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저수지 물이 빠지고 있으면 입질 받기가 힘드나요?

IP : bff1d43334ad120 날짜 : 조회 : 3823 본문+댓글추천 : 0

어제 밤낚시를 갔습니다 많은 비로 인해 무넘이로 물이 철철 넘쳤고,, 새물로 인해 육초가 물에 잠겼는데요.. 물속에 꼽아 놓았던 받침대가 오후11시 정도 되니까,, 두뼘정도 물이 빠져 있더라구요.. 그래서 입질이 없었는지 여하튼 꽝치고 왔습니다 분위기는 좋았는데,,, 물이 빠지면 입질받기가 힘드나봅니다 고수님들의 의견은 어떠십니까? 또한가지 여쭙자면 완전 물이 뒤집어진 상황이었습니다 (무슨 뜻인지 아시죠? ) 그렇게 탁한 물에서도 참붕어나 새우 미끼가 먹힐까요?

1등! IP : 6305ac144d5235d
붕어들은 물이 빠지면 본능적으로 수심깊은곳으로 이동하여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5월 첫 배수시에는 열흘에서 보름정도 조과가 시원치 않지만
배수가 두번 세번 반복되면 붕어도 어느정도 적응을 하여 그시기가
단축됩니다.
적응을 아무리 잘해도 배수때는 2일 정도 조과에 영향을 주기에
그 시기를 잘 맞쳐 출조를 해야만 좋은 조과를 올릴수 있습니다.

오분만 청소합시다.
추천 1

2등! IP : 88ff7c9cf6cca63
어제밤 밤낚시 하고왓습니다

꽝치고 왓습니다,,,,

큰고기만 잡을려고 새우만썻으니;;;

무너미 물넘쳐 흐릅니다

아침에보니 물이 빠져있는걸 확인햇습니다

입질 큰거만 못받았지 잔챙이는받앗습니다

좀 떨어진 곳에선 월척도 나왓습니다

강제배수가 아니고 무너미로 넘쳐흐르는것이니 입질하고직접적인 관게는없는것으로보입니다

루마님하고 같은상황에선 절반은 못잡고 절반은 잡는것같았습니다

그러니 혼탁한 상황에서도 새우 입질에 대물은 잡히는걸 보았으니 일질은 한다고 봐야겟지요
추천 0

3등! IP : e4c176c0e1f29e9
중대형 계곡지에서 7시간만에 30cm정도 빠지는데 밤에 누가 몰래 수문을 열고감....(포타가 올라와서리...)
월척은 못했지만 6~8치급 10여수 손맛은봤습니다~~

이놈들 기분맞추기 졸라어렵습니다~~정안수뜨고 빌어야할듯~^^
추천 0

IP : 633a854fd883216
물빠져도 대박나는경우 있고, 새물유입오름수위에 꽝치는 경우 많습니다. 떡밥에 배스가 나오는 경우있고,

지렁이에 잉어 대구리 물려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연현상에 정답은 없습니다.

모릅니다. 결과는 아무도 모릅니다. 루바님 의견 물어보지 마시고 한 번 더 출조해 보세요. .

어떤 조건에서 낚시를 해도 될까요 라는 식의 글을 보면 저는 "잘될지 모르니 한번 해 보세요" 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추천 0

IP : b1d28465e9349b4
물이빠지면 조황이 부진한것은 사실입니다

이럴땐 수문가까이로 이동을 하시면 조과는 좀나아질수있습니다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추천 0

IP : 8612a343f403133
1. 배수....
수문을 열어서 배수가 진행이되면 붕어는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먹이활동 중단은 저수지 전지역입니다.
물은 최하류에서 빼지는데....
최상류에있는 붕어도 바로 알고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배수중일때는 대부분 조황이 별로 좋지못합니다.
2. 흙탕물속에서...
많은 비로인해 흙탕물이 저수지에 유입됩니다.
약간의 흙탕물이면 생미끼로 입질을 받을수있습니다.
그러나 많은양의 흙탕물과 물의 탁도가 탁하면은 입질이 없을수도 있습니다.
그때는 중류나 하류쪽으로 이동을 해야합니다.
추천 0

IP : c1ace2ec9ed354b
어떤 상황이던 입질들어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황반장님에 말씀이 백번 옳다고 봅니다.
붕어가 아닌이상 붕어를 알수가 없다고 봅니다. 사람인 나도 다른사람들을 모르는데 붕어에 대해 인간이
어찌 판단을 내리겠습니까?
추천 0

IP : bf9418637be3f56
강제 배수라면 당연지사 조과의 영향은 있겠지만
.
많은 강수로 인해 무너미 쪽에 물이 넘쳐 흐른다면 ( 자연배수 )
.
조과에 큰 영향이 없다고 생각 합니다.
--------------------------------------------------------------------------------
물의 탁도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 합니다.
.
저수지 전역이 모두 뻘물이 졌고 눈으로 보아도 탁도가 지나치면 낚시가 어렵지 않겠나 싶습니다.
.
진짜로 낚시 하고푸다 싶으면 ^^;
.
생미끼로 특히 지렁이로 공략해 보시고 하류쪽을 가심이 어떠실런지요...
.
↘ 고수님께 패쓰~
추천 0

IP : a8458c0d9aafbe6
당연히 조과에 영향을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붕어의 생존에 엄청난 영향을주니까요.
두뼘이라면 배수가 많이되었네요.
수심깊은 곳으로 은신하겠지요.
배수가될때는 재방쪽 깊은곳에 대를 드리우는것도 좋을것같습니다.

미끼는 흙탕물이라면 지렁이가 좋겠네요.
추천 0

IP : 2c5b564c0b291da
배수와 자연배수시 고기는 잡힐 확률이 5- 10% 정도이거나 꽝 입니다.. 저수지의 붕어들은 항상 갇힌 물에만

살아 왔습니다..

물이 빠지거나... 물이 넘쳐 흐를때는 붕어는 물속의 유속을 미세하게 감지합니다...

물이 갇히는 시점과 적당한 햇빛으로 달군 오후내내 햇살이 있을즈음... 혹 오늘과 같은 날씨에는 충분히 큰놈들이 움질일

겁니다... 오늘 내일이 아마도 피크라 생각됩니다...


물이 넘치지 않는 새물유입구는 그야말로 천상천하 유아독존이 될수 있지만... 큰비로 넘쳐 흐르는 물에는 그다지 달갑지 않습니다...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IP : be54c9a75e934a3
토요일오전 상주 유명한 연밭에 다녀왔읍니다.

뻘물진상태에서 행여가져간 지렁이두통이 모자라 세통더사와 모두 썼읍니다.

낮엔 일곱치 여덜치 붕어 나오더니 밤엔 동자게 일색이였읍니다.

밤에 비많이와 찌계속 올려야했읍니다.

너무 급한오름엔 큰붕어는 움직이지 않는것같아요... 참고로 삼주전 산호지 오름수위에 잔챙이 구경만 했읍니다.

자리두번옮기고도......
추천 0

IP : 2a624b2280c8c45
강제 배수가 이루어지면 붕어의 활동에 변화가 큼니다. 물길의 흐름이 급속이 변하므로
민감한 붕어는 먹이 활동을 줄이게 됩니다. 입질은 자연 뜸 할 수밖에 없지요 잔잔한 저수지에서 강제배수가 이루어지면
물길의 변화는 크겠죠, 물 흐름을 피해 파장이 적은곳에서 지렁이나 새우미끼로 도전하세요 탁해도 먹힐때가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