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한동안 잊고살았던 대물낚시에 다시금 푹~ 빠져서 주말만되면
출조길에 나서는 초보대물조사입니다~
한가지 고수님들의 경험(?)에 토대를삼아 대편성스타일을 좀 바꿔보려 합니다...
회원님들 고수님들께 자문을 좀 구하고자하는것이 있어서요^^;;...
여지껏 특별히 수초대나 부들, 갈대등이 어우러진 포인트가 없는.. 맹탕 이라고들하죠?^^
그런곳에서는 적당히 낚시하기 편한곳(물론 주위환경과 여건을 생각해서잡긴하죠^^)을 잡아 자리를잡고
짧은대를 가장자리부터 긴대를 중앙쪽으로 부채꼴로 대편성을했었습니다..
그런데 여지껏 경험상 그렇게 대편성을 하였을때 항상 중앙쪽으로 깔아놓은 긴대쪽에서는 입질을 받은
적이 거의 없었습니다.. 물론 간혹있긴 하였지만 극히 드물었던것같네요...
더군다나 잔씨알이나마 붕순이 얼굴을 보았던 대는 항상 약간은 바깥쪽으로 깔았던 짧은대가 주를
이루었던것같습니다. 한참 이런생각에 빠져있을때 '갓 낚시' 하시는걸로 유명하시죠? 서찬수씨의
갓낚시 이론을 잠시나마 인터넷으로 읽었던적이 있는데 저의 눈길을 확~ 끄는 구절이 있더군요..
'깊은곳에 머무르고있는 붕어는 휴식을 취하고있는 붕어일뿐, 먹이감에는 관심이없다. 수심이 얕은곳
연안쪽으로 나와 활동하는 붕어들이 주로 먹이활동을하고 먹이감에 관심을보일 확률이 높다'
대충 이런내용이었던거같네요.. 굉장히 저 나름대로는 공감이많이가는 내용이었습니다...
실제로도 깊은곳에 깔아놓은대는 큰 의미가없는거같다.. 는 생각을 많이하고 있었구요
습관적으로 깔던 부채꼴형태를 버리고 적당한 수심층을 골라 적당한 간격을두고 일열로 편성을해볼까합니다.
약간의 수심 차이를두어 지그재그(?)형태도 괜찮을듯 하구요..
월님들 가장 선호하시는 수심층이 어떻게 되시나요? 아님 덩어리도 좋고 잔씨알도 좋으니 가장 입질을
많이 보았던 수심층을 말씀해주신다면 참고해서 앞으로는 그정도 수심층을 노려볼까합니다..
언제나 건강하시고~ 워리~~ 하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저는 고수는 아니지만 그런 맹탕못을 공략한 적이 많습니다.
지금도 가끔이면 손맛본다고 다니지요
님께서 말씀하신것 처럼 부채골로 낚시대를 폈을 때 긴대에는
거의 입질이 없었습니다.보통25,29,30대에서 입질이 많았습니다..
저는 주로 연안 가장자리 부분을 많이 공략하는 편입니다.(갓낚시형태)
또한 조금이나마 있는 갈대,부들쪽을 공략합니다.그러면 마리수 조과는
아니지만 분명좋은 입질은 볼수 있을겁니다..
수심은 1m미만입니다.(1m,60cm정도)입질은
다양한데 보통 쪽빠는 입질이라 할까 그런입질이 많습니다.
허접하게나마 몇자적어 봅니다.도움이 될련지^^
안출하시고 월하시길,,,,,
대편성은 거의 M자형태로 지그재그로 붕어의 회유로를 노립니다.
전 가장 짧은대가 중간에 위치하고 양가로 가면서 긴대 짧은대로 여러 수심층을 겨냥합니다.
저도 깊은곳엔 고기없다고 생각하기에 찌만 세울수 있다면 포인트로 생각합니다.
11월에도 양가로 긴대 수심 50센치에서 워리 몇수 했네요...
짧은대로 수심이 얕은곳을 노리긴보다 긴대로 노리는게 훨씬 유리했습니다.
인기척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얕은곳의 붕어가 경계심이 더 강하기때문이죠...
또하나...계곡지의 갓낚시는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물속 지형을 웬만큼 읽을줄 알아야 되고 입질도 바닥낚시와는 많이 틀립니다.
서찬수님의 갓낚시...실제로 해보면 다대편성 많이 못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끌고 들어가는 입질...바닥둔턱이나 물골을 찾아야하니까요...
저도 계곡지 갓낚시 몇번 해봤는데...
조과면에서는 월등했지만...찌올림이 그리워 바닥낚시만 합니다.
부채꼴모양의 대편성...보기에만 편합니다...
여지껏 월척들은 요 수심에서 잡았던 기억이 있어서리..
맹탕지의 경우 특히나 뻘이없고 돌이나 마사토등으로 이뤄진 경우 특히 앝은 수심에서 입질을 많이 합니다. 이유인즉 새우나 참붕어가 돌밭을 좋와하기 때문에 그쪽이 먹이가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그런경우 50~100Cm 정도의 수심으로 즐겨 대편성을 합니다. 즉 갓낙시 형태가 되겠지요. 또한 뚝방에 앉아서 낙시를 편성할때도 마찮가지고요. 앞으로 치는 낙시대는 가급적 짧은대를 편성해서 수심이 많이 나가지 않도록 대편성을 하고 한두대 정도만 긴대로 멀리 던져놓지요.
수초대의 대편성은 수초대가 있는곳은 물론 수심이 많이 나가지 않을것이니 당연히 앝은곳에 대편성이 되겠지요. 결론은 수심이 앝은곳에 붕어의 먹이가 풍부하고 그에따라 붕어의 먹이 취이활동이 이뤄지니....
모두들 대물하시길 바라며.... 주위의 쓰레기를 조금씩이라도 주워가신다면 내나라 내강산이 그만큼 건강해지겠지요?
경산의 일체유심조입니다.
제 사부님이 말씀해주신 말씀 간략히 적겠습니다.
"새우의 습성을 알고 들어가먄 공략수심의 답이 있다"
좋아하는 수심은 30~100cm 정도입니다.
but.
소란한 장대보다는 정숙한 짧은대가 낫다고 생각합니다.
I" a stone
때묻지 않은 계곡지의 갓낚시 재미있는면도 있습니다.
산속에서 감생이의 입질을 볼수 있습니다.^^
이 때 제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먼저 가장 긴대와 짧은 대로 수심 CHECK를 합니다..
그리고,그 차이가 분명 있을 듯 합니다..
다시 중간대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부분을 다시 찾습니다..
이 때 턱진 부분의 아랫 부분과 올라와 있는 부분을 번갈아 가며 낚시대를 폅니다..
그러면서 턱 윗 부분은 찌를 약 3 ~ 5 마디 정도 위로 올려 놓고 나머지 턱 아랫 부분은
케미 포함한 한 두 마디 정도 올려 놓고 낚시를 하는 편입니다..
그리고,마지막으로 아주 긴대를 저수지 안쪽 부분에 한대를 폅니다..
이 대엔 참붕어건 새우건 최고 큰것을 끼워 놓고 기다립니다...
이것이 계곡지 낚시할 때의 제 형태입니다..
그리고,찌의 위치에 따라 의자를 최대 1.5M까지 뒤로 놓고 낚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을 하더군요!! 소음 문제로 인해...
케미는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약 1m권 이하인 경우엔 케미를 절반만 꺽고
그 이상인 경우엔 정상적으로 케미를 꺽습니다..
단 물이 너무 맑은 경우엔 최대 1.5m 수심에도 절반만 꺽어 사용하는 편입니다..
조황이야 10번 나가서 한번 잡으면 횡제라 생각하니..... (<-제 기준입니다.) <br/>
즐거운 낚시 하세요!!
왠지 모르게 얕은 수심에서 큰 녀석이 나올것 같아 그렇습니다
이제까지 상면한 녀석들도 거의 대부분 1m이하 수심에서 나왔습니다
맹탕지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심 깊은 곳보다는 얕은 곳에서
긴대로 낚시하는 것 별로 좋아 하지는 않지만
연안쪽 수심 낮은 곳을 노릴때 긴대를 이용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이해가 가죠?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각 각의 낚시대마다...분명한 이유가 있어야합니다.
그냥 자리가 비어서...던지는건 무의미합니다.
수심층은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조금씩 틀리기 대문에..이거다라는 수심층은 없읍니다.
다만...지금 이시기는 1미터 미만이 조금 더 좋고 산란이 모두 끝난후면 그 이상도 노리고 다양한 수심층을 공략하는게..
정석입니다.
지금은 얕은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