최고로

과학적이고 쉬운기법인거 같았습니다.
추천 0

날건달 10-03-13 13:13 IP : 3ef82b0ef16b31f
하우스 열받을땐 슬며시 중통으로 하시면구~~~~~~웃

중통채비법은 월척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저는 내림낚시하고 친구는 바닥낚시밖에 못합니다

하우스에서 중통으로 채비해주니까 저보다 고기도많이잡고

꼬리표 잡는데도 탁월합니다
추천 0

윔스 10-03-13 13:31 IP : d9d466a967f2513
저도 처음에는 노지낚시 채비 그대로 하우스에 갔다가 낭패를 봤습니다.
인터넷도 찾아보고 몇번의 실패끝에 나름대로의 결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가벼운 1호찌, 1호 이하 원줄 사용(가벼운 찌 맞춤)
2. 사람이 많을때는 그 하우스에서 펼수 있는 최대칸수 낚시대 사용
(조용할 때는 짧은 칸수 사용)
3. 쌍포로 최대한 집어(3~4분마다 집어)
4. 잘 잡히는 자리 봐 두었다가 다음에 그자리 찜해서 앉기^^
추천 0

ks코뿔소 10-03-13 13:50 IP : f56161360d2be6e
^^.................. 지식이없어서
추천 0

별을세다 10-03-13 20:45 IP : eda2108f97b52e7
이제 하우스시즌 끝나갑니다~
노지로~노지로~~
추천 0

브천꺽지 10-03-13 23:09 IP : 78a2e74c8180128
하우스채비 유명하지요

편납을 다섯개 달고 하시는분도 겨시고요.

문제는 그유명한 채비를 써도 안나오는날은 안나옵니다.

노지시즌이 다가왔으니 윗분말씀대로 노지로 가시는편을 추천드립니다.

하우스낚시터는 붕어가 사람잡습니다.^^
추천 0

sannoul 10-03-14 12:04 IP : 00e44c7cb37e9b3
흠..안녕하세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 중순까지 똑같은 생각과 고민을 했었습니다.

원래 하우스 낚시를 좋아하지않아서 낚시다니는 10여년 동안 하우스 낚시는 5번 안쪽으로 다닐정도엿습니다.

이유는 답답하고 물냄새가 좋지 않았기때문이죠..

그럼에도 올해는 참 사회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장난아니기에 낚시를 갔었습니다.

이거 ..참..두어번 갔는데 2~3마리...쩝...

그래서 안되겠다싶어서 중층낚시를 배워볼라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하우스 낚시터의 총무님에 저를 보더니 안타깝다면서 방법을 알려주시더군요.

그 방법 배운 이후로 하우스 낚시터 3번정도 갔었습니다.

갈때마다 장원이었죠.

제 찌만 몸통까지 심심치 않게 올려줬었습니다.

이제 방법을 풀어보겠습니다.

제가 배운 이 방법이 모든 하우스낚시에서 통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아는대로 올릴터이니 해보시고 아니면..어쩔수없습니다.

채비

1. 낚시대 : 하우스 상황에 맞는 가장 긴대
2. 라인 : 0.8호 원줄(날이 따뜻하고 고기압인 날에는 1호줄까지도좋습니다. 붕어 전용 하우스인경우에.)
보통 원줄 사용시 무게가 없는 모노를 사용합니다만 하우스에서는 0.8호 정도면 무게가 많지 않습니다.
산소방울 올라오는 곳이나 하우스의 대류현상에 의한 찌의 흘림을 최소화하고 찌 올림이 까부는 형상을 최소화
하려면 모노가 아닌 카본줄이어야합니다. 저도 총무님 말씀에 이해가 안가서 그냥 모노줄로 사용을 해봤습니다만
찌놀림이 갑작스럽게 솟아 오르거나 모노줄이 물의 흐름에 따라서 움직이기에 신경이 많이 쓰이더군요.
결국 총무님 말씀대로 카본줄을 사용한 후에야 중후하면서도 몸통까지 올리는 찌올림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와는 좀 다르죠 ^^)
3. 바늘 : 4~5호 바늘이하(4~5호면 여기에 붕어가 걸려 올라오겠냐고 말씀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의외로 잘올라 오더군요.
조과하곤 상관없지만 무미늘이 좋겠습니다.)
4. 찌 : 2~3푼 이하의 50Cm 미만의 초 저부력찌(이런 저부력찌 찾으려해도 쉽지 않을수 있습니다. 매우 비쌀수도 있죠.)
4푼찌까지도 가능합니다. 찌올림을 보시겠다며 장찌를 사용하시는 경우가 있지만 그런 경우 하우스에서 1~2마디
올려주는 입질 조차도 보기 힘듭니다. 찌의 예민함을 높여주기 위해 저부력찌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5. 캐미 : 2~1.5mm 일반캐미
캐미의 길이는 보통 3mm입니다. 이것을 절반으로 잘라서 칼로 다듬어서 찌에 끼워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부력찌의 경우 찌톱에 끼워지는 캐미의 무게에 의해서 부력을 많이 잡아 먹는게 사실입니다.
따라서 일반주황색 캐미를 잘라서 끼워 사용하시면 아주 좋습니다.
잘몰라서 처음에 그냥 3mm캐미를 끼워 사용했는데 입질 보기 쉽지 않더군요. 정말 한마디 올리는 입질이 많았는데요.
잘라서 사용해보니 4~5마디 올립니다. 진짜로..
6. 미끼 : 물론 하우스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낚시터 따라 다르기도 하지요.
그런데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이건 저희 동호회 회원님들의 경험)
보통 저수온기에는 어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어분은 미끼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어분을 너무 많이 섞으면 고기가 집어되지 않더군요.
집어용으로는 일반 곡물류(찐버거)를 되도록 많이 사용합니다. 하우스에서도 역시 많이 잡으시려면 집어가 되어야
합니다.
정리하겠습니다
가. 집어 : 찐버거 및 곡물류(9:1 ~ 7:3 9~7이 곡물류입니다.)
나. 미끼 : 낚시터의 특성에 따라 사용하세요.
1) 생미끼류 : 지렁이, 구더기, 생새우, 오징어
2) Glue ten : 많이 말고 한줌만, 최대한 말랑(묽게)하게
3) 어분(아쿠아) : 많이 말고 한줌만, 최대한 말랑(묽게)하게

이상입니다.

저의 경우는 이렇게 해서 2010년 1월 중순 이후로 갔었던 하우스에서 무조건 대박했습니다.

제일 많이 잡았고, 많이 잡으면서도 찌올림이 참 좋았던 낚시를 했었습니다.

다른 분들 한두마디 올릴때 저는 4~5마디 올렸으니깐요. ㅎㅎ


그리고 하우스에 가시면 이런 저런 얼레벌레부터, 중층, 전층, 바닦 다하는 곳도 있고 정통바닦만 하는 곳도 있습니다.

올림낚시를 하는 낚시인이라면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 찌올림입니다.

되도록이면 정통바닦낚시만 하는 하우스를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추천 3

월척드림 10-03-14 18:57 IP : b47d378e219803c
노지낚시인이 하우스에 가면 처음에 겪게 되는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저의 경우와도 다르지 않네요.

내림이나 중충을 배우실 요양이 아니시라면

라인은 부력을 덜타는 모노줄 쓰시고, 찌는 낚시방가셔서 가장 작다 싶은걸로 가져오신후

캐미는 주간캐미반 짤라서 끼우시고 찌맞춤은 캐미끝까지 하시고 목줄또한 합사는 사용하지마시고

모노줄 사용하시면 무지하게 예민한 채비 되겠습니다.

이정도해놓고 낚시 해보세요~

가능하면 중층하시는분들 사이에 앉지 마시고 떨어져 앉으시고요

중층하시는분들이 계신곳은 고기가 다 떠있어서 바닥의 미끼는 잘 먹지 않습니다.

그리고 약간의 미동이라도 있으면 그냥 챔질..하세요
추천 0

형님붕어 10-03-15 10:20 IP : 3bf2e10b8392259
답변 주신 선배 조사님들의 의견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번 한주도 힘차게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
추천 0

k45020kr 10-03-16 23:37 IP : 7a1ecab13932f65
하우스 낚시에 관한 답변 잘 읽고
꼭 숙지를해 하우스 즐낚 도전 한번해보겠습니다
추천 0

샤옹 10-04-12 17:21 IP : 6c4459b41fdf448
하우스에서 손맛을 보기가 쉽지는 않습니다.하지만 어느낚시터라 하더라도 처음가서 고기를 많이잡는다는 것은 드문일이죠.
하우스낚시터의 손맛보기 위해서는 먼저온 조사님들의 조언이나 많이 잡으신 분의 옆에서 앉아서 낚시를 즐기십시오.밑밥이나
미끼는 그곳에서 파는걸로 쓰시고요.대편성은 그곳 낚시터서 가장 길게쓸수 있는 낚시대 즉 기둥 밑이나 천막 밑에다 찌를 세울수
있는 길이면좋습니다. 그게 없다면 짧은대로 낚시터의 사이드로 앉으십시오 요즘은 산란철이 다가와 고기들이 사이드로 몰립니다.
그리고 밑밥을 많이 부지런히 투척하세요.한두시간정도 했는데 안나온다 과감이 자리 옮기세요 고기나오는 쪽으로 가세요.
그리고 찌맞춤이나 채비는 자기에 맞는 채비를 하세요 남들이 하는 좁쌀채비다 분납채비다 하는것들도 효과를 볼수가 있지만
전지금까지 원봉돌 채비를 바늘달지않고 영점에 맞춘후 마늘을 달아서 그냥 씁니다.약간 무겁지 않냐고요.찌 환상적으로 올림니다.
이곳낚시터에서 위채비들과 낚시하여서 조과면에서 진적별로 없습니다.전 낚시 편하게 합니다. 찌가 잘올라오니까요.한겨울에도 찌가 다올라 옵니다.제가 쓰는 찌가 수제찌거든요 시중에서 파는찌하고 가격은 별차이 없으나 찌올림은 환상이죠.저도 여러찌를 써보고 군계일학찌도 써보고 했지만 이찌만큼 못하더라고요 쪽지주시면 가르켜 드릴께요.손맛을 보려면 그곳 낚시터에 수험료를 10번은
내야하지 않나 생각해요 그럼 즐낚하세요.진안 마이산 낚시터가 놀이터인 조사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