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가지 채비유형이 공통적으로 잠자리 무게에 해당되는 만큼 찌가 내려앉겠죠. 다만....
(그 무게는 내려앉은 찌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값과 같구요. 바닥채비는 아마도 단면적이 큰 주간캐미부분이 수면에 걸려있어서 찌가 내려가지 않은것 처럼 보일 수 있었고, 내림채비는 단면적이 작은 찌톱이 수면에 걸려 있었기 때문에 큰 높이 차이로 내려앉았을 것으로 예상 해 봅니다.)
이것은 빈 배에 물건을 실으면 배가 점점 내려앉는것과 같은 이야기죠.
내림낚시 상황에서 찌톱의 직경과 내려앉은 길이만 알아도 그 부피값 산출이 가능하니, 잠자리의 몸무게를 대략 계산해서 유추해볼수도 있겠죠.
작은 무게여서 그닥...
스위벨에 아랫봉돌로 무게를 많이주면
떠있는 윗봉돌이 가벼워서 아주 살짝 내려가는 경험은 해봤습니다
봉돌이 수중에 떠 있다면 가라앚을 여유공간이 있ㄴ 반면에 바닥에 봉돌이 닺아있다면 원줄의 버팀에 봉돌은 아래로 내려갈 여유공간이 없기때문에 잠자리가 앉아도 보티나봅니다
말 그대로 풍덩채비일 경우
봉돌 위부터 찌 사이에 잠자리의 무게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부력이 있기 때문에
잠자리가 앉아도 영향이 없겠지만
봉돌은 바닥에서 살짝 뜨고 바늘만 바닥에 닿는 슬로프 형태의 가벼운 찌맞춤일 경우
잠자리가 앉아도 찌가 살짝 내려갑니다.
위 여러 고수님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원봉돌 바닥채비 채비의 찌 부력정도면 잠자리 정도무게는 버틴다는?
생각보다 잠자리가 안무겁네요^^
그러면 내림찌를 바닥채비에 적용해도 봉돌의 영향으로 잠자리의 무게를 버틸수 있을까요?
자꾸 꼬리에 꼬리를 무네요 궁금증이 ㅎㅎ
(그 무게는 내려앉은 찌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값과 같구요. 바닥채비는 아마도 단면적이 큰 주간캐미부분이 수면에 걸려있어서 찌가 내려가지 않은것 처럼 보일 수 있었고, 내림채비는 단면적이 작은 찌톱이 수면에 걸려 있었기 때문에 큰 높이 차이로 내려앉았을 것으로 예상 해 봅니다.)
이것은 빈 배에 물건을 실으면 배가 점점 내려앉는것과 같은 이야기죠.
내림낚시 상황에서 찌톱의 직경과 내려앉은 길이만 알아도 그 부피값 산출이 가능하니, 잠자리의 몸무게를 대략 계산해서 유추해볼수도 있겠죠.
예의 일화도 조조에게 코끼리가 선물로 들어왔는데.
당시 보통의 저울로는 무게를 잴 방법이 없는 상황이었는데 그 아들이 코끼리를 배에 태워서, 코끼리 무게를 쟀다는 일화도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