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마다 비소식이 있어 출조를 자제들 하시겠습니다만
출조시 무엇보다도 진드기에 조심해야할것같습니다.
뉴스발췌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6~14일 잠복기를 거쳐 고열(38~40도)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예방백신이 없고 심하면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로 사망할 수 있다.
지난해 경북에서는 33명(전국 243명)의 환자가 발생해 7명이 사망했다.
2016 ~2020년 전국에서는 1162명의 SFTS 환자가 발생해 195명이 사망했다.
이 기간 경북에서는 16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32명이 사망했다.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다.
경북도는 나물채취 및 야외활동 때 긴 옷을 착용해 피부노출을 최소화 하고 풀밭 위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해야 하며 귀가 후에는 옷을 세탁하고 목욕을 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잊고 있었네요 ..
긴바지는 필수지요.
몸살비스무리한데 무기력증과 오한 등등
사람 잡더군요.
뚜렷한 치료제도 없어서 대증요법으로
겨우겨우 살아났죠.
조심들 하세요.
그거이 잘 않된다는…
맴이 급해서 그런가봐요
특히, 봄철에는 정말로 자연에서는 조심 하셔서들 움직 이십시요~
일명 "카더라"구 우기는것은 본인의 정신에나 해당되지요.
그 몇%에 해당되기만 하면
그 긴 시간동안 아직까지도..
약도 없다는 글만 주지하시구 조심에 또 조심들 하십시요~
유언비어 이란것들하구 완전히 다른 이야기니 신경들 쓰셨으면 하네요.
아버지가 먼저 사망하고 떨어져나온 진드기가 다시 아들에게 달라붙어 피를 빨아 부자간 사망사고가 발생했죠.
100마리 중 한두 마리 정도가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장화를 신으시고 장화나 바지 겉옷에는 진드기 기피제를 꼭 뿌리시고 포인트나 이동통로에도 에프킬* 조금씩 뿌려주시기 바랍니다.
초기 증상은 온몸을 두들겨 맞은듯한 근육통,뼈마디 쑤심.
그러면서 고열이 일주일간 지속됨
독감인줄 알고 악으로 약 열흘을 버티니 열이 내림
며칠 후 무릎 뒤 오금이 간지러워서 긁다가 손에 뭐가 걸려서
거울로 비춰보니
지름 1cm터 가냥의 크기로 마치 화산 분화구 같은 상처 발견
어? 이거 뉴스에서 본거 같은데?
바로 인터넷 검색해서 확인해보니 쯔쯔가무시
제가 앓아 보니
정말 노약자나 기저 질환자들은 가겠더라구요.
한동안 깜빡하고있었네요 ㅎㅎ^^
보조가방에 킬라랑 진드기 기피제를 넣어놔야겠습니다~
물린자리 가려움증 겁나 오래가더군요..
자국도..석달넘게 나아서..
진짜 식겁하셨다고 하셨는데.....
진드기를 잊고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