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진실인가요?

IP : 0da8f4e9c30da41 날짜 : 조회 : 2871 본문+댓글추천 : 0

낚시란 아무리해도 자신이모르는 중요한것들이 참많더라고요 근래와서 잘아는회원들이랑 실랑이를벌이고있는데 그내용이먼가하면 저수지를 돌아보면 가끔씩 같은저수지인데도 물색이 맑은데도있고 뿌엿게 흐린부분도있슴니다 아니면 저수지 전체물색이 희뿌엿게 흐린곳도있슴니다 과연이런현상들이 고기들의 움직임과 먹이활동으로인하여 흙탕물이됀건지 아니면 저수지 부유물이 발생하여 흙탕물이됀건지 여러분들의 정답을기다림니다

1등! IP : bd400e2bd44d262
두가지 다 맞는듯 싶은데요..

산란철이면 실제로 물고기들의 산란 때문에 물빛이 흐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류지의 경우는 저수지 전체가 흙탕이 되다시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유물이란 표현은 조금 아니고~
바닥 상태나 프랭크톤등의 번식 과소등에 따라~
한 저수지 안에서 물빛이 맑은 곳이 있고 흐린 곳이 있답니다.

상대적으로 물빛이 흐린 지역을 포인트로 선정하고 포인트로 삼기도 합니다.

물빛이 흐려지는 과학적인 자세한 얘기는 해박하신 고수님들에게서 해 주실겁니다.
추천 0

2등! IP : 43d598df945a986
제생각에는 고기의 활성도와 물색과도 관련이 있지만 물색이 탁한 가장큰 이유는 물속 플랑크톤의 양과 관련이 있는것이로 압니다~ 겨울이 되면 플랑크톤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어 맑은 물색을띠죠..^^
이상 허접한 답변이 이었습니다^^
추천 0

3등! IP : 45d965a1d75c71c
저의생각과같은 의견이 나왔네요, 저두 소류지나 자그마한 못을많이다니는편이만 그런걸 많이 보앗지요, 근데 조력이많은분이 고기가 많이움직이는곳이 물색이 더좋다고 하시드라구요~~
추천 0

IP : 64cccec582c810a
조류 등의 미생물들이 활발히 움직이고 종족유지를 위한 번식을 하면 먹이사슬의 차상위 상위 포식자들은 활발히 취이활동 및 사냥을 하는 것이 비정하면서도 역동적인 생태계의 건강한 모습입니다.
이 때의 물색은 대체적으로 막걸리를 약간 썩은 듯한 뿌연 색으로 0.5m의 수심에서도 바닥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늦봄에서 가을까지의 보통 못의 물색입니다. 통상적으로 물색 좋다고들 하죠.
수온이 낮은 겨울이 되면 미생물의 활동도 둔화되므로 물색이 맑아 집니다.
초봄 낚시를 할 때 흔히들 못의 물색을 보고 너무 맑으면 이 못은 아직 이르다고들 하지요.

못의 부분적인 물색의 맑고 흐림은 유입수로 인한 경우, 수온에 따른 미생물의 활동차이, 수중 생물들의 산란과 왕성한 활동 등에 의할 수 있다고 봅니다만 모두가 수온과 연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색이 좋은 곳은 거의 수온이 차지는 않더군요. 즐낚하세요.
추천 0

IP : ba2f0d1589f75c4
바람으로 인한 물뒤집힘 현상도 있읍니다. 주로 맞바람이 치는 살류 얕은 수온이 잘오르는 곳에서 빈번합니다.

이곳은 수심이 얕아도.... 오후녁에 수온이 오르면...대물들이 놀이터 삼아 잘나옵니다만.....

꾼이 물가로 접근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지죠.... 조용히 낚시합시다.
추천 0

IP : 116482962c4a1df
바닥의 상태에 따라서도 틀리고요

바람의 영향도 받을수 잇고요

플랑크톤의 활동 여하에 따라서도 틀릴수 있을것입니다

물론 바닥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의 활동이

활성도가 좋은가 나쁜가도 매우 중요 하겟지요

수온이 내려 갈수록 물속 생명체들의 활동이 적어져서 물빛도 맑아지겠지요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추천 0

IP : 503d7d8f31cc862
요즘 플랑크톤 땜시 물색이 맑아지는 그런경우죠
추천 0

IP : 9441a800e0277d1
죄송합니다.. 전날 제가 그물 들고 가서 붕어 잡았습니다.. <-- 농담입니다..ㅋ <br/>
저도 그런 분이 한분이라도 있었으면 합니다..

쉬는 날이 불규칙적이라서 그런지 대 부분 혼자 낚시다니니..

혼자 하늘 보고 야그하는 편이라서 실랑이 벌리지도 못합니다..ㅋㅋㅋ

부럽습니다...
추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