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고부력, 저부력 딱 정해주세용~~`

원숭이조련사 IP : 1910c4e605ec0ee 날짜 : 2012-02-25 13:06 조회 : 11360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옵고 고부력찌와 저부력찌의 장단점이 알고싶어
이리저리 검색을 해보았는데 딱 머다라고 정리된글이 없어서 다시한번 문의드립니다^^
제가알고있는 고부력과 저부력의 차이점중 하나가
- 입질시 봉돌 무게로인한 이물감이라고 (고부력이 이물감이 많다라고 많은분들이 뎃글다신걸 보았는데요)
왜 이물감이 더한지 이해가 않갑니다.
붕어가 먹이를 먹음으로써 봉돌이 들려 찌가 올라오는게 아닌가요???
그렇다면 고부력이든 저부력이든 동일하게 0점으로 찌맞춤했을시에 무었이 틀린건가요???
추천 0

1등! 금양최태공 12-02-25 13:37 IP : 8cfbd45f1c7a9c4
저부력 고부력 차이점이라..
쉽게 말해서 메추리알과 닭알 차이요?
추천 0

2등! 붕잡 12-02-25 13:41 IP : d1185bea2eee1c3
원숭이조련사님 반갑습니다~
먼저, 고부력과 저부력으로 나눠서 이물감이 많다 적다고 할수도 있지만,가장 큰 요인은 찌맞춤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이물감이 있냐 없냐를 따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옥내림에 저부력찌를 쓰는 이유는 예민하게 찌맞춤을 하기 쉽기 때문이고요.
고.저부력 장단점은 고부력은 수초를 끼고하는 바닥낚시에 정확하게 투척하고 잔챙이 입질을 걸러내기위해 많이 씁니다.찌맞춤도 바닥에 안착시키기위해 좀 둔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부력단점:배수나 저온 등 활성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입질이 시원하지 않고 예신만 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고부력장점:무게감으로 인해 정확한 투척가능.정직한 찌올림과 재걸림이 예민한채비보다 좋은 편입니다.
이상입니다 안출하세요.
추천 0

3등! 잉철 12-02-25 13:55 IP : 3d1653e78ad0563
0점이라는 말에 함정이 있습니다.
찌낚시에서 부력과 침력이 같을 수 없습니다. 내림,바닦,중층 동일합니다.
찌를 세우기 위해서는 0.00001g이라도 침력이 항상 강합니다.
찌를 세우기 위한 침력, 찌마다 최저량의 절대값이 있습니다. 이 절대값이 같은 찌는 없습니다.
부력이 강한 찌는 1g으로 찌를 세울 수 있다면,
저부력찌는 0.1g으로도 찌를 세울 수 있습니다.
바닥낚시 기준으로, 몇g의 무게로 찌탑 한마디 노출을 맞출까요? 찌부력에 따라 틀리겠지요?
고부력은 1g으로 맞출 수 있다면, 저부력은 그 이하로 한목노출을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던 찌를 세울때는 침력이 항상 강하다고 했고, 그 값은 다 다르다고 했습니다.
저부력일 수록 그값이 작고, 그 값은 고기의 이물감으로 작용합니다.
마찮가지로, 중층, 내림낚시에서 저부력을 쓰는 이유는, 채비를 띄우기 위해 부력을 바닥낚시보다 강하게 합니다.
3목노출을 위한, 고부력과 저부력의 침력은 다릅니다.
부력이 9인 찌와 저부력 3인 찌가 있습니다.
3목에 맞추기위해서는 3분의 1정도의 침력이면 가능하다고 가정해 봅니다.
9는 1/3을 제외한 6이 상승하려는 부력반발력으로 작용합니다. 3은 2의 반발력을 가집니다.
바닥낚시와 반대로, 내림, 중층은 물고기가 찌를 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침력을 제외한 부력이 반발력으로 작용하고, 작을수록 이물감이 덜합니다.
예민한 낚시는 분명, 마릿수에서 조과가 월등합니다.
그러나, 활성도좋은 시기에는 마릿수 차이는 나지만, 바닥 무거운,표준 맞춤도 잘 올립니다.
노지에서 대물타깃이라면 굳이 예민한 채비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추천 4

원숭이조련사 12-02-25 14:00 IP : 1910c4e605ec0ee
봉돌이 작기때문에 찌맞춤시 조금이라도 오차가 줄어들어 예민하다는 말씀이신거죠??
추천 0

금양최태공 12-02-25 14:14 IP : 8cfbd45f1c7a9c4
너ᆞ
추천 0

원숭이조련사 12-02-25 14:57 IP : 1910c4e605ec0ee
너무 갑사합니다 이제 이해가 갔어요 ^^
답글 달아주신 회원님들 ㄳ합니다^^
추천 0

북두사신 12-02-25 15:58 IP : ad34ec02e18a184
지는 찌맞춤 안해요.
그냥 21대부터 34대 까지는 7호 퐁당하구요.
40대 까지는 8호 퐁당시켜요.
추천 0

오로지붕어만 12-02-25 23:42 IP : 9e5fa80ced19545
붕잡님께 한표 더합니다.
추천 0

장찌올림 12-02-26 00:03 IP : 01d084da8a41689
쉽게말하자면 고부력은 부력이쎈것 한마디로 추에무게가 무거워지며 고기들이 예민할때는 비추천입니다^^(하절기에적당)

저부력은 그에 반대이므로 동절기에 적당합니다^^
추천 0

부처핸섬 12-02-26 00:07 IP : 2c94775db6c175c
저부력=탁구공
고부력=골프공
추천 0

주말노숙 12-02-26 08:09 IP : 55d903c8548c35e
저는 맘 편하게 봉돌 3~5호로
중부력 찌만 사용합니다~
추천 0

아쭈 12-02-26 08:14 IP : 789fe75aa13835e
봉돌의 무게차이 때문이것지요....
추천 0

진도붕어빵 12-02-26 09:12 IP : 0190c67eeff776b
낚시에 정석이란게 있을까요? 경험만이최고입니다
추천 0

지호아빠 12-02-26 10:37 IP : e2a96d2951e3eaf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물에 떠있는 조각배를 미는것과 유람선을 미는 힘은 다르겠죠
마찬가기로 저부력찌를 붕어가 흡입하기에 쉽겠죠
추천 0

전북김제꾼 12-02-26 12:40 IP : 8e3cff71fd842af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늘 저부력 위주로 쓰는 한사람 입니다 ㅠ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ㅎ
추천 0

카리스타 12-02-26 16:45 IP : 0c0ed0c93fe7695
잉철님 추천
경험적으로 저부력찌 어신전달이 좋다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이론적으로 정리해 주셨네요. 감사~
추천 0

큰우물 12-02-26 16:49 IP : 467c86f685207dc
고부력은 시작은어렵지만 표현은크구요 저부력은시작은고부력에비해쉽지만 표현은작읍니다
추천 0

ghdus62 12-02-26 20:33 IP : 8648f5f81120b44
역시 아무래도 입질이 예민한 시기엔 저부력이 유리할듯 생각합니다
추천 0

dlwkdnjs 12-02-26 21:06 IP : a4d8be7cdf69cad
고기가 입질할때엔 부력과 침력의 상하운동 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옆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합니다

쉽게 말해 찌맞춤으로 상하균형을 맞추는건 쉽지만
옆으로 당기는 저항력은 같은 찌맞춤이라 해도
찌의 부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여기서 저항력이 이물감으로 작용을 합니다

나룻배나 항공모함이나 물에 뜬건 똑같지만
그 배를 수면 위아래로 움직이는게 아닌
옆이나 앞으로 가게 하려면 나룻배는 노를 저으면
되지만 항공모함은 어림없죠

찌의 순부력도 그래서 매우 중요합니다
찌의 순부력은 고려치 않고 단순히 봉돌만 가볍다고
저부력의 장점을 가지진 않습니다

물 안이나 밖이나 변함이 없는 찌와 봉돌 전체의
질량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찌에 편납을 감는 방식은 분납의 효과는
낼 수 있지만 옆으로 작용하는 이물감을 없애지는
못하므로 저부력의 특장점은 없습니다

이쯤에서 왜 여러 조사님들께서 저부력이 예민한 시기에
효과적이라고 느끼시게 되는지 답이 나옵니다^^

저부력은 횡적인 이물감이 고부력보다 적습니다.
동일한 찌맞춤에서도 그렇고, 고부력을 저부력보다 더
가볍게 맞춰도 저부력이 횡이동 이물감이 훨씬 적습니다.
추천 1

하늘의꽃 12-02-26 22:01 IP : d2d0f3a815e34b7
찌는 부력차이점은 투척조준이용이하며~중장대~ 돌려치기하기힘든장소는
줄잡아던지기 좋으며~ 대편성과 장소차이점과 수심의장에물차이정도로보시면 좋겠네요. 이모두가 장애가없다면 장비체비
시에 둔하게하시는지 예민하게 하시는지에따라 체비는자유로해도 무방하리라고봅니다. 적당한 5호봉돌에서8호봉돌 사이을 많이 사용하고있습니다~
추천 0

도합30단꾼 12-02-27 03:48 IP : 864f2a688a26a03
11.5호봉돌이 나가는 부력의찌를사용하지만 실질적인채비는 고리봉돌1호 정도의 채비로사용중인1인입니다. ^^
추천 0

걸린넘만잡는다 12-02-27 07:00 IP : 4ddd8af8b62d163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여유롭게 12-02-27 10:01 IP : a9be957d9da4f4e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1

검은콩 12-02-27 18:50 IP : 824363410d92c9e
요즘대물낚시도 중부력을 많이사용 합니다

저같는경우는 4~6호정도 많이사용 중입니다
추천 0

깔치 12-02-27 20:43 IP : d104d3defb2e52a
낚시의 노하우는 직접 사용하시고 격어 보시는것이
자신에 맞는 찌맛춤을 찿지 안을가 생각합니다
추천 1

귀신잡는ROKMC 12-02-28 09:48 IP : c8575a62bb27209
부력8호 맞춤으로 지난 1월말 얼음낚시 조과 턱걸이 2수 찌올림 환상이었습니다. 동절기에도 올릴놈은 올린다는 제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추천 0

정타 12-03-02 12:38 IP : d35faeb312b1178
그날 붕어들 활성도에 따라 찌맞춤하는것이 최고죠
어떤찌를쓰던간에..........
좋은찌도있고 안좋은찌들도있지만 찌들에 바늘무게 목줄길이 등등....잘알고있으면
됩니다 먼저수조통에서봉돌바늘달고 영점찌맞춤하고 바늘을들어봅니다
어느정도올라오다가 찌는올라오지않고 목줄이꺽겨올라오는 시점이있습니다
바로그부분이 바늘무게가되는거죠 항상현장에서찌맞춤 다시하시고 이유는수압이다틀리죠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