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자유게시판] 토종어의 환경 적응

댐에빠지다 IP : 69688f7116d0ec5 날짜 : 2021-10-04 20:51 조회 : 6234 본문+댓글추천 : 9

베스나 블루길이 서식하는 곳에서는 작은 붕어나 토종 물고기 치어가 거의 없으며  붕어의 체고가 높다는 것이 낚시꾼에게 정설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새우가 서식하던 저수지에 블루길이나 베스가 유입되면 몇 해 지나지 않아 새우는 싹 사라지고 대신에 씨알 좋은 체고 높은 붕어가 낚이는 현상을 직접 경험하기도 했죠.

그런데 물고기도 환경에 적응한 경우인지는 몰라도, 베스가 엄청 큰 놈이 마릿수로 목격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피래미는 물론이며 작은 붕어도 엄청 많이 보이고 낚시를 드리우니 베스 입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에  미치지 못하는 붕어도 곧잘 낚이더군요.

한때는 저수지를 정복했던 황소개구리가 자취를 많이 감추었 듯이 우리나라 토종 물고기도 이제 외래어 환경에 적응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어서인지 베스와 토종 물고기의 공생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추천 1

1등! 실전븅어낚시 21-10-04 21:45 IP : 417971f56d26970
보이는것과 다르게 베스 불루길이 많이 줄어들은것이죠

예전부터 진담반 농담반으로 글쓰고 있죠 앞으로 십년후 새우낚시가 다시 활성화된다고 ㅎ

이글은 성지가 될것이에요 ㅋㅋ
추천 0

2등! 객주 21-10-05 05:58 IP : d0d9f271ece230f
블루길만 있는 저수지에는 새우 참붕어등등토종 생태계가 어느 정도 살아 있습니다

배스가 있는 곳은 징거미 살치 같은 몇 종류만 살아 남고 전멸 하다 시피 하는 것 같습니다

요즘 토종 어류들 배스 블루길 수달 가마우지 같은 포식자들 때문에 종 보전이 쉽지 않을 것 같아 걱정 스럽습니다
추천 0

3등! S모그 21-10-05 08:58 IP : c3d8410d44d01d6
큰 물고기들 문제 보다는
먹이사슬 파괴로 청소부들이었던 작은 생명체들이 사라지면서 저수지 전역이 청태밭으로 바뀌고, 자정작용이 되지않아서 갈수록 수질과 토양이 악화되는 상황이 염려됩니다.

지금은 조개류 보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만큼 토양이 썩어버렸다는 거죠.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조개나 재첩류가 수십종이 있는데.
무관심 속에 멸종이 진행중인 종류들이 상당히 많습니다만.
경제적으로 피해가 직면하지 않으니
연구도 없고 관심도 없죠.

그나마 다행히도 법령으로
3cm이하 채집금지나 특정기간 채집금지 같은 방법 등으로 정해진것만 있지, 생태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전혀 하고 있지 않죠.

민물조개, 재첩, 다슬기류 일정크기 이하는 채집금지라는 것 조차 알고 있는 사람도 드물죠.

개울에서 멱감고 놀고 발에 조개나 모래래무지 종개가 밟히던 시절은 이제 오래전 과거가 되어 버렸습니다.
추천 2

S모그 21-10-05 10:44 IP : 0a54acf04549ce1



물속 토양들이 썩어가고 있습니다.
땅속에 몸을 박고 사는 이 아이들은 이미 멸종 했거나, 멸종 위기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추천 2

워리리리 21-10-05 15:33 IP : 7e4a875de59f001
배스의 번성으로 먹을게 없어지면 큰 배스들이 작은 배스를 잡아먹기 시작합니다. 그럼 배스의 밀도가 줄어들면서 그동안 생존해있던 토종고기들이 다시 번식하고, 먹을게 많아지면 다시 배스들이 번성하기 시작해서, 토종고기 개체수는 다시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과정 같습니다.
추천 2

짱웬 21-10-07 19:06 IP : e60ba77843a1cf3
저희동네 저수지는 가뭄때 배스하고 떡붕어가 많이 죽었어요,. 배수라는 환경을 토종어류보단 견디기 힘든것 같아요. 붕어가 적응한다기보단 배스가 줄어드는것 같아요.
추천 0

그린피그 21-10-07 20:03 IP : 2f4e27de7d81cca
공생은 배스입에 안들어갈때 예기에요.
추천 0

최강아이언 21-10-08 00:51 IP : 40c7c4b4a46f6a3
워리리리님 댓글이 제 의견과 일치합니다^^
추천 0

S모그 21-10-08 11:50 IP : 0a54acf04549ce1
베스 많아지면서, 까불며 돌아다니는 성격의 붕어들은 이미 제대로 성장하기도 전에 잡아 먹혀 버리고,
매우 조심스럽게 움직이지 않고, 짱 박히기 좋아하는 소심한 붕어들만 남아,
먹을 게 널리고 널린 곳에 사니 당연히 붕어들 체형이 돼지가 되는 것 뿐입니다.

먹을 게 빈약해서 조기처럼 삐쩍 마른 계곡지 붕어 잡아다가 어항에 넣어놓고 몇개월만 잘 먹이면
베스터에 사는 붕어처럼 빵빵하게 살도 찌고 체고랑 몸통 두께가 빵빵해 집니다.

블루길이 같이 사는 베스터야 블루길이 베스의 상시먹이가 되어주니 어종별로 개체수나 개체의 평균 크기의 변화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습니다만.

베스만 유입된 저수지들을 보면, 이런 순환 패턴을 보입니다.
1. 베스 유입 후 어린 붕어들이 안 보이기 시작함.
2. 베스 크기도 커지고, 생존한 붕어들의 평균 사이즈도 커지고
3. 잡아먹을 만한 생명체가 없으니 큰 베스들이 작은 베스들을 잡아먹기 시작함.
4. 작은 베스들마저 줄어니니 큰베스들이 아사하기 시작함.
5. 어느 순간 생미끼로 낚시를 해도 베스 잡기도 힘들어짐.(이쯤되면 5짜에 육박하거나 오버하는 붕어들이 종종보임)
- 마치 저수지에 생명체라고는 없는 듯 느껴짐
6. 갑자기 6~8치급 붕어들이 보이기 시작함.
7. 다음해가 되면 9~11치 붕어들이 주종 마릿수로 잡힘(5짜붕어 한방 바라보고 낚시하던 유저들이 등돌림), 마릿수 나온다니 낚시꾼들 많이 몰리는 시기
8. 다음해가 되면 35cm급 전후의 붕어들이 한두마리씩 잡힘. (물가에 베스치어들이 참붕어 마냥 바글바글 해엄치고 다님)
9. 1~2년쯤 지나면 6~8치급 작은 붕어들이 모습을 감춤. 4짜 전후의 붕어들이 간간히 잡힘.
10. 위의 2번으로 돌아감.

이게 보통은 10년 전후의 주기로 순환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순환의 고리가 계속 이어 지고 있는데.

황소개구리 개체가 급감함 이유도 아마
베스들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먹잇감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많이 줄었을 겁니다.
(물고기들보다는 맛이 없겠지만, 배를 채워주는 데에는 도움이 되겠죠.)

야생 물속은 그냥 약육 강식의 전쟁터죠.

공생은
납자루 알을 몸에 품어서 무사히 부화할 때까지 품어주는 조개와 납자루 사이와 같은 관계겠죠.
물속 토양이 썩고, 조개도 없어지면서, 납자루들도 동반해서 사라졌죠.
추천 1

S모그 21-10-08 11:57 IP : 0a54acf04549ce1
아래 사진은 토종터 개천에서 배 홀쭉하고 길죽한 녀석 잡아다가, 어항에 넣고 반년쯤 잘 먹여서 키운 붕어입니다.
추천 1

날고싶은자작나무 21-10-08 11:59 IP : f32a72894d1f559
진화설의 오류인거죠.

위에 설명도 있지만 살아남은 객체가 있을뿐 붕어의 체구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추천 0

병따꿍 21-10-09 15:32 IP : 80d5b091013d90e
잘보고 갑니다~~
추천 0

보틀러 21-10-10 22:11 IP : 63534fd421975f5
잘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비르투오스 21-10-17 21:18 IP : 1526498d9fff5f7
수달이 배스 안먹는 이유는 뭐죠?
진짜 안먹는건지 아님 재빨라서 못잡아먹는건지
궁금하네요
하천서 수키로 떨어진 계곡지까지 수달이 들어와서
토종터 작살을 내는 판국에 하천근처
배스 대물터는 수달 콧배기도 안보입니다.

지방하천이고 저수지고 수달천지입니다.
수달이 천연보호종이라는데 제가볼땐
멧돼지 고라니처럼 유해조수가 아닌지 싶네요
동네 똥개보다도 많은게 수달입니다.

전북 하천들 와보시면 수달천지입니다.
오죽했음 수년전부터 전주시 하천에도
수달길이 있고 수달집이 있을정도니 말이죠

어류도감 다시 편찬해서 토종어류를 보호할시점이
된게 아닌지 또한 S모그님이 말한 하천조개류들
실태파악해서 같이 보호종으로 지정 보호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수달 하나에 여러어류가 말살되고
있다는 현실을 낚시꾼 말고는 걱정하는이가
없다는게 한탄스럽네요

그많던 냇가의 여러어종들
그흔하디흔한 빠가 메기가 이젠
붕어와함께 냇가서 보기힘든 고기가 됐네요
오로지 냇가서 볼수있는게
잉어 강준치 정도죠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