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사선입수가 꼭 안좋은건가요?

아진파덜 IP : 1f6d3f5bf0379cd 날짜 : 2010-07-07 23:40 조회 : 7001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궁금증많은 자칭 중급조사 입니다 ㅎㅎ

제가 유료터 다니다보면 보통 계곡지 기준 3미터 수심에 봉돌은 4호~6호정도(성동회전고리추) 사용하는데요
투척후 바로 받침틀에 대를 올리면 1마디가 노출될시 대를 앞으로 30센치정도 밀면 3-4마디정도로 올라오는데요..
보통 사선입수는 찌올림에 안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는데 왜그런지 고수님들 한수 지도 부탁드립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어떤날은 가슴까지 당겼다가 찌가 입수하면 다시 밀어서 받침틀에 거는 경우도 있고요
어떤날은 투척후 바로 받침틀에 올려 둡니다(6호봉돌은 수심과 상관없이 거의 100% 사선입수확신하죠)
이경우 사선입수가 익숙해서인지 챔질시 후킹률이 더좋은데 왜그럴까요?
수직입수는 예신후 본신이 안오는 경우가 아주 많고요
사선입수시는 깔짝깔짝 찌가 반에 반마디정도 움직일때 챔질시 후킹률이 아주 높네요..
추천 0

1등! 밤꽃향기 10-07-08 00:19 IP : ad30c26bba8016c
생미끼 낚시일경우엔 사선 입수는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되지만요


떡밥 낚시일경우는 조과에 차이가 날것입니다,,,

떡밥낚시에서 사선 입수가 되어서 찌와 채비가(떡밥) 수직이 아닌 사선이 되었다가

떡밥이 거의다 풀려가면 채비가 조금 가벼워지게되고 이렇게되면 채비가 찌가 세워진쪽으로 조금 이동을 하게되겠죠(찌가살짝 올라옴)

채비가 이동을 한다면 떡밥을 투척한곳(떡밥풀려서 쌓인곳)에서 바늘이 이탈되었다고 봐야할것이고요

바늘에 소량의 떡밥보다는 원래 투척했을때 떡밥이 쌓인곳에서 고기들이 낚시바늘없는곳에서 맘놓고 떡밥을 드시게되겠죠 ^^
추천 1

2등! 양반펑키붕어 10-07-08 01:22 IP : e87a0f9959105b3
입질보는데는 사선입수가 오히려 좋다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아무래도 반응이 빠를테니까요...

하지만 저도 밤꽃향기님과 같은의견입니다.

실제로 밑밥질 크게달아 풀스윙으로 낚시하면 사선입수가 쉽게되는데....그 상태로 집어가 되었다 생각되어 콩알낚시로 전향하면

찌가 수면에 나와있는 높이가 다른경우가 많더군요....먹이용미끼를 단 바늘은 밑밥이 쌓은 그곳과 떨어진곳에 위치되어져 있습니다
추천 0

3등! 전주조사 10-07-08 01:48 IP : 32367e52c10c93c
사선입수 봉돌과 바늘에 위치를보면 연안쪽 낚시인쪽으로 끌려오다가 멈추는형태라 목줄에 긴장감이 있습니다 .미끼를 건드림으로 찌에 바로 반응하는것이죠 (내림과같은 효과)그래서 빠른 입질을 보고 챔질에 걸리는경우도 있지만 이도 어떤 미끼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를것이고 채비또한 바늘크기, 잡어와 그 씨알 차이에 따라 찌놀림에 차이를 보일것이며 ,헛챔질에 빈도수도 이에 맞게 차이가 날것입니다 . 쪼아대다가 끌려오는 찌오름과 먹고 올리는 찌올림이 다르게 보여질것입니다 .사선입수에 단점은 일단 눈이 피곤합니다 .찌에 작은 움직임에 계속 추시해야하고 ,잔씨알에 붕어들이 많은곳이 많을터 쪼아대는입질에 찌가 조금씩 연안쪽으로 올라오기에 조금씩 많이 올리고나면 다시 투척해야합니다 .다대편성에 경우 앞서 말씀드린 이유때문에 신경이 쓰이게되죠 .
추천 0

부들새순 10-07-08 08:10 IP : a28f579b05a6c1d
생미끼 낚시나, 글루텐 낚시의 경우에는 그다지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러 사선을 줘서 낚시 하기도 합니다.
추천 0

산삼먹은 붕어 10-07-08 10:04 IP : 9e67cc9d1137b52
떡밥낚시를 할 경우
사선입수를 제대로 이해하고 낚시를 하시면
떡밥이 없는 바늘을 뚫어져라 보고만 있는 경우는 피할 수도 있습니다.
떡밥이 풀리면 찌가 살짝 올라오기 때문에 다시 갈아줄 수 있죠

사선입수를 잘 이용해서 낚시를 하고싶은 경우 찌톱상부(캐미고무 바로 밑부분)에 부력재가 붙어있는 찌를 이용하면 좋은 낚시를 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 1

즐낚붕어 10-07-08 10:20 IP : 553f89448dfb8d8
밤꽃향기님,전주조사님의 글에 동조하며 사선입수가 상당히 피곤한 낚시라고 봅니다
추천 0

sm 10-07-08 11:44 IP : f68a49fab9034a5
고기가 집어된상태라면 좋을수도 있겠는데요..
본질을따지자면 멋진찌오름을 감상하는게 좋지않을까요..?^^
추천 0

아진파덜 10-07-08 13:20 IP : 6c2b77a0b2ef602
많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약간 무거운 맞춤시는 떡밥이 풀려도 바늘이 떡밥을 이탈하지 않을것이고
그럴경우 1-2대 쪼우는 낚시를 한다면 조과는 더 좋을수 있겠군요...
반 내림 낚시네요 ㅎㅎ
추천 0

밤꽃향기 10-07-08 15:12 IP : 3d06a690e10fdf8
찌마춤 자체가 무겁다고하여 사선입수가 해결되는것은 아니고요

오히려 무거운 마춤일수록 사선입수가 더 심해집니다,,,,,,

약간 무거운 맞춤<<<<어느정도일지는 모르겠으나 찌마춤 자체는 기본적으로 하시고 <br/>
사선입수를 방지하기위해서는

스윙을 풀스윙이 아닌 반스윙(찌가 서는곳에 채비와 찌가 같이 떨어지는정도)으로 하시거나

풀스윙을하신후엔 낚시대를 본인쪽으로 30-40센치정도쯤 당겼다가 찌가 서서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하면

손잡이를 뒷꽂이에 원래대로 밀어서 거치하시면 사선입수를 조금이나마 해결하실수 있습니다,,,

다시말씀드리지만 찌마춤으로 사선입수를 해결할수는 없습니다,,,,,,,,,,,
추천 0

한지찌 10-07-08 16:46 IP : 4e06231d469fe98
밤꽃향기님 말씀에 공감하고요,
낚시대 거치 요령과 아울러 오뚜기형태의 찌를 사용하는것도 채비의 사선정렬을 줄이는 한 방법이 됩니다.
추천 1

아진파덜 10-07-08 16:57 IP : 648fea31700df35
밤꽃향기님 반대로 이해하셨네요
무거운맞춤으로 사선을 일부러 만들시 납이 무거우므로 떡밥이 풀렸을시에도 바늘이 떡밥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사선입수가 예민한 입질을 받기에 더 좋을것 같다는 말입니다.

찌를 제맞춤 했을시에는 사선입수된찌가 떡밥이 풀림에 따라 자연스레 손잡이 쪾으로 10-20cm당겨져
바늘이 떡밥을 이탈하게되니 입질자체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생길수 있다고하니
아예 무겁게 맞추어 떡밥이 풀려도 손잡이 쪽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납을 무겁게 달면 사선입수의 장점만을
살릴수 있지 않을까 해서 여쭤봅니다..
추천 0

아진파덜 10-07-08 16:57 IP : 648fea31700df35
노지나 잡이터 경우 시원한 찌올림을 보기위해 사선입수를 안하겠지만
손맛터 예민한 고기들은 원체 시원한 입질은커녕 이물감이들면 예신후 본신 자체를 안하는것 같아서
사선입수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해 보려고 합니다..
추천 0

나붕어 10-07-08 20:11 IP : 7c1f970f654f17d
제가 보기엔 고기의 활성도에따라 사선입수냐 수직입수냐 차이는 좀있는거같은데요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추천 0

별이빛나는밤에 10-07-08 21:56 IP : 429ce2132a26697
유료터의 경우 예민한 입질에 한마디 올린다고 가정하면
사선입수가 되있으면 그만큼 원줄이 팽팽해지고 그만큼
챔질 타이밍이 빨라져서 그럴거예요^^
추천 0

금빛모래 10-07-08 22:16 IP : c39b74df070f2ed
..흠.. 조과가 더 좋으셧다니.. 머라 드릴말씀은없지만....
사선입수를 하면 줄의 긴장감이 아무래도 수직입수보다는 입질시 찌로오는 신호가

더 예민하니까 중층,내림처럼 또한 글쓰신분처럼 찌를 뚫어져라 보고있으면
깜빡하면서 채면 더 조과가 좋을수도 있겠지만

즐기는 낚시 여유의 낚시를 위해서라면 봉돌에 맞게 4호,5호정도면 0점 찌맞춤정도로 하시면
여유롭게 즐기는 낚시를 하실 수 있지도 않을까하는 생각이드네요 ㅎ

제 경우에는 다루마형 저부력찌로 3미터권 양어장에서 낚시를 하는데
봉돌보다 오히려 떡밥무게때문에 사선입수가 되어서

그 찌를 저 ~ 깊은곳에 고이 왕따시켜드렸다는.. ㄷㄷ
너무 두서없이 적었네요 ; 암튼 사선입수는 비추에 한표요 ㅎ
추천 0

자료실 10-07-09 08:45 IP : 9ba54caeeda19e3
좋은 말씀들 하셨는대요.
저는 무조건 않좋다에 한표 입니다.
추천 0

잿방어 10-07-09 14:09 IP : 15f81710a8f52e7
제 사견은 사선 입수가 생미끼낚시나 떡밥낚시에 유리하고 불리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찌 맞춤의 문제나 찌 무게 중심의 문제 같습니다.

찌가 적당한 부력을 못가졌거나 무게 중심이 안맞았거나 너무 무거운 찌 맞춤인 경우 같습니다.

제가 예전에 장사할때 가게에 큰 수조가 있어 조우들과 찌맞춤 언쟁이 있을때 모든 종류의 찌맞춤 시연을 한적이 있었는데
결론은 바늘 달지 않고 수면에 케미 수평 찌 맞춤이 가장 합리적? 과학적?이었습니다.
흔히 영점찌 맞춤하면 예민할거라 알았는데 바늘 하나만 들어올리니 찌는 꼼짝도 안하고 두바늘을 다 올려야 찌가 움직이기 시작하더라구요....
항상 싸우다 결론은 넌 너대로 써 자식아 이지만...
찌 맞춤에 정석은 없는 것 같고 너무 집착할 필요도 없는것 같습니다.
쳐 묵을놈은 뭘 달아놔도 쳐 묵겠지요.
많이 잡는게 능사는 아닙니다.
좋은 벗과 좋은 자연과 오래도록 함께 하는게 더 중요하겠지요?...
추천 0

예천4짜 19-04-17 23:52 IP : bcea28c00cf9f08
배우고갑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