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대물찌 찌맞춤 최고의 찌올림

靑風小流池 IP : 69dfba30e462ce5 날짜 : 2010-02-27 10:38 조회 : 9545 본문+댓글추천 : 0

일반적으로 대물찌의 경우 무거운 찌맞춤을 기본 전제로 하지만....

저의 경우는 재질에 따라 약간씩 달리합니다...

가벼운 재질의 찌 (부들...갈대.. 발사...오동...돼지감자...등등)
요런 가벼운 재질의 경우~ 수조에서 천천히 내려가서 바닥에서 통통 2번 튀는정도로하구요

무거운 재질의 경우 (삼나무)
아주 천천히 내려가서 1번에 바닥에 안착하는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근데 얼마전 행낚에 물사랑님~ 찌 맞춤 통영상을 보았는데

가벼운 재질은 거의 뭐~ 맞는듯한데~
삼나무(스기목)의 경우 정말 수조에서 바닥까지 안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35초 정도 걸리더구요~
정말 미치는줄 알았습니다... 내려가는 시간동안 담배 한대 피워도 되겠더라구요 ㅎㅎ

물론 약간더 무겁게 맞춤을 한다해서 찌를 못올리는것은 아니지만

최상의 찌올림을 보기위한 가장 적적한 찌맞춤이라 하시더구요~~

정말 이정도로 맞추어야 최상의 찌올림을 볼수 있을까요~~

가장 보편적으로 삼나무 재질의 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걸루 알고 있는데~

우리 월님들은 삼나무(스기목) 의 찌를 어떤 식으로 찌맞춤을 하시는지 그리고

그리고 어던 찌맞춤으로 최상의 찌올림을 경험 하셧는지 궁금합니다...^^
추천 0

1등! 안산낚시 10-02-27 11:26 IP : 315316c9d556d4c
청풍소류지님....
저는 사2동 감자골 아파트단지에 삽니다.
안산에 의외로 대물조사님이 많이 계시네여.
한번 동출 했으면 좋겠습니다.
내일 방농장쪽으로 가보려고 하는데....백두낚시에서는 삼존리 각지가 어떠냐고 조언하네여...
.
저는 대물찌 맞춤도 일반떡밥지와 동일하게 맞춥니다..
일단 생미끼라고 해봐야 새우밖에 안쓰고요(옥수수나 콩을 먹는 낚시터가 인근에는 없는것 같습니다.)
무겁게 맞추나 수평맞춤하나 그게 그것 같더라고요...
새우쓰다가 안되면 떡밥도 쓰니 대물맞춤하면 떡밥을 못쓰거든요...
제가 제대로 된 대물꾼이 아닌건 확실합니다...
편하신 시간에 아무때나 전화 주십시요..........
길건너면 금방인것 같습니다..
금년도 안전출조, 행복출조 하십시요...
추천 0

2등! 靑風小流池 10-02-27 11:50 IP : 69dfba30e462ce5
안녕하세요~ 안산 낚시 님~~ 같은 동네분이라 반갑습니다....

저는 거의 대부분 서태안쪽으로 출조합니다....

고향집이 서산이라서 또 주말 꾼이다 보니 그리 멀리는 못가구요~~

기회 한번 만들어 봤도 좋을듯합니다...

근디 요번주는 회사 일 때문에 못움직일것 같습니다... ㅎㅎ 담주를 기약 해야 할듯합니다...
추천 0

3등! 뒷치기 10-02-27 12:44 IP : 0f99b0fe8afb319
ㅎㅎ 제가 사는 동네는 아주 작은 시가지라, 대물낚시 하는 사람들 찾아 보기 힘든데, 보기좋아 보입니다..

좋으시겠어요... 찌맞춤, 저도 너무나 많은 시간을 찌맞춤을 해봐서... 관심이 많아 글을 올리는데요...

대물낚시 처음 시작부터, 지금까지... 누구한테 물어볼 기회도 그리고, 도움을 청할곳도 없습니다... 혼자 연구하고

인터넷 뒤지며 혼자... 했습니다...ㅜㅜ;

저는 찌를 자작으로 제가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정말 허접하기 짝이 없는 찌지만, 그래도, 상도로 카슈칠을 깊게

몇번 담근질을 하면, 좋은 색깔과 빛갈이 나길래, 그냥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찌를 자작 하다 보니 좋은

점은, 찌톱을 좀 길게 할수 있어 너무 좋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물찌보다는 찌톱을 좀 많이 길게 하는 편이여서,

찌올림을 극대화 시켰는데, 찌톱을 길게 하니.... 찌를 올리때, 반토막밖에 올리지 못하고, 둥둥 떠서, 있을때..

챔질 하게 돼더라구요... ㅡㅡ; 암튼, 제가 만드는 찌의 몸통 제질은 오동나무 입니다... 그런데, 무겁게도 해보고

바늘만 건드려고, 올라오게도 해보고, 원줄, 찌고무, 등등 케미 무게벼 기타... 여러가지 증상을 보이면서... 찌 맞춤을

해봤지만, 역시나, 초심으로 돌아 오던데요.... 너무 가볍게 바늘만 건드려도 올라오게 하면, 대물낚시 못합니다..

밤에도 퐁당 대는 입질을 보이거나, 헛챔질이 엄청 나게 만더라구요... 무겁게 하면.. 하루종일... 입질 한번 보기 힘들구요

제가 생각할땐, 0점에서 원줄과 케미 유동찌고무의 무게를 더한 갚으로 하면 된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봉돌과, 찌고무와, 찌만 달고 0점 수평 가벼운 찌만춤을 한후, 거기에 원줄과 케미의 무게만으로 가라앉게 하는 채비법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할땐, 이정도가 가장 적당하다.. 생각합니다....
추천 1

위잉 10-02-27 13:02 IP : e4ca288eff46575
수조에선 그래도 저수지에서 원줄카본 4호 매달고
현장찌맞춤하면....하강속도는 큰차이가 날듯하네요.

찌맞춤....참 어렵다는건 누구도 부인못할듯..
추천 0

짱구아찌 10-02-27 15:47 IP : 76350a53ed44977
대물낚시에 별로 조력은 없지만,

오동은 케미고무가 수평되게 하고,

삼나무는 케미머리 살짝 나오게 맞춤니다.

오동은 케미끼우면 서서히 가라앉고요, 삼나무는 수조중간에 떠있거나, 내려갔다 올라옵니다.

이렇게 하는게 제일 마음이 편함니다.

그밖에, 물트림채비와 핀도래를 장착한 것도 있읍니다.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조금씩 변형을 주고 있읍니다.
추천 0

터미박 10-02-28 00:36 IP : f406069e0fb1c60
스기목의 장점은
튼튼함이 1이고 무늬와 색감이 좋은게 2입니다

단점은 자중대비 부력이
공작,발사,오동,등과 비교할떄 제일 낮습니다

즉,떡밥찌로는 활용성이 떨어지고
4칸이상 장대의 캐스팅이 찌무게 때문에 불리 합니다
요즘 대세는 오동입니다.

이점 참고 하시고

찌 맞춤은 개인의 취향 이므로
거기에 맞추어 챔질 타이밍을 잡으면
보통 다 통용 됩니다

뭐, 한마디로 정답은 없습니다

이른바 ,전문가 들도 각기 주장하는게 다, 다릅니다

주장은 각기 다르지만

고리 봉돌 6호가 넘으면(대부분의 대물찌)

실험 결과

캐미를 달고 캐미가 나오게 맞추시던,수평으로 맞추시던
캐미없이 위와 같이 맞추시뎐
또는 서서히 가라 앉혀 맞추시던
물속 봉돌의 형태는 모두 동일한 모습으로
바닥에 안착되어 긴장을 유지한 형태로 서 있습니다

일반 떡밥찌는 예민하게 반응을 보일수 있지만
보통 쓰는 대물찌는 거의 무반응의 동일한 형태를 보입니다

바닥이 보이는 풀에서 실험한 결과이니 믿으시길 바랍니다

그 동안 잡지에도 기사화 된적 있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 하자면

이러나, 저러나 모두 동일한 찌맞춤이 된다는 겁니다 (보통 대물 낚시 기준)

동료 중에
수조에서 통!~ 하고 바닥에서 닿는 소리가 나게 무겁게 쓰는
사람이 몇 있는데
그날 조과에 달렸지, 그 사람들의 특별한 부진은 전혀 없습니다...

더 잘 잡을 떄가 더 많다고도 할수 있죠...
그러한 찌맞춤이 좋아서 말씀 드리는건 아닙니다 일례를 든겁니다...

개인적 추천은

저수온기 (11월 중순~3월중순)에는
7호 미만의 수평 찌맞춤

6월 이후 마름등 수초가 퍼질 떄는
7호 이상의 서서히 가라 앉는 찌맞춤을 추천 합니다

그런식으로 대처 하시면
예민한 계절에도 무난하고
수초지역에서 낚시 하시기도 편할 겁니다

기타 계절엔 편할 떄로 하시면 됩니다

떡밥찌나, 저수온기 이외에는
찌 맞춤 신경 쓰지 마세요...
대물찌는 귀하의 노력에 반응이 없습니다...

그럼 ,즐거운 봄 맞이 하시길...
추천 0

터미박 10-02-28 01:19 IP : f406069e0fb1c60
추가적 으로

찌의 상승폭은
붕어에 달렸다고 하는데

성의 없는 답변으로 들릴수 있지만
가장 압축적이고 과학적 답변이라 봅니다

붕어의 상승높이+찌의 부상하는 물리적 변화에
의한 찌 표현으로 나타 나는데

그 중 붕어의 상승이 우선인데,

배 를 거의 바닥에 깔고먹을떄, 먹이 경쟁자가 주변에 없거나
경계심,식탐이 부족,봉돌이나 바늘의 이물감 감지,먹이의 크기나 식감 등으로
큰 폭의 찌 상승을 안 보일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한 찌 상승의 장애요소를 줄여 주면
찌 상승에 어느정도는 도움 을 줄수도 있다고 봅니다

물리적 매카니즘으로는
찌 재료가 자중대비 부력이 좋아야 상승력이 좋은데

스기목은 부력이 좋지 않아 궁극적 찌상승과는 무관하다고 봅니다

다만,무거운 찌맞춤이나,스기목이 상승폭이 좋다는것은

그러한것들의 이물감 ?을 극복하고
먹고저하는 여건이 충분히 충족 되는 활성도 좋은 붕어 떄문이지 않을까
추론 해봅니다
추천 0

진도붕어빵 10-02-28 01:54 IP : ba8ecc4b46c9a44
간단히 저는 찌맞춤안합니다 몰라서안하는게아닙니다

안해도 잘올리고 올림도 좋더군요

역시 워리들은 올리는것도 틀려도 무언가가 틀립니다

그래서전 찌맞춤안합니다

이건오로지 저만의 생각!!!!!
추천 0

초록빛늑대 10-02-28 03:12 IP : f1f783d2a17398f
전 좀 가볍게 맞춥니다
아무것도 안달고 3~4마디 정도 나오게 맞춥니다
대물낚시 맞춤으로는 많이 가볍죠
머 그게 대물 찌맞춤이야 하시는 분들도 계실거구요
대신 전 좁살봉돌을 자주 활용합니다
현장상황에 따라 대응하기 위해서요
찌올림이 좋구 안좋구는 꼭 찌에만 국한된게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바닥 여건이던가 날씨라던가
여러 가지 변수가 있겟죠 경사지면 조금 올리디가 끌려 들어갈것이고
수초가 빡빡한 곳이라면 주춤거릴거구 머 여러가지 이유가 있겟죠
결론은 붕어 맘이라는거 ㅎㅎㅎㅎㅎㅎ
추천 0

잠못자는악동 10-02-28 08:11 IP : 36a0c1595e6930b
스기목이나 오동재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쪽의 찌맞춤은...
지금 사용하고 있는 것은 프라스틱 재질의 찌입니다
0점보다 조금 무겁게 해서 합니다
속이 비어 있어서 입질들어오면 찌오름 환상적입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0

고기잡는터터러 10-02-28 21:54 IP : 6c78a39c163430b
저는 스티로폴 찌 사용하는데~ 아주 좋습니다 물도안먹고~
낚시점 가면 송어 목줄찌라고 팝니다
단단한 스치로폴로된 구슬찌~ 여기에다 찌톱 하나 사서 붙인다음
카슈칠 해주면 겨울에 찌맛 제대로 볼수 있습니다.
추천 0

원다매니아 10-03-06 12:08 IP : 1ffd6eecdecf125
대물낚시 입문한지 한 17년정도 되는 어중꾼입니다.
저도 세월속에서 낚시할때마다 윗분들이 열거하신
모든 방법을 동원했어 찌맛춤을 해보았지만...
현재는 그중에 저에게 가장 잘 맞는 타입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냥 참고만 하십시요...어중꾼이라서...ㅎㅎㅎ

채비구성 : 카본원줄 - 4호, 카본목줄 - 3호, 찌 - 스기목(28~30cm), 찌고무 type - 유동타입, 바늘 - 지누 3~4호
, 바늘목줄길이 - 12~15cm, 케미 - 아가미(젤타입)
찌맛춤 : 전채비 장착후 수조통에서 아주천천히 봉돌이 살짝 닫는 type

이렇게 하면 노지에서는 카본원줄의 중량으로 입수하는 속도는 조금 빨라집니다.
그리고 찌를 수면에서 약 1~2mm 약간보이게 하면 바닥의 봉돌은 바람이 불어도
튼실히 자리를 잡고 있으며 쉽게 안움직입니다.

보통 새우나 콩으로 미끼를 사용하다보니 개인적으로 저는 아주 중후한 입질을
보더라구요....(수조통에서 천천히 입수하는 그런 찌맛~)

처음에는 현재의 찌맛춤에서 목줄을 짧게도 해보았지만 후킹이 잘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끝까지 올려주는 입질이 더물어 지금은 목줄을 최소 12cm 이상
합니다.

그리고 활성도가 좋을때, 마름이나 수초가 밀생지역은 목줄에 조개봉돌을
달아서 활용합니다.

찌맛춤이 가볍다고 입질이 지저분하다고 생각해왔는데 위에분이 말씀하신되로
7호 이상 봉돌을 바닥에 어떻게 닫게 하는야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면에서 케미끝의 상,하 조절로 찌맛춤을 다시 조정할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상 어중꾼의 허접한 경험이였습니다...ㅎㅎㅎ
추천 1

여유롭게 10-03-06 17:02 IP : 19eafdf6f45aec2
찌마춤이란 빠져 들수록 넘힘이 듭니다
저도 별에별 마춤 다동원해봤지만..
아마 붕어에 활성도가 아닌가봅니다
모쪼록 유익한 정보 잘보고 갑니다
추천 0

소룡 10-03-06 17:10 IP : e0faef9d2d5ecb2
대물체비는 바닥에서 콩콩정도, 떡밥체비는 바늘 흡입시 상승하도록 맞춥니다.
넘 찌 맞춤에 신경쓰다 봄 낙수 제대로 모합다.(제 경험입니다)
추천 0

부들맨 10-03-06 19:20 IP : 5f69c3b385d041c
무슨 재질의 찌든 붕어가 올려야 올라오는 겁니다^.^

즉 찌 올리는 것은 붕어 맘이라 생각합니다^.^

넘 함축적인가요???
추천 1

현다이 10-03-06 20:23 IP : 7179e22f060eb92
44대에서 쭈~~욱 올리리는 찌 오늘 봤습니다..^^
어이가없네요...베슴니다....^^;;
추천 0

바라기 10-03-07 20:40 IP : 1f781fe3f37df48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대물일경우
스기재질은 20~30초
오동10~15초
부들5초
떡밥일경우
표준맟춤(단 바늘과케미 장착)
어렵게 생각하면 낚시 못합니다.
단순하게 생갛하시고 경험이 많이쌓이면 그때 자기의 방법을 적용하는게 나을 듯 합니다.
추천 0

솔향붕어 10-03-08 20:40 IP : b13fa30c8470ca5
케미를 빼고, 바늘도 빼고... 현장에서 찌맞춤 합니다.
케미고무 수면과 일치하는 수평맞춤이나, 천천히 가라 앉히는 맞춤......

케미 부착....바늘달고 미끼달고... 낚시시작...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