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캐스팅 직후 자리잡는 찌의 움직임

미확인생명체 IP : a34f3e33e7e0915 날짜 : 2022-01-09 19:15 조회 : 3922 본문+댓글추천 : 0

캐스팅 직후 봉돌이 자리잡을때까지의 찌의 움직임이 다 다른데요

수면 위 누워서 오다가  찌가 세워지면서 가라앉는경우가 있고   찌가 물속에절반 이상 잠겨서 세워진 채로 오다가 자리잡는 경우가 있는데 찌가 잘못 된걸까요 아니면 찌맞춤이 잘못 된걸까요??둘다 아니면 전혀 문제가 없는것일까요??참 궁금합니다 

추천 0

1등! 안양초보 22-01-10 08:40 IP : fda08cf531ad095
바늘 빼고 여러번 투척시 평균 찌입수 모습을 기준 삼으세요.
바늘에 미끼나 떡밥 달았을 때는 미끼나 떡밥 무게에 따라서 입수 모양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수심이 깊은 곳에서 투척시 풀캐스팅과 봉돌이 조금 덜 나갔을 때도 입수모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추천 0

2등! 안양초보 22-01-10 08:51 IP : fda08cf531ad095
찌 입수가 직립으로 가라앉게 되려면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찌의 무게중심이 잘 잡혀 있어야 됩니다.
몸통기준으로 찌톱에 무게비율이 높으면 비스듬한 상태에서 입수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입질시에 찌가 상승할 때도 찌가 어느정도 올라오다 옆으로 누우면서 올라오겠죠.
추천 0

3등! 실전븅어낚시 22-01-13 14:36 IP : 5519f46f8cf9f12
통상적인 0점마춤 캐미완전노출 반노출 캐미수면 일치 에 찌마춤에 문제가 없고 유동찌고무가 원줄에 굵기에 비해 구멍이 작지 않아 걸림없이 잘내려간다는 전제하에.. 아주무거운 마춤이면 벌떡서서 입수되지 않는 모습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찌의 바란스와 부력등에 따라 자립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날수 있습니다

일단 고부력 3호이상 먹는찌들은 찌톱의 길이가 너무 길지 않는 다면 버떡서서 서서히 가라앉을 것이고 찌톱이 너무 길다면 반쯤 잠수해서 딸려올수도 있구요. 밸런스 잡는다고 찌다리는 길게 찌톱은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 생긴게 어색합니다..

마찬가지로 저부력는 흔히 나타날수있는 현상이고.. 마찬가지로 배런스를 잡겠다면 찌몸통이 중간이 아닌 찌톱으로 많이 이동된 형태면 깔끔한 입수를 보여줄수 있겠지요... 생긴것이 언발란스 하겠지요..

낚시과정에서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그냥 신경안쓰시고 하시면 될것같네요..
추천 0

lemonlavender 22-01-17 12:05 IP : 24dbbd81bc4265a
미확인님의 채비가 뭔지를 모르겟네요
만약 유동 채비라 가정하고말씀 드리겟습니다
원즐 굵기와 유동 날라리 때문일수도 잇습니다
원줄이 너무두껍고 유동날라리 구멍이 적으면 원줄에 걸려서
부드럽게 안내려가고 걸려서 그럴수도 잇어요
그럴땐 둘중하나를 키우던가 줄이시던가해보세요
그럼 부드러운 입수 모습을 보실겁니다
오랜만에 낙시를 가면 굵은 원줄일경우 꺽이는부분에서 걸려 그런 현상이 나올수도 잇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