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Hemiculter leuciscus
분류 잉어목 잉어과
생활방식 물 중층을 활발히 헤엄쳐 다님, 놀라면 흩어지지만 곧바로 다시 모임
크기 몸길이 18∼20cm
체색 은백색, 등쪽 푸른 갈색, 배쪽 흰색
생식 알을 물풀에 붙임
산란기 6∼7월
서식장소 하천의 흐름이 완만한 곳이나 넓은 연못 같은 곳
분포지역 한국(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중국·타이완
↑ 살치 /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머리가 작다. 주둥이는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다.
본문
몸길이 18∼20cm이다. 겉모양이 정어리와 비슷하다.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머리가 작다. 주둥이는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다. 눈은 비교적 크고 머리의 양쪽 옆면 중앙부에 붙는다. 입은 작으며 비스듬히 앞을 향한다. 입구석은 콧구멍 앞쪽의 밑에 닿으며 입수염은 없다. 아가미구멍은 양쪽 옆에 있고 넓으며, 아가미갈퀴는 짧고 빽빽하게 나 있다. 비늘은 비교적 크고 벗겨지기 쉽다.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뒤에서 시작하고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보다 훨씬 뒤에 붙고 거의 삼각형이다. 배지느러미 1쌍은 등지느러미보다 앞에 붙고 닿으며 거의 삼각형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좁고 길며 뾰족하다. 꼬리지느러미는 깊이 갈라지고 위아래 조각 모두 끝이 뾰족하지만 아랫조각이 윗조각보다 좀더 길다. 측선(옆줄)은 뚜렷히 나타나고 꼬리자루에 이르기까지는 배쪽으로 완만하게 휘지만 꼬리자루에서는 일직선으로 달린다.
몸빛깔은 은백색이나 등쪽이 푸른 갈색이고 배쪽은 희다. 몸의 양쪽 중앙부 살갗 속에는 폭이 넓고 짙은 빛깔의 세로띠가 나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어두운 색이고 다른 지느러미들은 연한 색이다.
하천의 흐름이 완만한 곳이나 넓은 연못 같은 곳에 서식한다. 물의 중층을 활발히 헤엄쳐 다니며, 놀라면 흩어지지만 곧바로 다시 모여든다. 산란기는 6∼7월이고, 알을 물풀에 붙인다. 먹이는 주로 유충류·갑각류 등이다. 식용하기도 하지만 맛이 좋지 않다. 한국(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치리와 구별해야합니다.
보통 한강이남 저수지,강계에서 잡히는 것들은 살치가 아니라 치리입니다.
치리는 우리나라 특산종이고 살치는 중국에도 있답니다.
등쪽의 외곽이 주둥이에서 등지느러미까지가 직선으로 향하고,또 꼬리자루까지 직선으로 되어있으면 치리입니다.
반면살치는 등외곽선이 둥그스럽게 휘어져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외관상으로는 구분이 까다롭습니다.
우리가 보통 살치라 부르는 대부분이 치리라는 결론입니다.
고수분께 패~스..!!
학명 Hemiculter leuciscus
분류 잉어목 잉어과
생활방식 물 중층을 활발히 헤엄쳐 다님, 놀라면 흩어지지만 곧바로 다시 모임
크기 몸길이 18∼20cm
체색 은백색, 등쪽 푸른 갈색, 배쪽 흰색
생식 알을 물풀에 붙임
산란기 6∼7월
서식장소 하천의 흐름이 완만한 곳이나 넓은 연못 같은 곳
분포지역 한국(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중국·타이완
↑ 살치 /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머리가 작다. 주둥이는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다.
본문
몸길이 18∼20cm이다. 겉모양이 정어리와 비슷하다.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머리가 작다. 주둥이는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다. 눈은 비교적 크고 머리의 양쪽 옆면 중앙부에 붙는다. 입은 작으며 비스듬히 앞을 향한다. 입구석은 콧구멍 앞쪽의 밑에 닿으며 입수염은 없다. 아가미구멍은 양쪽 옆에 있고 넓으며, 아가미갈퀴는 짧고 빽빽하게 나 있다. 비늘은 비교적 크고 벗겨지기 쉽다.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뒤에서 시작하고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보다 훨씬 뒤에 붙고 거의 삼각형이다. 배지느러미 1쌍은 등지느러미보다 앞에 붙고 닿으며 거의 삼각형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좁고 길며 뾰족하다. 꼬리지느러미는 깊이 갈라지고 위아래 조각 모두 끝이 뾰족하지만 아랫조각이 윗조각보다 좀더 길다. 측선(옆줄)은 뚜렷히 나타나고 꼬리자루에 이르기까지는 배쪽으로 완만하게 휘지만 꼬리자루에서는 일직선으로 달린다.
몸빛깔은 은백색이나 등쪽이 푸른 갈색이고 배쪽은 희다. 몸의 양쪽 중앙부 살갗 속에는 폭이 넓고 짙은 빛깔의 세로띠가 나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어두운 색이고 다른 지느러미들은 연한 색이다.
하천의 흐름이 완만한 곳이나 넓은 연못 같은 곳에 서식한다. 물의 중층을 활발히 헤엄쳐 다니며, 놀라면 흩어지지만 곧바로 다시 모여든다. 산란기는 6∼7월이고, 알을 물풀에 붙인다. 먹이는 주로 유충류·갑각류 등이다. 식용하기도 하지만 맛이 좋지 않다. 한국(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한겨울에도 새우를 물고 솟아올라 케미꽃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넘입니다. ㅡ.ㅡ;
살치가 많은곳에서 떡밥낚시하기란
쉽지가않지요 그러나 요줌처럼
붕어활성도가 졶을땐 부력을 좀무겁게해서
떡밥도 단단하게 뭉쳐 빨리살치 유형층을
벗어나는 것이다소나마 나아집니다
밤이대면 다소곳이 좀조용해지지요
토속어종 입니다
그래도 손맛은 좋아요...
합천호에서
찌를 내리지 못하게 하던 늠들...
떡밥 낚시하다 팔에 엘보 오게 한 늠들. 살치.
한번집어되면 징허게올라옵니다..^^;;
감사합니다.
허나,, 갈겨닌.. 깨끗허구, 디게 맛난다~~ㅋㅋ
혼잣말임돠~~^^
그 엄청난 블루길 집단의 성화에도 채비가 안착도 하기전에 미끼를 모두 따먹어 결국 항복 선언을 하게 만든 기억이 나네요.
살치 많는곳 가면 두손 두발 들고 짐 싸서 다른데로 이동 ㅎ
준치랑 비슷하게 생겻으며 크기또한 작습니다..
지렁이 넣을시 찌올림이란 완전 예술적입니다..ㅡㅡ
참고하시길....별로 안좋아하는녀석입니다..ㅋㅋ
보통 한강이남 저수지,강계에서 잡히는 것들은 살치가 아니라 치리입니다.
치리는 우리나라 특산종이고 살치는 중국에도 있답니다.
등쪽의 외곽이 주둥이에서 등지느러미까지가 직선으로 향하고,또 꼬리자루까지 직선으로 되어있으면 치리입니다.
반면살치는 등외곽선이 둥그스럽게 휘어져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외관상으로는 구분이 까다롭습니다.
우리가 보통 살치라 부르는 대부분이 치리라는 결론입니다.
살치나오면 낚시대 방향을 틀라고 하는
노조사님의 조언이 생각남..
늘~~~행복하고 즐낚하세요
한방 먹이고 갑니다
지금은 배스땜시.....
낚시거이 포기할정도로
베스가 잇는대도 살아 남으니 정말 생명력이 강한가봅니다
꽁치만한 살치!
정말 싫어요~
살치 설치면 떡밥낚시 진짜힘들어요^^;.....
살치가 우릴 괴롭히긴 하지만...
이것도 귀해지면 아쉽지 않을까요?
고유어종이라니, 이제부터라도 덜 귀찮아 해야겠네요.
살치는 활동성이강하여 아이들과 낚시할때는 정말 좋구요 그 살치를 이용해 가물치낚시
미끼로 사용하면 아이들이 우와 아빠최고다 합니다
찌 쭉쭉 올립니다~ㅎ
나름 힘도쓰고요~ㅎ
대상어종으로도 괜찮습니다
뼈가세어 두번 튀겨야 합니다 맥주 안주로 강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