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유동찌 사용시 궁금한것 질문드립니다.

열혈초짜 IP : d09fa44c746ac98 날짜 : 2010-02-27 23:43 조회 : 3033 본문+댓글추천 : 0

유동찌를 사용할때 ..

찌멈춤 고무는 아래쪽과 윗쪽의 간격은 어느정도로 하는게 좋은가요?

낚시터에서 보면 .. 찌멈춤고무를 거의 간격없이 사용하시는분도 계시고..

어떤분은 10cm 정도 하시는분도 계시고요..

낚시방송에서 보면.. 30cm 이상 간격이 되는것도 같고요..

정확히 모르겠네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추천 0

1등! 나그네길 10-02-28 01:20 IP : c261b6dc32c66c8
그러니깐 봉돌과 유동찌고무 밑에 부분의 간격을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그간격은 찌 길이만큼만 간격두시면 됩니다 ..
추천 0

2등! 골팽이 10-02-28 06:47 IP : 114398d22cd3ddd
떡밥 바닥일경우 밑에것은 봉돌에서 30-50cm
위에것은 부력( 찌) 길이 수심깊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문의 하신것은 중층에 가까운대 수심측정후 찌톱 노출에 따라
윗멈춤고무의 간격이 달라 지겠지요 간격은 본인취향이니 10-30사이에

상대인격 존중해주는 댓글 달아
성숙한 넷공간 정착에 일조합시다
추천 0

3등! 어린붕애 10-02-28 07:11 IP : 769543aab0da85c
저는 거의 붙여서 사용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 봉돌에서 찌길이 만큼
내려 놓고 사용합니다
추천 0

잠못자는악동 10-02-28 09:32 IP : 36a0c1595e6930b
아래쪽을 기준으로 보면
저 같은 경우 찌가 봉돌보다 5센티정보 위쪽에 오도록합니다
(낚시대 세웠을때 기준입니다)
간격을 두지 않으면 바늘이 가끔씩 찌에 꼬여서....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0

안산낚시 10-02-28 13:22 IP : 315316c9d556d4c
제가 잘못 이해했는지 몰라도 열혈초짜님은 유동찌고무 윗것과 아래것의 간격이 얼마정도가 적당한지
문의하신것 같습니다.
앞서 답변해 주신분들의 답변은 아래찌 고무의 위치에 중점을 두고 답변해 주신것 같고요...
.
즉 답변해 주신분들은 줄꼬임 방지를 위해서 아래찌 고무가 봉돌에서 최소한 찌길이 이상만큼에 위치하는게
좋다는 말씀이신것 같습니다(저도 그렇게 사용합니다)
.
그런데 질문내용은 수심이 1미터 이상일때(1미터 이상되는 찌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생각하고...)
즉 수심이 3미터라고 가정할때 유동찌고무 위아래의 간격을 어떤분은 거의 없게....어떤 분은 30센티 ...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하는데 어떤게 정답이냐라고 물어보신것 같거든요...
제가 그 질문에 답변을 드린다면....이래도 좋고...저래도 좋고입니다....
유동찌고무 간격없이 사용하는것은 고정채비를 이용하는것과 같으니 같으니 유동채비를 이용하는 의미가 퇴색되겠지요..
유동채비를 사용하는 의미를 생각해 보시면 느낌이 팍팍...
.
제가 제대로 질문을 이해한것인지요....
추천 0

열혈초짜 10-02-28 15:54 IP : d09fa44c746ac98
답변 주신 월님들 감사드립니다. ^^

위쪽의 찌멈춤고무 아래쪽의 찌멈춤고무 가운데는 유동찌가 있겠지요..

유동찌를 사이에 두고.. 윗쪽 찌멈춤고무와 아래쪽 찌멈춤고무의 간격이 궁금해서 글 올렸습니다.
추천 0

짧은대 10-02-28 16:33 IP : 2ae4a656f99938d
전 그냥 아래의 스토버는 목줄과 원줄이 이어지는 곳부터 해서 찌 길이 만큼 올립니다..

그 이상 내리면 종종 목줄이 찌 감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리고,내려서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종종 찌의 케미가 원줄용 캐미 역활을 해주고 투척시에도 포인트 확인이 더 쉬워서여..

단 단점은 투척시 찌 무게가 느껴진다란 점인데 나중되면 오히려 더 편합니다..
추천 0

대주면사 10-02-28 17:15 IP : 64e3c9938b6f21d
낚시의 모든 것이 그렇듯 유동간격 또한 정답은 없습니다.

대물낚시에서는 조그만 구멍에 넣을때 유동간격을 크게 주고요

모든 낚시에서 야갼에는 유동간격을 크게 주고요

떡밥낚시 할때 수심체크 시에는 유동간격을 없이 합니다.

투척 시 찌가 끌~끌 거리며 기어오는 모습이 싫은 사람은 유동간격을 없애고 낚시하고요

반스윙이나 수직입수를 돕는 동작을 하기 싫은 분들은 유동간격을 크게 줍니다.
추천 0

양반펑키붕어 10-03-01 04:07 IP : 23e8c5d85f60a33
대주면사님 말씀대로 떡밥낚시시 유동간격을 크게 두시면 찌가 스물스물 연안으로 기어오면서 수직입수에 가깝게 자리를 잡습니다. 착지오차가 비교적 덜 생긴다고 하더군요..

저는 낚시대 들었을때 캐미가 봉돌보다 약간 더 높게오게 한후 낚시를 하면 투척할때 좀 불편함감은 있으나 야간에 원줄을 잡기에 편하고 바람이 많이 불 경우에도 무게중심이 원줄의 밑부분에 있으므로 그렇지않을때보다 채비회수가 덜 수고스러운 장점이 있습니다만....뭐니뭐니해도 꾸물꾸물 흔들흔들거리며 자리잡는 찌 모습이 생명체같아서 재미있습니다.
추천 0

대구리jhk 10-03-02 12:45 IP : d904ae87fe7390b
열혈초짜님 위에서 말씀하신 안산낚시님 말씀대로 이래좋고 저래도 좋습니다.
저는 아래고무를 봉돌에서 5-10cm정도 위에두고 위쪽은 수심을 맞추어 사용하는데
이렇게 사용을 하니까 투척이 용이하고 야간에 줄보기 케미를 사용할 필요가 없더군요.
그래서 아래 위의 찌멈치고무 간격은 수심이 된답니다.
짧은 소견이지만 참고가 되시면 좋겠습니다.
항상 즐낚하세요.
추천 0

스파이끄 10-03-02 23:16 IP : 6cc43d53a98a2f2
제 경우
1. 찌 맞춤할 때 : 위아래 간격 약 1센티
2. 야간 낚시할 때 : 밤에 대를 세웠을 때 봉돌잡기 편하도록 캐미가 봉돌 위로 약 30센티 정도 오도록 합니다.
( → 아랫쪽 멈춤고무를 너무 밑으로 내리면 잉어 등 제압하다가 찌가 부러지는 불상사가 생기더군요. )
3. 주간 낚시할 때 : 밤에 찌멈춤고무 다시 내려주기 귀찮아서 야간 모드로... ㅋㅋㅋ
추천 0

열혈초짜 10-03-02 23:44 IP : d09fa44c746ac98
부족한 질문에 많은 도움주셔 감사드립니다.^^

변덕스런 날씨에 월님들 모두 안출하시고 건강에 유의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