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생각이 나서 질문드려 봅니다..
각 채비마다 장단점이 있긴하지만요.. 이물감과 예민성만 따져본다면.. 중통채비가 더 예민하지 않을까요?
찌를 1호로 아주 저부력찌만 사용하면 이물감을 전혀 못느낄것 같아.. 내림채비보다 더 예민하고 이물감을 덜 느끼는거 아닌가요?
갑자기 초보조사가 궁금하여 선배조사님들께 문의드립니다.
바늘이 움직일때 그것을 찌에 표현해주는 정도를 예민하다고 한다면
예민성과 이물감감소는 반비례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민한 채비는 목줄이 짧은 채비가 될테고
보통 목줄이 짧을 수록 이물감은 증가합니다.
중통채비는 찌를 아무리 가볍게 가져가도 분납을 하지 않는 한
찌의 부력을 고스란히 붕어가 당기기 때문에
봉돌로 어느정도 찌의 부력을 잡고 있는 내림채비보다 이물감이 적지는 않습니다.
물론 1호 부력찌 중통채비라면 조과를 내기에 차고 넘치는 채비일것 같습니다만,
단순히 이물감만 놓고 보자면 내림채비보다 이물감이 적게 만들기 위해선 분납이 필요할듯 합니다.
그런데, 이물감이 또 너무 없으면 시원하게 움직이는 입질보다는 깔짝거리는 입질로 끝나는 경우도 많아집니다.
바늘이 움직일때 그것을 찌에 표현해주는 정도를 예민하다고 한다면
예민성과 이물감감소는 반비례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민한 채비는 목줄이 짧은 채비가 될테고
보통 목줄이 짧을 수록 이물감은 증가합니다.
중통채비는 찌를 아무리 가볍게 가져가도 분납을 하지 않는 한
찌의 부력을 고스란히 붕어가 당기기 때문에
봉돌로 어느정도 찌의 부력을 잡고 있는 내림채비보다 이물감이 적지는 않습니다.
물론 1호 부력찌 중통채비라면 조과를 내기에 차고 넘치는 채비일것 같습니다만,
단순히 이물감만 놓고 보자면 내림채비보다 이물감이 적게 만들기 위해선 분납이 필요할듯 합니다.
그런데, 이물감이 또 너무 없으면 시원하게 움직이는 입질보다는 깔짝거리는 입질로 끝나는 경우도 많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