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경험상으로는 단차 바늘의 경우 입질이 더 깔끔합니다.
이유는 윗바늘과 아랫바늘이 한대 엉켜있지 않고 떨어져 있기에 대상어종이 먹이를 흡입하기에 용이합니다.
또한 생미끼 낚시의 경우에는 단차를 더욱 많이 주시거나 두바늘 중 하나를 가지바늘 형식으로 쓰시는 것이
먹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대물 낚시의 경우 쌍바늘을 사용하시면 한바늘에 고기가 달리고 다른 바늘이 수초등에 걸려 랜딩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두바늘보다는 한바늘의 경우가 먹이 섭취가 깔끔하므로 많은 분들이
외바늘을 선호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부페로 하여서 붕어가 먹이 선택하기가 쉽고
바늘크기도 자유로 할 수가있어 좋은데요
누가 언제쯤부터 똑같은 길이로 붙여서 쌍봉을 하였는지
생각하면...떡밥낚시의 집어 효과 때문에 팔당댐,충주호
때부터 시작되지않았나 보구요,
그전까지만 해도 가운데봉돌의 양쪽에 바늘달리게들 하였는데...
단점은 표시 않하면 어느바늘에 반응을 했는지 징가민가? 한점 입니다.
신공님 말씀과 같이 아주 오래전엔 가지바늘이었죠 그 후로 충주 안동댐 대물떡밥이 성행할 당시 양삼봉이나 삼봉으로 집어를 하였죠 그 후 충주댐이 시들해지고 안동댐 잉향어치기 때 짜개를 사용하면서 양바늘 낚시가 유행하고 그 당시도 붕어치기는 삼봉이었죠 그 후로 댐낚시가 시들해지고 주로 강이나 못에서 일반붕어 낚시가 성행하면서 2본낚시를 하였죠 단차나 채비법이 수 없이 생겨 나오는 이유는 옛날 만큼 어자원이 없기 때문입니다 워낙에 고기가 마르다가 보니 디테일한 부분 까지 고려하면 더 잘 잡힐까하고 별방법을 다 동원하는거죠^^ 옛날낚시는 어짜피 잡히는건까ㅡ어찌하면 부더러운 찌올림이나 많이 밀어 올리는 찌를 추구하며 챔질 또한 정점에서 쳐서 핑ㅡ소리내며 잘을까 였었는데ㅡ요즘은 씨가 마르다가 보니까 내림 중층 등등 얼마나 많이 잡고 빨리 잡을까로 패턴에 변화가 생겼죠 어짜피 이럴바엔 밤새 쪼라서 월척 잡자고 다대편성으로 묵직하게 해서 뻣치기 하는거죠 요즘은 이러나 저러나 노지에서 전에 비해서 고기 잡기가 점점 어려워져갑니다 이러다가 보니 아주 디테일한 구분 까지도 질문에 올라오더군요 ㅡㅡ옛날식으로 답드리자면, 2본은 바닥이 편편할 때 단차는 미세경사면일 때 사용하면 입질에 빈도가 높고 입질 패턴도 비슷해집니다 경사면에 2본일 경우 떡밥이 추 근처에 있으면 깔짝거리거나 올림마디가 작고 떡밥이 추에서 멀리 뻣어 있으면 3ㅡ4 마디 입질이 보통이죠 일예로 평면에 단차면 일질패턴이 일정한 빈도가 줄어 들어서 매번 챔질타이밍이 헷갈릴 때가 많죠 바닥조건에 따라서 결정할 분분입니다 보통 단차없이 사용하는게 훨 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입질이 예민하거나 밑밥칠때 2본을 합봉으로 가능합니다 떡밥낚시 기본은 시작과 동시에 한 대당 밑밥 10회 이상치고 입질이 뜸해지면 2ㅡ3번 밑밥을 다시 치죠 떡밥낚시에 본질은 아주 부지런해야만, 충분한 조과가 보장되는 낚시입니다 길어져서 그만 줄이겠습니다.
장점은 미끼를 다른 종류를 썼을때
어떤 미끼를 먹었나 알수있죠.
이유는 윗바늘과 아랫바늘이 한대 엉켜있지 않고 떨어져 있기에 대상어종이 먹이를 흡입하기에 용이합니다.
또한 생미끼 낚시의 경우에는 단차를 더욱 많이 주시거나 두바늘 중 하나를 가지바늘 형식으로 쓰시는 것이
먹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대물 낚시의 경우 쌍바늘을 사용하시면 한바늘에 고기가 달리고 다른 바늘이 수초등에 걸려 랜딩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두바늘보다는 한바늘의 경우가 먹이 섭취가 깔끔하므로 많은 분들이
외바늘을 선호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바늘크기도 자유로 할 수가있어 좋은데요
누가 언제쯤부터 똑같은 길이로 붙여서 쌍봉을 하였는지
생각하면...떡밥낚시의 집어 효과 때문에 팔당댐,충주호
때부터 시작되지않았나 보구요,
그전까지만 해도 가운데봉돌의 양쪽에 바늘달리게들 하였는데...
단점은 표시 않하면 어느바늘에 반응을 했는지 징가민가? 한점 입니다.
밑밥달기도 수월하고..집어가 끝나면 본밥을 윗바늘에 조금 크게 달아 투척하는데
잘 통하더라구요..
그리고 바늘은 윗바늘은 조금 작은 걸루 하시면 될것 같으네요~~~
다음 출조시에는 단차를 두고 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