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36, 38, 40이상~ 길이의 낚싯대의 사용 빈도수를 여쭙니다.

IP : 8ec05fd3caa01ac 날짜 : 조회 : 4237 본문+댓글추천 : 0

조사님들 대편성에따라 차이가 크시겠지만, 발 앞부터 수초가 빽빽히 깔려있고 저수지 중앙까지 듬성듬성 수초가 난 포인트가 경북에는 많습니다. 다수의 포인트가 이런 경우인데..이 경우 36대 이상의 장대들을 조사님들은 얼마나 자주 사용하시는지요..? 대가 너무 길면 컨트롤 문제도 있고 밤에 구멍에 넣기 어려울것 같단 생각도 듭니다. 항상 32대까지 빈번하게 써왔는데 36대 이상의 긴 대를 각 칸수마다 한대 이상 마련해야할지 그 필요성이 궁금해서 선배님들께 여쭙니다.

1등! IP : 5c4cbdf2d6926b6
붕어자원이 자꾸 줄어들고 낚시를 취미로 삼는 사람이 늘어나다 보니

낚시터엔 사람들로 꽉차고... 이로 인한 소음과 온갖 방해요인으로 인해

붕어는 자꾸만 멀어져 가니 ....꾼의 답답한 마음에 좀 더 인적이 먼 곳, 좌,우로 최대한 벌려

손이 타지않은 자리를 긴 대로 공략하고 픈 꾼의 간절함이 자꾸만 장대를 구입하게 만들어 버리네요~~!!

또 요즘 추세(?)가 긴 대로 갓낚시.........

제 생각은 여건에 따라 3.0칸 이상으로도 가능하고

3.0칸 아래로도 하룻 밤 낚시가 가능 할 정도면 충분해 보입니다.

그렇다고 한번에 장대를 구입하시면 재정부담이 ...............

천천히 하나 씩 늘려가는 재미를 추천합니다~!!!
추천 2

2등! IP : a394adf10cfe3a4
그런 포인트가 산재해있는 경북이부럽네여.. 발앞까지 수초가 무성하다면 언저리공략만으로도 훌륭하지않을까봅니다
연안과근접한 포인트에도 맘에드는 포인트가 있는데 굳이 먼거리 장대로 욕심내는게 연안접근하려는 붕어에게 경계심이 되지않을까싶네여 희나리님꼐서도 경험으로도 익히 알고계신부분이라고 여겨집니다.. 긴대 2대정도는 그래도 가지고있는게 좋겠지요
추천 1

3등! IP : 956357a17a5f6af
36대 이상은 갓낚시 형태로 마이 사용 하죠.

어떤 때는 긴 대로만 갓낚시 많이 합니다.

마무래도 긴 대는 쩐이 많이 들죠. 그래서

두대 또는 세대 정도 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추천 1

IP : bd400e2bd44d262
3.0 이하는 거의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발 앞 수초가 좋아도 옆에서 공략하거나 물러나 앉지요.

챔질의 횟수가 적은 대물낚시의 특성 탓에~
장대 공략이 행동도 자유롭고 몸도 편한 것 같습니다.
추천 1

IP : 5951257b362a3df
저는 짧은대 위주로 편성(2.1 ~ 3.2칸) 하다가

갓낚시 기법도 사용해볼겸 먼거리에서 끌어내는 참맛을

느껴보고자 긴대위주(2.9 ~3.6칸 쌍포위주) 패턴을 바꾸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4.0 그리고 4.5칸 까지 한대씩

가볼까 합니다.
추천 1

IP : 5ed7d0c9ba0840f
초보꾼이 답변달기는 민망합니다만, 긴대는 긴대데로... 또 다른 매력이 있습니다. 두세번 이상 사용해 보지도
않은채 미리... 마음속의 꺼려함 또는 투척의 어려움을 이유로 멀리 하기에는 무척이나 아깝습니다. 또한, 낚수대
구비 칸수는 취향보다 지형.. 등의 현지 특성이 우선해야 한다고 봅니다. 취향에 따른 선호 칸수도 중요하지만,
현장에 맞는 적정 채비가 그날 그날 조행의 만족감을 최대화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꼭 넣고 싶은 포인트가 있는데, 32 이하 대로는 아무리 해도 그 자리에 넣을수가 없었다면, 너무 너무 찝찝한
마음이겠지요. ^^ 여유가 있으시다면 사잇대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36 40 44 각 한 대씩 칸수를 늘려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어복 충만하시길....
추천 1

IP : d83731c45efa44e
짧은대로 낚시가 가능하면 가능한 짧은대가 낚시하기 편하고 좋습니다!

보통 34대가 넘어가면 가볍더라도 앞솔림과 길이 때문에 여러번 투척하면 귀찮고 짜증나고 힘드는 부분이 많습니다!

대물낚시 조사님들이 한방 한방 그러시지만 실제 새우 옥수수 미끼에 잔챙이 성화와 잡어 그리고 물방개 징거미등등...

낚시대를 들었다 놓았다 자주 해야 됩니다!

편하게 하룻밤 즐기실려면 짧은대 위주로 펴면서 꼭 넣고 싶은 포인트에는 장대를 쓰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요즘은 44대까지는 보통 사용하는 추세이며 34 36 38 40 42 44 정도는 필요할듯 합니다!

또 요즘 대물낚시인들 거의 90%이상은 36대 펴는 것으로 보는 것이 맞을것 같습니다!!!
추천 1

IP : b053abf2f3d172f
포인트에 따라서 대편성하는것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저는 주로 초봄에는 물색과 예민한붕어를 감안해서 긴대(3.0이상~42대 이하)를 자주 사용합니다~

봄이 무르익어가고 여름으로넘어갈때에는 섞어서 사용을 많이 하구요~특히 수초대가 형성되면서부터는

2.0~3.4 정도를 많이 사용합니다~그리고 가을이 무르익어거면서 부터 추워지기 전까지도 이런 위주로

짧은 낚시대 (2.0~3.2대)를 사용하구요~11월이 넘어가면서 부터 겨울시즌에는 (3.0대 이상~4.2대)까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 경우 시즌중이라면 긴대를 길이별로 한대정도 씩만 있으면 될듯합니다만~

특수한 상황이나(땟장을 넘기거나 독립수초대 공략 등) 붕어 비수기에는 긴대사용이 빈번하고 필요하기 때문에

칸별로 두대 정도는 가지고 있으면 편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제 경우, 제 생각이구요~제일 중요한건

자신의 낚시 패턴이나 자주가는 포인트 여건등이 아닐까 생각 됩니다.

준비 잘하시여 돌아오는 2009년 시즌에는 월이 상면하세용~
추천 2

IP : 788a6aa8ec98c8a
예전에 향어와 잉어 대낚시를 자주하여 지금도 짧은 대를 선호합니다.
낚시대 수를 어느 정도 펼 때는 대부분 짧은 대 이주로 편성합니다.

그러나 짧은 대로 공략하기 어려울 때는 긴대(그것도 주로 3.2대 수준)\만 사용하기도 합니다.

꼭 긴대를 사용해야할 지역이 아니면 가급적 조용히 짧은 대로 잡습니다.
추천 1

IP : 5943dff3b0c0d5e
저도 32대를주력으로 했는데 어느날 갑자기 긴대가 쓰이더군요^^

포인트에 따라 긴대가 필요할때가 있으니 종류별로 준비하심이 나을듯합니다..

앞??쪽에 멋진 포인트가 있는데 긴대가 없어 공략을 못하면 그날밤이지나고

후회하지않을까요??^^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추천 1

IP : 93d4ec0af7f5adc
36대까지 아직 미사용 이지만 이번시즌이 시작되면 천수만가서 던져 봐야겠어용 ㅎ
추천 1

IP : e3d4dae9ad5e3ed
36이상 거의 사용 100프로...

같은 곳의 포인트에..... 1.5칸대 보다 3.6칸대를 던지면 씨알이 더 좋읍니다.^^
추천 3

IP : 16d500fb8bc7485
모르겠습니다.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를수 있지만,,,
36, 40은 매번 다 던진것 같습니다.
추천 1

IP : 6b44093f7a14210
출조할때마다 20대에서 44대까지 다양하게 사용합니다..

36칸에서 44칸까지는 꼭 사용하는 편입니다....
추천 1

IP : 36e37fa769080f6
전 40까지 밖에 없지만...

갓낚시 형태로 1대 그리고 중앙 부근 먼 곳에 1대는 꼭 36이상을 넣습니다

그리고 주문을 겁니다...

낚시대 칸수만한 고기야(36 이나 40)

.....물거야....

.....물겠지....

.....물으렴....

.....애공....

.....꽝....
추천 1

IP : 16d7e4514e1ee70
낚수놀이 가서 던지고 싶은 포인트에 긴 대나 짧은 대가 모자라거나

없으면 환장 하지요....

그때는 바로 지름신이 강림 합니다.

동절기 건강 유의하시고 안출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1

IP : 63c2f385bc4589a
34 36은 거의 매번 사용하는데 40은 사용을 하지 않아
낚시대 녹슬었지 싶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3

IP : c6e1883adee9b26
대가 너무 길면 컨트롤 문제도 있고 밤에 구멍에 넣기 어려울것 같단 생각도 듭니다.
항상 32대까지 빈번하게 써왔는데 36대 이상의 긴 대를 각 칸수마다 한대 이상 마련해야할지
그 필요성이 궁금해서 선배님들께 여쭙니다.

발 앞도 훌륭하지만 중앙부까지 듬성 듬성 수초가 나있다면...

대개 그런 경우 24대 이상부터 가상으로 긴대와 중간대를 넣고, 중앙으로는 짧은대와 중간대...

그런 조건이라면 40대까지는 거의 매번 펼 것 같네요.


앞서 많은 분들이 말씀 하셨듯 장대는 한 대 한 대 마다 비용이 많이 드니까

36 40 한대씩 먼저 구입해서 써 보고 그 이후에 숙달이 되고 더 필요성을 느꼈을 때 추가 구입하는 게 좋다는 생각입니다.

저는 지금도 40대 어설프게 던지지만, 없어서 아쉬워 하는 것 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계속 하다 보면 조금씩 나아지니까요 걱정은 접으셔도...
추천 2

IP : 194ae12db395737
저도 36대 까지만 사용을하다가 몇년전에 40대 한대 장만해서

사용하고 쓸만하더군요 그래서 44 대 한대 또 장만하고 그러다가 또 40 대 44 대 이렇게 또 장만했습니다

중고로 장만한거지만 출혈이 제법 있더군요 받침대도 사야하지만 틀을 사용하는관계로 기냥 기냥 사용중닙니다

받침대 긴거 장만해야하는데.... 에고 총알이.... 그리고 긴대는 잘사셔야합니다...

제가 좀 고가의 44 대를 삿는데 생각보다는 별로인거 같더군요 사용후기나 여러 조언을 들어보시고

매장에서 직접 들어보고 무게가 무조건 가벼운것보다는 전체적인 발란스가 좋은넘으로 구매하세요

가볍게 나온제품들은 보면 짧은대는 상당히 좋습니다... 하지만 긴대로갈수록 앞쏠림이 상당하더군요

실제 무게는 더 가벼울지몰라도 들었을때 무게감은 훨씬 더 무겁게 느껴지실겁니다...

그니까 들어보시고 앞쏠림 적은넘으로... 추천드립니다...
추천 1

IP : 194ae12db395737
ㅋ 쓰고나니까 추천글이 되버렸네요

댓글을 보니까 거의 대부분의 님들께서 긴대를 하용하신다고해서

저렇게 올린겁니다... 물론 저도 긴대는 거의 갈때마다 사용하는편이고요

그냥 던지면 부체꼴로 대부분 펴시잔아요 전 거의 일자로 펴거든요

제일 왼쪽에 44 대 그다음 뭐 포인트 봐가면서 40 대나 36대 그다음 32대 그다음 29 대나 25대...

29대나 32 대가 정면으로 올경우가 많습니다.. 오른쪽으로 가면서 다시 조금씩 길어지는 형상...

대부분의찌가 연안에서 보면 거의 비슷한 지점에 있습니다...

수초들이 그런식으로 많이 분포를 하기도 하고 부채꼴보다는 이게더 마음에 들어서 이렇게 사용합니다.
추천 1

IP : 9808df9c794b47e
안녕하세요.
저도 17대부터 세팅은 했지만 짧은대는 잘 사용안하게 되더군요.
보통 주력이 32~47대입니다.
제 생각에는 제자리랑 찌가 멀리 있을수록 씨알면에서 훨씬 좋은 조과를 경험한것 같습니다.
긴대라 해서 꼭 정면으로 멀리 던지는것이 아니라 10대 자리를 40대 갓낚시로 공략해서 재미본적도 마니 있습니다.
저는 36이상 긴대는 거의 99프로 갓낚시입니다.
그래서 정면으로는 한대도 안치고 양가쪽으로만 8대 이상 펼때도 많습니다.
긴대라해두 자주 사용하게되면 투척은 자연스럽게 됩니다.
추천 1

IP : 4211a0b4bb9531e
저역시 3.6이상 4.4까지.. 거의 편성하는 편입니다...

짧은대 보단 긴대에서 내가 원하는것을 취할수있는 확률이 더 높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낚시가방엔 1.5부터.. 4.4까지 있지만... ^^*
추천 1

IP : a820b0046ecebec
장대를 펴고 물러나서... 갓낚시....
요즘 새로운 트랜드인것 같습니다.
추천 1

IP : 2b3ddc01c0b76b1
낚시인의 취향과 낚시터 여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편성시에 38~48대가 전체 편성대중 절반이상 사용합니다.
물론 대가 길수록 야간에 채비넣기가 어려운때가 많지만
개인적으로 가급적 이런 긴대는 제일큰 바늘에 제일큰 미끼로
월척을 능가하는 대어를노리는데 이렇다할 찌반응이 없으면
다음날까지도 채비를 회수하지 않습니다.(개인 낚시취향임)
아뭏든 짧은대는 짧은대대로 긴 장대는 장대대로 낚시하는 맛이 있는것 같습니다.
추천 1

IP : 77b967c8234ade6
저같은 경우는 크게 구분하지 않습니다..^^

그저 맘에 드는 포인트에 적절한 칸수를 편성하지요...

음....

맘먹고 갓낚시를 하겠다...짧은대만 피겠다라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15대~40대까지 있습니다만....

불편하거나 원하는 포인트에 찌를 세우지 못한적은 없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갓낚시형태로 장대를 많이 운용해보려고 합니다...^^
추천 1

IP : 1239a1cd91cd790
저같은경우는 제가 가지고 있는 낚시대에 맞게 편성25---32대
낚시는 본인이 취향에 맞게 하는것이 가장 좋다고 봅니다
추천 1

IP : 8b2915f97e60a35
이상하게.. 제작년 작년 잡은 월척급들 모두, 40대 내외나 그 이상에서 나온 듯 합니다.
짧은게.. 36칸 정도.에서 턱걸이나 한 두마리 나왔고.. 나머지는 더 긴대입니다.

제작년 부터 장대 사용 비중이 급격히 늘었습니다. 35~36대 이상으로만 펴기도 합니다.
추천 1

IP : ffbf9ca8b5a38c7
고기는 연안으로 타고 돈다는 말을 굳게 믿습니다~그러니 짧은대가,, 특별한 이유없이는 한번은 돌겠지요~
그리고 35대 이상은 써보질않았는데,,,전 35대도 계곡지나,,특별한곳 아니면 잘안펴요~^^
추천 1

IP : d645af23a750b59
장대를 던지지 않으면 웬지 허전하다는........무조건 폅니다...최소비율 50% ....
추천 0

IP : cb8e9265d1f8562
장대를 떠나서 모든낚시대가 하나씩만있으면 좋겠습니다. 5.0대까지...
저수지마다 환경이 달라서 애먹는경우가 생기더군요.
필요는 하다고 봅니다. 언제써도 쓸테니까요.
근데 출혈이 심하니 그게 문제네요.
추천 1

IP : d645af23a750b59
장대를 던지지 않으면 웬지 허전하다는........무조건 폅니다...최소비율 50% ....
추천 1

IP : f36aa95d211ed77
출조지 상황에 따라 장대 편성 하지만.. 되도록 장대 보다 한단계 낮은 3.2~4.0까지는 주력대로 사용 합니다...

하지만 작년 대호만에서는 5.1 5.5 칸이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더군요...ㅎㅎ

저같은 경우 1.7부터 4.7까지는 쌍포로 사용하고 주로 사용하는 칸수는 2.3부터 4.0까지

짧게는 1.7~2.7까지 길게는 3.6부터 4.7까지 사용 하지만 장대 편성은 일년에 너 댓번 정도 피는거 같네요..

장대 포인트 분명히 있습니다.. ^^* 지금 사용 하시다 필요 하시면 한대씩 장만 하시는 재미도 쏠쏠 합니다...
추천 1

IP : f1740c9ad8ea0b5
앞치기용으로 민물대 1.5 부터 4.6까지 쓰고요..

수초치기할때는 바다민장대 5부터 8까지 ...

8칸대 안 써보섰다면 이야기 하지마세요...ㅋㅋㅋ

수초대를 넘길라면 필요하더라고요....
추천 0

IP : f1740c9ad8ea0b5
앞치기용으로 민물대 1.5 부터 4.6까지 쓰고요..

수초치기할때는 바다민장대 5부터 8까지 ...

8칸대 안 써보섰다면 이야기 하지마세요...ㅋㅋㅋ

수초대를 넘길라면 필요하더라고요....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좋다는 심정으로...
추천 1

IP : 87765964d89d739
여건이 맞는 다면 4.0칸 까지는 피는게 좋지 않을까요?

1.0칸부터 있는데 2.0칸 아래로는 왠지 피기가 싫더라고요.

6.0칸 까지 있었는데, 4.0칸 이후로는 도저히 감당이 안돼서 다 팔아 버렸지요.

전 2.0~4.0칸. 붕어가 다닐만한 골목이 보이면 일단 던집니다...^^
추천 1

IP : 7b0dd94fbc424b5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장대--->36칸 5대, 37칸 1대, 38칸 2대, 40칸 5대, 42칸 1대. 44칸 1대, 47칸 1대
47칸 까지는 앞치기 합니다.
출조하는 곳에 따라 36 이상의 장대로만 대편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대로 24칸 이하로만 대편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대 앞치기는 많이 하다보면 숙달이 되고 나름의 요령이 생긴다는,,
44칸으로 앞치기 연습하다보면 40칸은 훨씬 쉬워진답니다. ㅎㅎ

장대로 정면 지역을 공략하는 경우 보다는 측면으로(갓낚시 형태로) 편성하는 경우가 더 많은 듯 합니다.
추천 1

IP : 214d6826993aeff
전 장대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조사라서..
오른손바닥에 굳은살은 낚수놀이 내공을 말해 줍니다 ㅋㅋ

전 제일 짧은대가 21대입니다.
저수지 갈때마다 곳곳에 포인트가 다 다릅니다.
포인트 선정도 낚시대 칸수와 밀접하게 연관이 되 있다 생각합니다.
님의 말씀처럼 (발 앞부터 수초가 빽빽히 깔려있고 저수지 중앙까지 듬성듬성 수초가 난 포인트가 경북에는 많습니다)
짧은대를 선호하시는 조사님은 짧은대로 수초너머를 공략하실 것이고
긴 대를 선호하시는 조사님은 긴대로 중앙의 듬성한 수초지대를 공략하시겠지요..
제 경우에는 중앙의 듬성한 소초를 공략할 것이고...
짧은대의 경우 미세한 소음이나 불빛, 발소리, 차소리등등 소음에 주의해야 하지만
장대의 경우에는 그리 신경안쓰고 편히 낚시할 수 있어서 귀차니즘의 극치라고 해야 할라나요 ㅋㅋ
전 21-2대,25-2대,29-3대,32-3대, 36-3대,40-3대,44-2대,47-2대 등 장대위주를 가지고 있어서 장대로 대 편성을 합니다...

추운날씨 안출하시고 건강하시고 대물상면 하소서...
추천 1

IP : 869a84006de069b
저역시 3.2칸 이상을 자주사용합니다..
3.8 4.0 4.4칸까지 10번중 7-8번은 사용합니다..
추천 0

IP : 22cffdc772ea5f8
정투능력은 떨어지는데
이상하게 긴대를 쓰고 싶어지네요
근데 특히 4.0대 이상은 잘 사셔야 합니다
투척이 제대로 안되면 3.6대랑 거의 차이가 없다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