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낚시 초짜 / 찌의 사선입수가 발생하는데 제가 찌 맛춤을 잘못한건가 궁금합니다

IP : 809aea21b92a36f 날짜 : 조회 : 2491 본문+댓글추천 : 7

낚시 초짜  찌의 사선입수가 발생하는데 제가 찌 맛춤을 잘못한건가 궁금합니다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낚시 초짜  찌의 사선입수가 발생하는데 제가 찌 맛춤을 잘못한건가 궁금합니다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6월 28일 밤낚시(10시경)를 하는데  그림처럼 입수가 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28일 6시경에 대편성할때는 이런 증상이 없었는데 10시경 부터 이렇게 찌가 입수 되는데

물속 환경이 그런건지 / 찌맞춤을 잘못한거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참고사항.

원줄은 2.5호 세미

 

목줄은 1.75 바늘은 6호

 

찌는 스마트에이핑크전자찌(광섬유찌탑) 3.2g 

 

찌맞춤은 바늘 달고 찌탑이 수면에  맞췄고

미끼는 글루텐 입니다


1등! IP : f63b6629cac0468
제 경험엔
광섬유 찌탑이 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반듯한지 확인해 보세요
베터리 꼽는 뿌리쪽에서 삐딱해지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다시 펴주면 됩니다
추천 0

2등! IP : 4bf7a231c4ed408
저도 궁금한 내용 이네요. 찌탑 일자라도 갑자기 사선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던데

혹시 원인을 알게 되시면 답변 부탁 드립니다.
추천 0

3등! IP : f755e8968809cb3
원줄 꼬임or이물질
찌멈춤 스토프 간격,이물질
찌스토브 이물질

체크해보세요

대부분 원줄꼬임에서 이중입수 사선이 발생해요
추천 0

IP : dcd6947009c1094
혹시 저수지나 수로의 배수나, 바닷가에있는 수로에서 조수간만의차이로 물흐름이 있었던것은 아닌지요
6시부터 10시까지 4시간동안은 괞찬다가 저런현상이 나타나는것은 이해가되질 않네요
추천 1

IP : 7971f97c73c26d1
찌부력에 비해 찌탑,찌다리등이 무거우면 그럴수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추천 1

IP : 9cc15f95d87bd1c
찌길이하고 부양력은 좋습니다 문제는 찌탑의 무게가 무거워서 기립할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기립과 동시에 입수를하게 되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찌몸통에 볼록한 곳에 손가락에 올리시면 찌탑쪽으로 광속으로 떨어질꺼에요! 0.8그람정도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서 다시 써보세요! 즐낚하세요
추천 3

IP : 6810c41b46c8d98
90%이상 유동찌고무도래 파이와 원줄두께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조사님들이 찌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유동찌고무를 좀더 작은걸 쓰십니다
그럼 자동적으로 결합된 도래의 파이도 작아지고....
원줄은 3호인데 도래의 파이를 작은걸 쓰시면 채비입수과정에서 도래와 원줄간의 간섭이 커지고 찌가 서면서 입수를 하게 됩니다

1.원줄호수를 낮춘다.
2.도래파이가 큰 찌고무를 사용한다.
3.찌의 결착이 헐거운게 우려되면 찌다리 하부에 촉이나 합사등을 감아 인위적으로 두께를 굵게한다.
추천 0

IP : 1aa153b71276821
정직한찌3092님이 잘 설명해 주셨네요. 예전에 주간용 가벼운 떡밥찌를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게 케미꽂이를 부착하고 야간에 케미를 꽂으니 사진처럼 찌가 기울어지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찌의 전체 부력에서 찌탑이 차지하는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워 찌의 균형을 방해해서 저런 현상이 발생한다고 생각됩니다. 더운 날 즐거운 낚시 즐기세요.
추천 2

IP : eaa55aaea156493
회원님들 경험을 토대로 의견을 주셨는데,
글쓴이의 질문은 최초 입수단계에서는 전혀 저런현상이 없었다고 하니, 찌톱상부가 무거워서 발생하는 문제는 아니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저도 경험상 한마리만***님의 답변에 한표 드립니다.

'찌맞춤은 바늘 달고 찌탑이 수면에 맞췄고'
올림찌맞춤 중에서도 조금 무거운 맞춤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수심이 낮은곳에서는 입수속도가 빠르겠죠?
입수속도에 비해 유동찌고무 이동속도가 못따라가면 저런현상이 발생하는것을 종종 경험했습니다.
정답은 아닙니다. 참고하셔서 체크해볼 정도의 가치는 있을겁니다.
추천 0

IP : 326b73036d471d3
제경험으로도 원줄이 두꺼우면
일어나는 현상이라 봅니다

원줄호수를 줄이니까 확연히
달라지는걸 볼수 있더라구요~^^
추천 0

IP : 1502140742c3739
저같은 경우에는,
찌 부력 3g 전후, 찌 길이 45cm, 원줄 카본3호에,
여기에다,
무거운 스마트 야간케미나,
그보다 더 무거운 주간케미 사용시 발생하였습니다.

제 생각엔 저부력 장찌에,
무거운 카본 원줄과 스마트 케미 사용시,
사선입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