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경유차 dpf

대지붕어 IP : 84b3294d2e45cb7 날짜 : 2022-10-09 11:53 조회 : 6056 본문+댓글추천 : 1

월님들은 관리 어떻게하고계신가요? 

렉스턴스포츠..저는 가끔씩 고속도로에서 수동4단으로놓고 rpm 2400정도 크루즈로 정속주행 30분정도 

해주는걸로 끝인데  이게 제대로 잘하는지어쩐지..

자동차는 문외한이라서 월님들은 어떻게하시는지 문득궁금해져서요

 

추천 0

1등! 부처핸섬 22-10-09 12:40 IP : 4b536242ed964a5
터질때 느낌 오시잖습니까?
시내주행만하시는분들도
수동모드
저단으로 다니시면 터지는걸로 압니다
고속도로 장거리 한번씩 뛰시면
크게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추천 0

2등! 짜짜이 22-10-09 12:46 IP : b0f98a10e65675a
80키로이상 30분이상 계속 달려야 태우는 온도에 도달한다꼬 알고있습니다ㅎㅎ
시내주행은 dpf작동안합니다.
추천 0

3등! 초율 22-10-09 13:51 IP : 3a1cc4006d2872d
ㅠㅠ
2년간..15키로거리 출퇴근하고
장거리 안탔더니..
해먹었어요..
추천 0

♡제리♡ 22-10-09 15:10 IP : b78118ab8ad23ca
시키는대로 했는데도
점화장치 쪽이 고장이나서 as한번 받고
그 이후로도 점검불이 자꾸 들어오길래
불편한게 한두가지가 아니더라구요~

그냥 타면 되는줄 알았더니만
생각보다 관리를 해야 한다니...

기간되면 걍 처분할려구요~ ㅡ.ㅡ
추천 0

꼴통메신져 22-10-09 18:33 IP : a055b81a5981a84
한달에한번 장거리 100KM 정속주행 30분 이상만해주심 충분합니다
추천 0

붕어언냐 22-10-09 20:11 IP : 3f5549d24861e60
시내도 dpf작동합니다.작동하면 진동오며 rpm도 영향줍니다.
추천 0

당낚시 22-10-09 22:02 IP : 771a89514f47c32
짜짜이 님 말씀처럼 시내주행만 하시는 분이라면 80km 이상 30분이상 정속주행하면
dpf 활성조건이 됩니다.
그렇게 관리하시다가, 누적거리 10만 km쯤에 dpf 관리 받으시면 됩니다.
타고남은 재를 청소해주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습식이 좋다고 합니다.)
고속도로 주행을 안하시면 정비소에서 강제재생해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추천 1

객주 22-10-09 22:56 IP : 056c0c1b41cf8ef
그런 거 모르고 신경도 안 쓰고 운행 합니다
추천 0

거친사내 22-10-09 23:37 IP : 1c0951772ed60a9
저 300.000만 올란도 타는데 구지 그럴필요 없다라고 하더군요..ㅋㅋ
그냥 타시면 됩니다 ㅋㅋㅋ
추천 0

거친사내 22-10-09 23:38 IP : 1c0951772ed60a9
참고로 따로 정비소에서 청소나 약품 같은거 일절 안넣었습니다.
추천 0

섹시붕 22-10-10 02:29 IP : 203f5a8dcbc6a86
왕복46km출퇴근합니다 전용도로35키로포함 낚시안가도 가금씩 120km이상 시원하게 밟아줍니다 센타가서 사진확인하는데 정말깨끗하던데요.
추천 0

릴렉스조사 22-10-11 10:14 IP : 7f3c6bae5881d44
쌍용차를 엑티언스포츠부터 코란도스포츠까지 10년째 운영중인데요. 쌍용차는 현기차와는 dpf 재생이 조금 다른 듯 합니다. 정확한 알고리즘은 개발자가 아닌이상 알기 힘들지만 쌍용차 dpf는 포집량과 운행 키로수에 영향을 받는데, 고속주행을 자주하는 차량은 포집량이 적어서 보통 900~1,000km 정도에 dpf가 작동합니다. 하지만 시내주행이 많으시면 250~500km 정도 운행하시면 dpf가 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pf작동온도는 보통 배기온도 500~600도 정도에 연소 시킵니다.
현기차에 경우는 dpf작동시 rpm이 불안정하며 엔진 부조 현상을 보이는 차량이 많고, 엔진오일 증가 현상이 많습니다. 하지만 쌍용차는 dpf 재생시 엔진 부조현상은 거의 없어서 클레임이 발생 한 적이 없죠. 기본 원리는 비슷하겠지만 엔진오일 증가는 대부분 디젤차 운영하는 차주들께서 dpf 작동중일때 시동을 꺼버리는게 가장 큰 문제 입니다. dpf작동중에 시동을 끌 경우 배기가스 재순환시 사용되던 연료가 엔진으로 리턴되기 때문에 경유와 엔진오일이 썩이면서 발생 합니다. 한 두번 정도에는 오일 점도가 많이 묽어지지 않지만, 여러번 dpf작동시 시동을 끈다면 엔진오일점도가 묽어지면서 증가 하게됩니다.
dpf작동시 차량 계기판에 표시가 되면 정말 좋을텐데, 현재까지 그런 차량은 없는 듯 합니다.
디젤차량은 차에 관심 조금 있으신 분들은 거의 다그3 같은 자동차 ecu정보표시 스캐너를 장착하고 다닙니다. 엔진체크등 표시되어도 써비스센터 방문전 고장코드 검색하여 어느부분이 고장인지 알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바가지 쓸 일이 없는 점, 그리고 dpf 작동시 램프가 켜지면서 작동 유무를 알수있습니다.
작동시 시동을 안끌수가 있어서 큰 도움이 됩니다. dpf 작동에 관련된 포집량과 운행거리도 항상 표시 되기에 아 이정도 km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예상 할 수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그 외에도 배터리 충전량, 냉각수 온도, 미션오일 온도도 실시간 표시 되기 때문에 미션오일 과열로 인한 미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기에 좋습니다. 가격도 그리 비싼것이 아니고 장착도 손쉽게 누구나 할 수 있으니 스캐너 장착후 운행 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