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젊은 조사가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해봅니다,,도와주세요

열이 IP : dc730264a79b38a 날짜 : 2008-07-02 18:28 조회 : 2864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늘 월척에서 선배님들의 좋은 정보를 보구 눈팅만 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글올립니다,
올해나이 29세지만 월척은 27세때 36붕어 손맛을 봤습니다,,
아직도 그때의 손맛을 잊을수가 엄네요^^
초보대물 조사입니다.
첫번째. 비가오고 난뒤 오름수위때 포인트와 평소에 왕성한 입질을 보이는 저수지에 어느날가면
입질 한번 못보구 오는날이 있습니다. 그이유가 궁금합니다.?

두번째. 저는 아직도 붕어바늘 7호 미늘 없는걸 쓰고있습니다.
때로는 챔질후 당기다가 놓치 경험도 있습니다 무미늘 바늘이라서 그러가요?
늘 같이 출조하는 형님이 계신데 대물낚시에 7호 바늘은 작다구 그러는데
맞는 이야기인지 작은바늘에 큰미끼를 달고 대를 담구면 큰바늘이나 다름없지 않나요?

세번째. 제가 주로 대를 담구는 저수지는 산골짜기 저수지로 때로는 차를 세워두고 30분 걸어서 산깊속한 저수지를
찾아 많이 다닙니다. 알려진 저수지에서 나오는 붕어보다 조사님들의 손때가 묻지 않은 저수지들의 7-8치
급의 붕어들이 힘이 엄청 쎄다는걸 느낍니다. 제경험으로는 물이 맑은 저수지의 붕어들은 빵은 좀 작고
대신 힘이 좋은듯 한데 맞는건가요?

ㅠㅠ 구절구절 질문이 너무 많았네요
초보조사의 궁금증을 선배님들이 좀 풀어주십시요,,,
추천 0

1등! 초짜에요 08-07-02 19:36 IP : 85479a44f53cfc0
안녕하세요 답글이 없어서 몇자적습니다

첫번째. 비가오고 난뒤 오름수위때 포인트와 평소에 왕성한 입질을 보이는 저수지에 어느날가면
입질 한번 못보구 오는날이 있습니다. 그이유가 궁금합니다.?

참으로 불가사의한 일입니다 고수분께 패스...

두번째. 저는 아직도 붕어바늘 7호 미늘 없는걸 쓰고있습니다.
때로는 챔질후 당기다가 놓치 경험도 있습니다 무미늘 바늘이라서 그러가요?
늘 같이 출조하는 형님이 계신데 대물낚시에 7호 바늘은 작다구 그러는데
맞는 이야기인지 작은바늘에 큰미끼를 달고 대를 담구면 큰바늘이나 다름없지 않나요?

바늘이 작으면 큰미끼속에 바늘이 함몰됩니다 바늘끝이 미끼속으로 들어가서 챔질시

후킹이 잘안된다고 보여집니다 미늘도 없는것보단 있는게 좋겠죠

오랜경험이 있다면 미늘없이도 붕어를 떨구는일은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세번째. 제가 주로 대를 담구는 저수지는 산골짜기 저수지로 때로는 차를 세워두고 30분 걸어서 산깊속한 저수지를
찾아 많이 다닙니다. 알려진 저수지에서 나오는 붕어보다 조사님들의 손때가 묻지 않은 저수지들의 7-8치
급의 붕어들이 힘이 엄청 쎄다는걸 느낍니다. 제경험으로는 물이 맑은 저수지의 붕어들은 빵은 좀 작고
대신 힘이 좋은듯 한데 맞는건가요?

다니는 저수지마다 또 그때 상황에따라 다르게 느껴지던데요
대체적으로 수심이 깊은곳에서 올라오는붕어는 힘이좀 느껴지고
낮은수심에서는 저항하는힘이 덜느껴지고요
계곡지와 일반 평지지 반계곡지 힘차이는 잘모르겠던데요

ㅋ 자주가기는하지만 언제 제대로된 입질을 못받아봐서 잘모르겠네요
저도 잘모르는 초짠데요 고수님들 흉보지마세요
추천 0

2등! 일체유심조 08-07-03 00:48 IP : 3b962b0c016fd96
안녕하세요
경산의 일체유심조입니다.

다른것은 제의 경험과 수가 부족해서 답변 드리고 어렵고
두번째 질문에 저의 경험입니다.

저는 바늘 90% 감성돔 바늘을 사용합니다.
통상 가마가츠 토너먼트 지누 5호 와 다이찌 다이아몬드 지누 6호 이렇게 사용합니다.
말씀 드리는 이유는
제가 직접 미끼를 바늘에 끼우고 제 입으로 먹어봣습니다.

지누 1호 바늘과 위 두 종류의 5,6호 바늘 묶어
콩,새우를 끼우고 씹어봤습니다.큰 바늘이 입에서 훨씬 잘 걸리고 아프더라구요...
역발상으로 그만큼 거부감을 줄수 있다고 생각도 합니다..

하지만 저는 깅력히 탐하는 자는 강력히 걸어내겠다는 생각을 하기에 큰 바늘을 사용합니다.
또 사용하다보면 작은 놈들도 걸리더라구요..

이상 저의 말도 않되는 몸으로 실천하는 낚시 연구 였습니다.
붕어인간 일체유심조 드림
추천 0

3등! 가라뫼 08-07-03 01:46 IP : c9225e1c0b9581f
첫번째. 비가오고 난뒤 오름수위때 포인트와 평소에 왕성한 입질을 보이는 저수지에 어느날가면
입질 한번 못보구 오는날이 있습니다. 그이유가 궁금합니다.?

바닥이 드러나고 중류 .하류제방쪽으로 물이 몰려 있는상황에서 상류 맨바닥권에 육초대가 자라면서
육초에 붙은 먹잇감과 산란철에 비비지 못한놈들이 큰비로인해 육초대가 잠길때 먹잇감 찾고 비비러
올라와 줍니다. 산란철.다음으로 호조황과 덩어리 잡을 확율이 높은 시기가 되는것이지요..
상류의 육초밭이 일급 포인트가 될것이며 큰비로 인해 물이 뒤집혀서 신선한 물이 나오는 새물유입구
수몰될 나무.상류의 물의유입이 많아 콸콸 흐르는 곳은 물이돌아 머무는곳 등이 좋은 포인트 입니다.
계곡형 소류지의 경우 농번기 배수가 진행되어 낮은수위에서 비오고 오름수위가 진행될때에는 상류의
수초지대나 새물유입구 언저리.등이 좋은 포인트 입니다.
붕어의 활성도는 물의수온.기압.달의영향.등등등 무수히 많은 조건에 민감하게 살아보겟다고 대처하다보니.
. 같은저수지.같은포인트.같은미끼에도 쉽게 반응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
두번째. 저는 아직도 붕어바늘 7호 미늘 없는걸 쓰고있습니다.
때로는 챔질후 당기다가 놓치 경험도 있습니다 무미늘 바늘이라서 그러가요?
늘 같이 출조하는 형님이 계신데 대물낚시에 7호 바늘은 작다구 그러는데
맞는 이야기인지 작은바늘에 큰미끼를 달고 대를 담구면 큰바늘이나 다름없지 않나요?

활성도가 약할땐 생미끼 낚시일 지언정 작은홋수의 바늘과 작게단 미끼가 오히려 효과적일때가
많았던것 을 경험해 보았구요.
배스많은 소류지나 중.대형지에서의 맹탕떡밥 다대낚시에는 지금그대로 의 채비로도 충분해 보입니다.
깨피리.징거미.피래미등 잡어의 성화가 심한곳에서는 큰홋수의 바늘에 큰미끼 다는것이 더 효과적 일겁니다.
7호 바늘과 감생이 5호바늘을 가지고 여러가지 미끼를 달아 보시고 잠시 생각해 보세요...^^
갠적으론 과감하게 미늘있는 두툼한 바늘로 홋수별로 구매하셔서 상황에 맞게 바꿔 사용하시는게 더 좋을것 같습니다.
옷에 낑기는게 싫으시면 미늘살짝 날려 쓰시면 무미늘보다 빠지는일 덜하고 옷에서 잘빠질 겁니다.


세번째. 제가 주로 대를 담구는 저수지는 산골짜기 저수지로 때로는 차를 세워두고 30분 걸어서 산깊속한 저수지를
찾아 많이 다닙니다. 알려진 저수지에서 나오는 붕어보다 조사님들의 손때가 묻지 않은 저수지들의 7-8치
급의 붕어들이 힘이 엄청 쎄다는걸 느낍니다. 제경험으로는 물이 맑은 저수지의 붕어들은 빵은 좀 작고
대신 힘이 좋은듯 한데 맞는건가요?

먹을것 많고 잡혀먹을일 없고 물까지 좋다보니 체형이 길쭉한 고등어 같은 체형을 가지는 것이 배스없고
물맑은 저수지 붕어의 특징인것 같습니다.
입큰놈.납짝한놈 많은저수지와 소류지 붕어들은 눈 부리부리 하고 등치좋은 장군감 체형을 가지는게
특징 입니다.
알빼고 난후의 4짜보다 수심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7~8치의 붕어들의 힘이 더 좋을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수심에서 치고나가는 덩어리 힘에 감당 못할때도 있을 겁니다.....
추천 0

산수부린 08-07-03 08:28 IP : 8612a343f403133
젊은 釣士 ?
1.
장마 뒤에 새물 찬스 라며 새물이 유입되는 입구에서 새물 찬스를 노리고 낚시를 합니다.
우리 낚시인이 말하는 새물 찬스란 쉬운게 아닙니다.
강수량이 100mm 이상 이것도 집중 호우에 해당될때 이야기 입니다.
갑작스런 수위의 상승 상류의 물골과 후미진 곳이 있는곳이 유리합니다.
2. 붕어바늘
미늘이 없는 붕어 바늘 사용은 중층.낚시에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7호 바늘을 사용하고 계시는데 7호 바늘로 대상어를 낚았을때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사용을 해도 좋습니다.
그러나 미늘이 없는 7호바늘 25cm 전후의 고기를 낚는데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미늘이 없는 바늘은 걸었던 고기가 당신 앞으로 오다가 돌아서서 저수지 중심부로 돌아서면 이때 입에서
바늘이 자주 빠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준척.월척.대물.대어.4짜 등을 낚았을때 가끔은 낚었던 대상어가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30cm 가넘는 붕어는 입술이 두툼하면서도 단단해 왜만한 챔질에는 바늘이 입술을 뚫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미늘이 있는 바늘 향어바늘(이두메지나) 13호를 권합니다.
지렁이 미끼를 자주 사용하시면 향어바늘 (이두메지나) 12호를 권합니다.
3.체고. 붕어힘
산간 계고에서 자생한 붕어는 먹이 사슬도 다소 부족 하다보니 체고는 낮으며 길다란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먹이 사슬.수초. 환경 여건이 좋으면 일반 평지형의 붕어처럼 체고가 높고 제법 통통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심이 2m 정도되는 곳의 붕어의 힘은 대단히 좋습니다.
추천 0

열이 08-07-03 16:32 IP : 0c28541ccc5d340
선배님들의 조언 대단히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물낚시의 길은 멀고도 험한것 같습니다,
그래도 낚시터에만 앉으면 몸과 마음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되는듯 한 기분,,
설레임,긴장감 이모두가 낚시를 하게끔 만드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허접한 글에 답변해주신 선배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다음에도 좋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