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원줄의 이상적인 길이는?

황금토종붕어 IP : f2ef6730a0d0a51 날짜 : 2010-01-28 01:45 조회 : 4794 본문+댓글추천 : 0

월님들 질문있습니다.
님들은 낚시대에 원줄을 매달때 초릿실부터 낚싯대 손잡이 끝부분까지 사이에서 어느부분까지
원줄길이를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길이가 총알다는 낚싯대 손잡이 끝 부분에서 몇센티나 짧게 매시나요?
사적인 의견도 감사히 보겠습니다.
추천 0

1등! ★투투★ 10-01-28 01:49 IP : 191bbf3492e477c
낚시대의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10~20센티 정도 짧게 맨답니다..
즐기는 낚시하세요..
추천 2

2등! 4짜워리 10-01-28 01:50 IP : ecc6740853575d1
제경우 대물용 으로는 손잡이대 중간에 바늘이 옵니다.

바통대 길이가 80 으로 잡으면 40cm 잛은거구요

원줄은 50cm 짧은겁니다. (봉돌+몰줄+바늘= 10cm)

이유야 아시겟지만 앞치기 와 빠른 집행에 있습니다.

떡밥용 대의 경우 원줄을 한뼘 정도 짧게 메어 체비를 달면

최종 10cm 정도 짧게 사용하고 있는거네요.
추천 0

3등! 물로간산적 10-01-28 02:14 IP : 3656ee1d9fa1555
황금토종붕어님

반갑습니다

경력 20년이면 몰라서 물으신다기 보다 초심자를 위한 배려로 알고
한줄 올립니다

원줄 길이에 대해서
<길어서 득 될거 없고 짧아서 손해 볼일 없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앞치기의 정확도 , 고기 제압 등 등 여러측면에서 원줄이 짧으면 유리 하다는 말이 겠지만

저의 경우 일률적으로 짧게 몇센티가 아니고 칸수에 따라 달리 합니다
32칸 까지는 거의 손잡이에서 조금 짧게하고

32칸 위로는 낚시대 길이와 비례해서 짧아집니다


대의 경질성 여부에도 차이가 있겠지요

유료터의 경우는 반대 입니다
경험상 유로터 경우에 경질대 일수록 낚시대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맵니다

힘좋은 잉어나 향어를 만났을때 원줄이 너무 짧으면 대가 부러지는 원인 중에 하나가 됩니다

결국은 본인이 던져보면 가장 편한 길이가 이상적 길이 인데
세월따라 경륜따라 달라진다고 봅니다
추천 1

솟아라케미 10-01-28 06:45 IP : 612279a3c48e23b
앞치기.

과거에는 앞치기를 별로 하지 않았습니다.

호쾌한 스윙낚시를 하였지요. 풀스윙 또는 반스윙.

요새야 대가 가벼워서 스윙할 필요도 없지요. 정확하지도 않은 스윙, 뒤에 장애물있으면 하지도 못해요 ~

그런데 시대가 흘러가니 낚시도 이제는 기법을 중시하고 이론을 중시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역설적으로 그만큼 붕어자원이 줄어서 붕어낚기가 힘들었다 하는 반증일 수도 있습니다.



앞치기의 목적은;

첫째, 투척하고자 하는 탄착지점에 정확히 채비를 내리자.
둘째, 채비 즉 봉돌의 착수음을 최대로 줄이자.
세째, 떡밥을 최대한 묽게 운영하되 입수와 동시에 떡밥이 바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자.

위의 세가지입니다.
위의 세가지를 제대로 할려면 앞치기가 과히 쉽지는 않습니다.

탄착지점에 정확히 채비를 내릴려면,
당연히 대길이보다 짧게 원줄을 매어야 합니다.

그런데 예를 들어서 대길이보다 일률적으로 30센티 짧게 매여야 한다에서 조금 더 응용을 하여야 합니다.

낚시대가 초경질대이면 예를 들어서 25센티정도로 짧게 맬수도 있고요
중결질대이면 30센티.
연질대이면 40센티 정도로 짧게 맬수도 있습니다.
낚시대의 경질상태에 따라서 원줄의 짧음을 조절하여야 됩니다.

이런 상태에서 정확한 지점에 봉돌이 떨어지게 하려면 연습외에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앞받침대의 주걱을 위치삼아서 던져라. 앞산의 지형지물을 위치삼아라 등의 요령이 있는데
어떤 방식을 택하던 연습만 하면 원하던 탄착지점에서 큰 오차없이 투척이 가능할 것입니다.

그리고 조사분 각 분의 팔길이에 따라서도 원줄의 짦음을 약간은 조정하여야 됩니다.
키작은 분이 일반적으로 팔길이도 짧으므로 당연히 키 큰 분보다는 조금 더 짧게 원줄길이를 정하여 야지요.




봉돌의 착수음을 최대한 줄이려면 앞치기할 때에 팔의 움직임의 괘적과 힘조절을 적절히하여서,
물표면과 가장 근접한 상태를 유지한 채, 물표면과 평행으로 봉돌이 쭈우욱 부드럽게 조용히 스무드하게 날라가야 합니다.
그런 다음 착수지점에 이르러서는 봉돌이 살짝 올라가면서 내려가서 물표면과의 착수음을 최대한 줄이면서
채비가 물속으로 살포시 입수하여야 됩니다.

봉돌이 탄착지점의 물표면과 접촉시 거의 낙하소리가 나지 않아야 합니다.

마치 물표면 바로 위를 비행하는 크루즈미사일처럼 채비가 물표면 바로 위로 스무드하게 날라가야만 착수음을 최대로 줄입니다.

월척특급의 전문고수들도 크루즈비행법으로 투척하는 분은 몇 분 안되더군요.




최대한 묽은 떡밥 또는 묽은 글루텐이 입질받을 확률이 더 높습니다.
그렇게 묽은 떡밥이 물 표면위를 비행하여서 살포시 물속으로 바늘에서 이탈하지 않은채로 입수할려면
앞치기 할 때에 팔의 스윙시의 스냅 강도를 조절하여야 합니다.

스냅강도가 너무 세면 채비가 수면바로 위를 비행하여도 착수시에는 스냅시의 운동에너지가 많이 죽지않아
묽은 떡밥이 수면에 착수시 바늘과 이탈될 수도 있습니다.
스냅강도가 너무 부드러우면 당연히 봉돌의 비행거리가 짧아져서 목적지에 도착하지도 않겠지요.



크루즈처럼 물표면 바로 위를 비행하되 , 부드럽게, 살포시, 그러면서 비거리가 길게끔 --------

계속 연습하여야 합니다. 크게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단, 원줄이 대길이에 비하여 너무 짧으면 앞치기시 원줄이 대의 탄력을 못이겨서 너무 공중으로 봉돌이 날라가니 조심하시고

봉돌이 너무 가벼워도 앞치기가 수월하지 않으므로 적절한 부력의 찌를 선택하세요. 3칸이면 4호 봉돌?
추천 2

어린붕애 10-01-28 07:22 IP : 769543aab0da85c
2.5칸 정도 까지는 낚시대 길이와 같고
그이상은 한뼘정도 짧게 매서 사용합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요
추천 0

골팽이 10-01-28 08:42 IP : 114398d22cd3ddd
앞치기시 손잡미대 보다10-20cm짧게
스윙시 손잡이대보다15-20cm길게
25-36대까지 적용
추천 0

오늘도허탕 10-01-28 09:24 IP : 7b05f1c43ea4634
낚시경력 30년에 조금이나마 느낀것을 적어봅니다
낚시 앞치기를 위한 원줄의 길이를 정하는 기준에는 여러가지 요소들이 있습니다.

1. 낚시대의 무게 및 탄력성
2. 낚시줄의 호수 및 성질
3. 봉돌의 무게
4. 찌의 크기 및 형태
5. 조사님의 신장과 신체적인 조건 등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는것 같습니다.

하여
저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낚시대 마다 길이에 따른 적정 봉돌(조구회사 권장)이 있습니다
이 봉돌에 부력이 맞는 찌를 구입하여 집에서 낚시대 길이만큼의 원줄을 묶고 기본적인 채비를 한다음
낚시를 갔을때 현장에서 제가 가장 편하게 할수있고 원하는 point에 투척이 잘되는 길이만큼
본인의 감이 제일 잘맞는 길이가 될때까지 조금씩 원줄을 짤라가면서 맞춰 사용합니다.

결론적으로
낚시대채비의 제원에따라 몇칸대는 손잡이에서 얼마 이런방식은 무리가 있는것 같습니다
조사님들 마다의 "감" 이라는것이 있으니 기본적인 채비는 집에서 하시고
낚시터에서 정확하게 자신의 정확한 원줄의 길이를 맞춰보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그렇게 맞춘길이는 조금더 부지런하시면 나름대로 길이를 기록이나 기역을 해놓았다가
다음에 원줄을 맞추실때 참고로 하면 다음부터는 보다 간편히 맞출수가 있습니다.

'2010. 깨끗한 저수지를 까꿉시다.
추천 0

별을세다 10-01-28 11:14 IP : eda2108f97b52e7
저는 무조건 낚시대 길이와 같게~~~~
추천 0

황금토종붕어 10-01-28 11:41 IP : 1b8a9b4961e094d
낚시대 보다 줄을 짧게 매는데는 앞치기 때문이라고 만 생각했는데
부끄럽습니다.

월님들의 지식공유에 다시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추천 0

소쩍새우는밤 10-01-28 14:29 IP : 83f6442859aa8ff
원줄길이 표준:
자기가 사용하는 낚싯대에서 길이별 가장 편하게 앞치기가 가능한 원줄의 길이.

단,찌의 자중,부력에 따른 봉돌무게,앉은 자리의 높낮이에 따른 변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분명한것은
누구에게나 어떤 대에나 정해진 이상적인 원줄길이는 없습니다.
추천 0

물뽕 10-01-28 18:19 IP : 8cacb667f44ebc3
저도 낚시대 길이에서 20센치정도 짧게 맵니다 .

30대 넘어가면 더짧게맵니다 ..
추천 1

붕어와춤을 10-01-28 21:57 IP : 8625d8f8ce9d504
20대는 20cm잛게 44대는 80cm짧게 맵니다.

앞치기및 수초에서 빠른 제압을 위해서죠
추천 0

대주면사 10-01-28 22:39 IP : 6802ba2a50df954
이상적인 길이?
낚시 자체가 그렇지만 이 역시도 정답은 없습니다. 자신의 낚싯대 휨새에 맞는 길이를 찾으셔야 하고 그 기준을 잡으셔야 합니다. 아니면 다대편성 시 짧은 칸수가 긴 칸수 낚싯대를 넘어가는 불상사(?)가 발생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기준입니다. 대물낚시나 떡밥낚시나 내림낙시. 물론 내림은 낚싯대가 3대 밖에 없지만서도 ...아뭏든 공통적으로 적용합니다. 참고로 저는 떡밥낚싯대와 대물낚싯대가 따로 입니다.

기준은 32대(30대)를 -30cm로 기준합니다. 이를 기준하고 0.4칸 단위로 -10cm, +10cm로 조정합니다. 단, 손잡이끝을 넘어서지는 않습니다. 또한 사잇대는 긴 대와 같게 처리합니다.

예를 들면 44칸은 32칸 보다 3단계(0.4의 3배) 높은 장대입니다. 따라서 원줄은 -60cm로 짧게 매고 낚시할 때는 이 부분이 봉돌의 위치가 되겠지요. 42칸도 앞에 말씀드렸듯이 44칸과 같게 -60cm만큼 짧게 맵니다.

18칸과 20칸은 어떻게?..........앞서 말씀드린 기준으로 손잡이와 같은 길이이지 손잡이를 넘지는 않습니다.
추천 0

붕어야떡먹자 10-01-29 00:03 IP : ada7ae934a567e3
길면 길어질수록 짧게 매는게 편합니다^^ 윗분들이 너무나 자세한 설명을^^
추천 0

풍류조사 10-01-29 10:13 IP : 4b64e0a28922a69
모두 좋은말씀들 같네요,,,많이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집시로 10-01-29 11:00 IP : 8a6f51a52379af4
"원줄이 길어서 득될게 없고 짧아서 손해볼 일 없다"라는 말씀에 동감

길수록 득보다는 실이 많다는 얘기지요

떡밥은 묽을수록 좋고,

묽은 떡밥을 정확히 제 포인트에 투척하면서 착수음을 최소로 줄이는게 필수적

원줄은 적당히 짧은게 도움이 되고 낚시 자체가 편해집니다

불필요한 채비는 자칫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장애물일 수 있고 짜증의 원인이 됩죠

쉽고 편하게 즐기는 낚시가 좋습니다
추천 1

짱짱이야 10-01-29 16:31 IP : 867c1f3f3b141a7
좋은말씀 잘들었습니다
3칸이하는30cm 이상은70~80
편한거같습니다,,^^
추천 0

두워니압 10-01-29 20:48 IP : 02c4d307ab1d56f
좋은글들 잘 읽었습니다..
추천 0

爆風男子 10-01-29 22:52 IP : f06f82ec8232355
줄은 낚시대보다 최하 20cm 에서 30cm 정도 길게 매어야 함^ 그래야 낚시대와 고기와 바란스가 맞아요^
추천 0

간편한 10-01-31 01:17 IP : 974dbf480f996df
저는 딱 한뼘 짧게 맵니다.
그리고 봉돌과 바늘 답니다.
안출하세요.^^
추천 0

단찌사랑 10-02-01 17:48 IP : e65793cd5437af1
저는 낚시대 길이와 똑같이 줄을 자르고 목줄과 바늘을 달면 낚시대와 똑같던지 거의 비슷하게 해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아마도 한 10cm정도는 낚시대 보다 작을것으로 생각이 드는군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