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조사님들 대편성 몇대 정도가 효율적일까요??;

손맛중독 IP : 867ffc14f4ea1ea 날짜 : 2010-03-11 23:25 조회 : 3755 본문+댓글추천 : 0

21 4대 23~24 4대 25 2대 28 2대 32 4대 36 2대 40 2대 대물채비 해놓은 대가 이정도 있는데 조사님들 대물낚시 할때 같은 칸수 위주로 펴시는지 아니면 21~40까지 쌍포로 다 펴시는지 궁금해서요. 보통 8대정도 편성하긴 하는데 늘 즐겨찾는 곳만 가서 딱히 다른 포인트에서는 어떻게 해야될지 영 감이 안오네요. 강 노지만 다녀서 그런지 25칸대 밑으로는 펼쳐놓고 붕어 잡은 기억이 정말 가물할 정도라서 어는순간부터는 28칸 위로만 피게 되더라구요. 짧은대 같이 펴놓는게 좋을까요??;; 친구 아버님 따라가면 계절따라 짧은대 펴는게 좋은대도 있다고 말씀해 주시긴 하셨는데 기억이 잘 안나네요 ^^;
추천 0

1등! 0월척0 10-03-11 23:35 IP : 5c021e4ce648325
수초가 있고 물색이 좋으면 짧은대도 많이 사용 합니다.
근데 맨바닥에선 짧은대는 손이 안 가고 29대 이상만 사용하게 되더군요.
일단 저는 8대만 사용 합니다.
추천 0

2등! 똘이장군님 10-03-11 23:38 IP : 02317fa0bcaf5b7
대물낚시라면 수초가 필수아닌가싶네요..
수초형성에 따라 구멍구멍 맞는 데루편성 하지안나싶네요
예들 들면 부들 오리발 사이사이 아님땟장 넘길지 아님 빈공간에
넣을지 ..........꼭히 긴대위주 아님짧은대 위주가 아니라 지형에따라
대편성 하게되는듯 싶네요....(전적으루 제갠적인생각 입니다..)
추천 0

3등! 산속옹달샘 10-03-11 23:45 IP : db1cdf47a698405
잔챙이가 많은 계곡지만 다니다보니 다대편성은 득보다 실이 많은거 같습니다.(잦은 미끼 교환과 투척)

확실한 포인트만 찝어서 가능한 적게필려고 합니다 올해는요 ㅎㅎ
추천 0

뒷치기 10-03-12 05:11 IP : 0f99b0fe8afb319
대물낚시라고, 다 수초만 끼고 하는거 아니라 생각합니다... 전 수초가 없는 곳에서는 10대 피고 합니다..

수초 제거기가 있어도, 수초가 빽빽이 있는 곳 아니면... 듬성 듬성 난 쪽, 수초 가장 자리에다.. 많으면 8대정도..

보통 수초있는 곳에서는 전 6섯대에서 5섯대 정도만 핍니다... 이상하게 수초낚시 할때는 많은 대를 피지 안고

하는것 같아요... 그리고, 전 대물낚시 하긴 하지만, 수초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는곳은 포인트의 매력이 좀 떨어지는것

같아서, 싫어합니다... 그런곳은 전역이 포인트 같아서 어디다 펴야 할지 난감할 뿐더라... 뱀나올까봐.. 별루더라구요..ㅋ

전 맹탕지에.. 상류쪽 듬성 듬성 수초가 있고, 말풀이 찌들은 곳을 선호 합니다..ㅎ
추천 0

잠못자는악동 10-03-12 07:54 IP : 6b789c56ccea628
대물낚시시 긴대보다는 짧은대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긴대를 넣더라도 연안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는 곳에 ...

긴대보다는 짧은대로 대물을 상면한 기억이 훨씬 많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0

무궁화 10-03-12 08:17 IP : f1519038a60e6f8
대물낚시라고 해서 무조건 수초를 끼고 하는 낚시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 거의 수초가 없는 노지에서 합니다.
그리고 수초가 있으면 바로 옆이나 앞에 찌를 세웁니다.

수초가 너무 분포되어 있고 하면 저녁에 잘 보이지도 않고 걸림이 발생하니 주간에는 수초주변
야간에는 수초에서 좀 떨어져서 합니다...
추천 0

♡미끼머쓰꼬♡ 10-03-12 08:45 IP : 8c6143e3fecf65e
저는 8대에 맹탕에서 골고로 핍니다.....20~~~40까지...
근데....작년부터는 장대를 선호 하게 되네요^^ 34대이상~~!!
추천 0

붕어국가대표 10-03-12 09:11 IP : a1115575d22e302
수초여건 지형등을 보고 평균 8대 편성합니다만 욕심이 생기는곳에서는 10대도 폅니다.

긴대 짧은대는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편성하는 편이고

수초가 있는곳에서는 짧은대를 맹탕지역에서는 될수있으면 긴대를 핍니다.

날씨가 춥습니다.안출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꽃피는봄이오면 10-03-12 09:16 IP : ab8788a808c7fab
즐겨하는 낚시가 수초낚시라서 짧은대만 사용합니다.(1,5~2,9칸)
어두운 밤이되면 수초사이에 긴대로 공략하기엔 투척횟수가 한두번에 넣기가쉽지않죠,그러다보니 거기에 발생되는 소음에 오히려 고기를 쫓게되어 짧은대로 포인트 조건에따라 6~10대정도 폅니다.
수초형성이 좋은곳에서 정숙한 낚시만한다면 짧은대낚시를 권장합니다.
추천 0

robine 10-03-12 09:19 IP : e10ba5d6fdbbd15
넣고 싶은 포인트나 또는 수초 여건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계곡지같은 경우 원하는 수심이나 턱을 찾아서 넣을려면 골고루 펼쳐질듯 싶구요.

전 개인적으로 포인트도 포인트지만 그날의 체력 여건에 따라 장대 또는 단대로 갑니다.

피곤한 날은 무조건 짧은대 위주로~~~ ^_^;;
추천 0

서산붕어 10-03-12 09:36 IP : c5df99934ea4ba6
저는 물색에 따라 편성 합니다. 물색이 좀 맑다 싶음 장대 위주,

물색이 좋으면 32대 까지 편성 합니다~

맹탕지역에서만 해당되는 대편성이고

갈대 부들 땟장 등이 있다면 최대 부쳐서 대편성 합니다~
추천 0

물트림 10-03-12 09:52 IP : e3d4dae9ad5e3ed
현장 상황에 따라 다 틀리니... 그때 그때.. 5대 ~ 8대 폅니다.

방안에서 오느 낚시터 가면 몇대 펴야지...정해 두고 가는건 아닙니다.
추천 0

제비천하 10-03-12 09:59 IP : 425e1563ea62f28
상황에 따라 6대~~~~~~~~~~~~~~10대 까지 편성합니다
추천 0

oldfish 10-03-12 10:16 IP : 34a91026886cb8e
저는 보통 6~8대 편성 합니다. 밤새 도리도리 하고 나면 너무 힘들어서요..
8대 정도가 딱 적당한것 같습니다.
칸수는 포인트에 따라 틀리겠지요..ㅎㅎ
추천 0

소쩍새우는밤 10-03-12 11:17 IP : 83f6442859aa8ff
포인트 상황에 따라서 긴대 짧은대 편성은 달라지는데,
5~7대가 찌보기에 효율적입니다.
10대이상 되면 시선이 분산되어 입질 놓치는 경우나, 자동빵 경우가 발생되어

1.예신 부터 본신에 이르는 짜릿하고 환상적인 찌맛!
2.타이밍 정확한 챔질.
3.손맛 등의 과정이 생략되어 제미없는 낚시가 됩니다.

따라서 1,2의 과정이 생략되면
그물 쳐놓고 다음 날 거둬 들이는 어부와 같다.
추천 0

o물수리o 10-03-12 11:20 IP : a0d02068fbb97f2
현장 상황및 포인트에 따라서

대편성수가 달라집니다,

짭게는 7 ~12 대까지 편성합니다,
추천 0

하나유통할인마트 10-03-12 11:51 IP : c7516e0b5998cfc
통상적으로 수초구멍은 좋아하지않고 그냥 어느정도의 수초만 끼고 하는낚시를 즐겨합니다.
예전엔 10~12대씩 편성을 했찌만
지금은 6~8대정도 편성합니다.
괜히 많은대편성으로인해서 한번찾아오는 입질을 놓치고 싶지않아서이죠.
그리고 짧은대 위주로 편성합니다.
낚시는 즐기고 스트레스를풀고 취미생활입니다.
다루기 쉬운 짧은대를 많이 선호하는편입니다.
스트레스를 풀려고 갔다가 장대펴서 바람불고 엉키고 한번에 투척안되고 그렇게 고생할바엔
그냥 짧은대 위주로 세팅합니다.
통상적으로 20~32칸을 주로 많이 선호하는편입니다.
물론 부득이한경우엔 그이상 그이하칸수도 대를 펴곤합니다.
장대펴서 남들보다 더잡아야지라는 생각보다가는
즐길수있는 본인에게 맞는 낚시를 하심이 좋을듯
추천 0

로체 10-03-12 12:01 IP : f2f48d63548d22f
소쩍새 님 말씀에 동의해요~~~
허나 전 귀찮다는 이유로 6~8대를 편성합니다. ㅋㅋㅋㅋ
많이 펼 수록 휙휙~!풍덩~풍덩~, 다음날 팔 아파서리 ㅡㅡ;;;
추천 0

초초 10-03-12 12:14 IP : 6f7b46e3ceb894e
경우에 따라서 가감도 합니다만 8대를 펴는 경우가 많습니다.

언젠가 영천화산의 작은 못 중하류 홈통자리에서 처음에 7대를 폈는데 저녁먹고 입질도 없고 해서 고기가 들어오지 않을 듯한 홈통 안쪽에 구색을 맞추는 차원에서 평소하던 대로 8대를 채우자 싶어서 1.5대를 한대 더 폈는데 다른 대는 입질이 없고 구색맞춰 핀 1.5대에서만 척을 넘어서는 실한 넘으로 몇 수 한 적 있습니다.
의외의 수확을 거둔 이후로 구색을 맞추는 것도 어떨 땐 먹혀 들어가기도 한다 싶어 구색맞추기에도 신경쓰는 편입니다.

마음 가는대로 대를 펴야 담날 "저기 저 구멍에 한대 더 필 껄!"하는 아쉬움 없습니다.
추천 0

스퐁이 10-03-12 12:27 IP : 2ed586ac97917b3
저도 상황에 따라 8대~~~14대까지 핍니다..ㅎㅎㅎ;;;



그래도 조과는 꽝입니다.ㅋㅋㅋ
추천 0

합천 10-03-12 12:36 IP : c35071af5d74ad0
이젠 10대도 많습니다

8대가 적정선이듯 하는데
추천 0

무궁화 10-03-12 13:14 IP : f1519038a60e6f8
대물은 기본 6~8대, 입질 빈도가 약하거나 자리가 더 나오면 10대 편성, 떡밥은 4대정도 편성
추천 0

열군 10-03-12 13:40 IP : 432d01dfab5d778
저도 가끔 10대까지 피긴 하는데

보통 6대에서 8대 핍니다.

제 눈이 막눈인지 10대 펴두면 찌보느라 눈돌아갈꺼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짧읍대보단 긴대를 선호해서 2.9대 이상으로 피고요

2칸대 이하는 언제 펴봤는지 기억도 안납니다.

그래도 짧은대 길이에 죽이는 뽀인트가 언제 나올지 모르니

항상 다 챙겨서 출조합니다.
추천 0

물뽕 10-03-12 13:52 IP : 8cacb667f44ebc3
저는 아직 실력이 없어서 34대 이하로만 장착합니다
34까찌도 아니죠 ..30 ,32칸 넘어가면 컨트롤이 힘듭니다 ㅎㅎ
19~34까지 여섯대만 편성해서 집중하려고 노력합니다
저에게는 6대가 집중도 잘되고 가장알맞더라구요 ,,
여섯대만으로하더라도 소나기입질오면 정신없습니다 ..ㅋㅋ
개인적특성이지만 워리급은 28대정도에서 가장잘나온것같네요 그래서 26~28대는 필히 장착하구요
추천 0

붕어와춤을 10-03-12 15:29 IP : 40f40835b31b66e
반가버요 손맛중독님!

일단 멋진 구멍이 몇개냐 입니다.

수초구멍 숫자데료 폅니다.

그외 10대가 제일 적당 합니다. 특히 자동빵에는요
추천 0

북두사신 10-03-12 16:11 IP : 60c55a7fe420ef5
자리가 좋으면 12대 까지도 열 마춥니다..

자리가 안나오면 그래도 꾸역꾸역 5대정도는 열마춥니다..

적어도 5대 이상은펴야 안심이 됩니다..
추천 0

수중붕어 10-03-12 17:04 IP : 3e0767de6f0a39d
자리봐서 5~10대정도 편성 합니다.

수초 좋아하지만 제거하면서까지 자리를 만들지는 않습니다.

가끔씩 구멍 만든다고 수초를 초토화시키는 조사님들 보면은 울화통 터집니다.

얼마나 잡겠다고 뿌리까지 뽑아냅니다.

다음분 들어오면 또 자신의 낚시대에 맞춰서 또 파냅니다.

작년에 모 소류지에서 3박4일 낚시했는데 ,,,

같은자리에 낚시꾼 3번 바뀌니 그자리에 수초가 전멸하는걸 보았습니다.

두번다시 그 소류지에는 안올듯이 자르고,뽑고,,,,뚝방파고...ㅠㅠ

쓰레기만이 환경파괴는 아닙니다.

있는 그모습과 환경에 맞추어서 낚시 하는것도 큰 환경사랑 입니다.

내게 권한만 있었다면 그 사람들 몸에난털 몽땅 뽑아서 민둥산 만들었을텐데.....

지꺼 몽땅 뽑혀봐야~~~~~~아~~~ 생태환경에서 수초가 중요하구나,,할건가요,

아직은 날이 춥습니다,,

방한장비 철저하게 챙기시고 즐낚하시길..^^*
추천 1

붕어파팅 10-03-12 17:09 IP : e5ee0ed825d86b0
그날 상황에 따라서 편성합니다
항상 안출하시길
추천 0

대물친구 10-03-12 17:24 IP : 5c7c2e6a130b3cf
낚시대에 포인트 맞춰야겟죠~!
제경우는 피다보면 수초에 근접 시키다보면 36-42-44정도 대가 셋팅이 되더군요!~
죽어라 10대로 셋팅 하는데..조과는 5-6대 피신분이나 그저 매한가지..^^

가급적 수초는 건들지 않고 최대한 근접시켜 대편성하고 낚시합니다~!
올한해도 손맛 많이 보세요^^~!
추천 0

권형 10-03-12 17:42 IP : 9cb7c6ebe3559dd
되도록이면 수초를 제거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편성합니다.

"붕어파팅"님과 "대물친구"님의 말씀에 표 던집니다.
추천 0

수엽 10-03-12 20:30 IP : b68a4db20f689f7
*
붕어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겨울 저수온기 시기에는
2-3대로 낚시합니다.
주로 들어뽕 형태로 부들이나 갈대에 직접 집어 넣거나 붙입니다.
한참기다리다 입질 없으면... 수시로 이동합니다.

*
봄, 여름, 가을 시기 중의 날씨 좋고
활성도나 입질이 활발한 날은 1대로 낚시합니다.
새우든 참붕어든 글루텐이든 옥수수든 1대로 집어합니다.
새우로 잡든 참붕어로 잡든
점차 낚아올려지는 시간이 빨라지다... 나중에는 넣으면 물어줍니다.
이런 낚시 때 중요한 점은 수초를 낚시에 걸어, 동네 소문나게 끄집어 내지 않는 점입니다.

*
봄. 여름. 가을 시기 중에서 활성도가 떨어지는 날에는
점차 낚시대를 1대씩 더 피기 시작하여 나중에는 다대편성으로 가기도 합니다.
1 - 2대 담가보고 입질 별로 없으면 바로 다대편성으로 바꾸기도 합니다.

*
수초 형성이 좋고 중요 포인트가 눈에 확 들어 올수록 1대나 2, 3대 위주로 낚시합니다.
수초 지역이 넓어 전부가 포인트처럼 보이면 대충 여기 저기 몇대(4 - 6대. 많으면 7 - 8대) 꽂아봅니다.

*
낚시터 주변에 사람이 많고 ,
주위가 소란스러우면 좌우당간 많이 펴 놓고....별 입질 없으면...... 잡니다.

*
경우에 따라서는
많이 펼 때는 12대에서 15대 정도를 펼 때가 있습니다.
잔채이는 한정 없이 달려붙고
참붕어라도 끼워두면... 가물치 낚시하는 것처럼 입질한번 없을 때
그저 큰 생미끼 끼워 놓고 포기에 가까울 때... 많은 댓수의 낚시대를 펴 봅니다.... 복골보기

*
며칠 전에 낚시 해본 곳에서 2차전을 펼치거나 3, 4, 5. 6, 7... 차전을 벌일 때는
나온다는 확신이 있는 관계로 6대에서 부터 8 - 10대...
브르길 마저 입질이 없으면... 풀로 편 상태에서도 2대 정도 더 펴 보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는 월척 이하급 입질이 거의 없는
베스터 대물낚시에 한정 되며 거의 월척 이상 올리는 시기에 한정합니다.

*
낚시대 댓수.... 낚시 욕심의 숫자라 생각하면.....
크게 틀린 답 아닙니다.
추천 0

대구리와물안개 10-03-13 04:05 IP : 13ac18808db92c8
그날 저수지 형편에 맞추어 6~10대 펼치고 조황따라 가감합니다...
추천 0

탱크보이 10-03-15 19:47 IP : d2a2f1553b5e211
각자 낚시 스타일대로 하는거죠머 낚시대 많이 핀다고 고기 많이 잡는거 아니고
한대로 한다고 못잡는거 아니고 살아잇는 생명체인데 그게 내뜻되로 되나요
그때 그때 상화에 맞춰서 ~~ 경험에의해 감대로 하는거죠머
추천 0

sm525 10-03-17 08:36 IP : 6f32607d868462e
현장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손이 어느정도 탔느냐, 지형, 수온, 활성도, 낚시인이 몇명 있느냐등등

평균적으로는 7대 정도구요 어느때는 5대, 4대까지

3~4년전까지는 최고 12대까지 폈는데 받침틀 사니까 맥시멈 10대입니다

근데 대가 적을수록 장점이 많아 점차 적게핍니다(잦은투척음은 고기를 쫒기에 바닥지형 짚어보고 소수로 집중하려구요)

그리고 텐트를 필경우는 7대이상되면 시야확보차원에서 낚시가 힘들어 입질와도 못보는 경우 있어

특별한 경우 빼고 7대를 안넘습니다(하지만 효과적인 챔질후 제압위해대간격에 최대한 여유를 두고합니다)

고기가 물가에 붙을 상황을 제외하고는 장대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확실히 적게필수록 대물확률이 높은것 같더군요(바닥지형 숙지가 필수구요 그리고 집중하고 그래도 입질없으면 하늘에 맡깁니다)
추천 0

장붕어 10-03-21 23:55 IP : 684d161a4294e48
상황에 따라 편성하는데 최소 5대에서 10대까지가 적당
추천 0

so심쟁e 10-03-22 04:01 IP : 2ae4a656f99938d
낚시대 절수는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중 하나입니다.

저는 18대부터 48대까지 쌍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여름철 마름으로 인하여... 포인트 공략이 난감하기 때문이죠...

낚시는 확율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뿐아니라 다른 조사님들도 마찬가지 생각일 것입니다.

우선 대물은 발밑에서... 이런 말이 있습니다.

시간때별 다르지만 새우이동으로 인하여 연안으로 새우가 붙는다면... 짧은대에서 분명 입질은 옵니다.

하여 조금 일찍 포인트를 선택하셨다면 짧은대에서 분명 입질은 들어 오실겁니다.

낚시를 하면서 늘 하는 것은 저는 조금 더 짧은대를 보유할까 하는 생각입니다.

입질이 없다하여 낚시대 길이를 탓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포인트 선정이 제일 중요하고 다음 채집망을 통한 정보수집입니다. 그다음 대편성이죠....

제생각은 여기까지 입니다.
추천 0

쿠운 10-03-22 12:33 IP : 228153276d627c0
상황마다 틀립니다.
또한 개인마다 틀리겠지요.
자기가 충분히 찌올림을 보고 대응할수 있는 낚시대수가 자신한테 맟는 거겠지요.
저는 현지 여건에따라 6대~13대까지 평균 10대 정도입니다.
추천 0

월야붕어 10-03-22 13:04 IP : b83109f3d737e30
보통 6대에서 10대정도 핍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으나 . 옆에 꾼들이 많을 경우 긴대 우선으로 하고,
입질이 잦은 쪽으로 자주 미끼를 갈아주면서 낚시를 합니다.
추천 0

낚시와상처 10-03-22 22:45 IP : 32aaa67910a4ce3
앞쪽으로 집중하면 8대 정도가 무난하고..

10대정도 편성할려니 자리 여건이나 텐트가 좌우측 시야를 가려서 불편하더군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