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껏 물 바라보는 재미로 낚시하며 대충 바늘을 사용해 왔었는데,
채비에 믿음이 가질않아 전통 바닥낚시 를 제대로 한번 채비를 해보려고 합니다,,
떡밥 용 바늘과 생 미끼 용 바늘을 준비하려고 하는데, 선택이 쉽지 않아 도움을 청 합니다,,
큰게 아닌가 싶고, 작은 건 아니가 하는 생각도 들고,,
크거나, 작거나, 하면 바로 잡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떡밥 용
다나고(다이치) 7호, 이세 형(후지쿠)8호, 지누(다이치)2호, 이즈메지(다이치)10호,
생 미끼 용(지렁이)
다나고(다이치)9호, 이세 형(후지쿠)10호, 지누(다이치)3호, 이즈메지(다이치) 12호,
대물 용(새우, 콩, 옥수수)
이세 형(후지쿠)12호, 지누(다이치)5호, 이즈메지(다이치)14호,
개인의 취향에 따라 미끼 크기와 바늘 크기도 달라지겠습니다만,
보편적인 사용을 기준으로 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냥 대충 물 보는 재미로 하다가, 제대로 한번 해 보려고 하니 생각해야 할것도 많고,, 쉽지 않네요,,^^
많은 도움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작은 행복이나마 늘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떡밥은 위의 바늘이면 무난할것같고요.떡밥안해본지가 오래되어서..^^
생미끼와 대물바늘을 분리해놓으셨는데
너무 복잡할것같습니다.
그냥떡밥바늘만 분리하시고 대물바늘을 같이사용하심이 어떨까요.
이세바늘은 12호정도면 지렁이,옥수수,콩 무난할것같고요.
지누바늘 5호정도되면 새우,콩,옥수수여러알꿰기 다 가능합니다.
이즈바늘은 좀 약하지않을까요.
14호정도크기면 지누4호정도크기니깐 참고하시고요.
저는 떡밥할때는 진짜 작은바늘 많이 써요 4호부터 7호까지...
물론 노지떡밥낚시고요...이세바늘은 보면 알겠지만 상당히 굵습니다..무게도 더 나가겠죠
다른건 달사랑님의 의견과 같습니다(전 지누5호나 6호사용)
대물낚시 아니어도 잠깐씩 하는 지렁이 낚시에도 지누5호 혹은 6호씁니다.....지렁이쓸때는 조금 큰 바늘이 좋은것 같더군요
왜냐하면, 원줄 크기에 따라 목줄크기도 변화시킬필요가 있고 나아가 길이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름대로 낚시테크닉을 배우실려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일요낚시사이트에 있는 동영상으로 배우시면 금방 깨우치실 겁니다.
다나고 바늘은 바다에서 망상어(붕어와 비슷해요)를 잡을때 쓰던 바늘을 민물의 붕어낚시에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바늘끝이 직선이고 뒤틀림(좀더 바늘에 잘 걸리게 하기위함)이 큰편이지만
바늘이 가늘고 약한 편이라서 밑걸림이 많지않은 곳에서 떡밥낚시용으로 적합하지요.
이즈메지(이두메지나)바늘은 약간 굵고 끝이 살짝 굽어 잉어용으로 많이 사용했습니다.
지누(감성돔)와 이세형바늘은 굵고 끝이 굽어있어 걸림성은 떨어지지만 한번걸리면
고기를 잘 놓지지 않아서 대물낚시용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강제집행을 위해서는 지누 4,5호를 쓰시고요
밑걸림이 많지 않다면 미끼크기에 따라 지누2,3호도 충분하지요
저는 가끔 구레(벵에돔) 바늘을 쓰기도 하는데요 바늘 길이가 조금 짧아서 고기가 미끼흡입시에 바늘귀로인한
이물감을 조금 덜 느끼게하려 할떄 써본답니다.
그리고 여러가지 묶음법은 필수입니다.
안돌리기, 바깥돌리기, 간편묶음, 어부묶음 등등 바늘 묶음도 많구요
원줄 및 목줄 연결시에도 8자매듭, 전차매듭, 세미브라이트법 등 알아두면 좋아요.
특히 바늘은 캄캄한 밤에도 묶을수 있도록 연습해두시면 금상첨화죠*^^*
이강 짧은 소견을 말씀드렸는데 혹시 미비한점이 있더라도 너그러히 봐주시구요
태클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제가 독수리라 넘넘 힘드네요 ㅋㅋㅋ
제대로 한번 해 보겠다는 생각에, 복잡하기만 했던 채비의 선택,,,
덕분에 어느정도 정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날씨가 다시 쌀쌀해지는군요,, 건강 유의하시고 늘 행복 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