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떡밥낚시가 정확히 어떻게 하는건가여?

IP : 6d4504d1dc140bd 날짜 : 조회 : 7475 본문+댓글추천 : 0

나름 풍덩만 하다가 낮 낚시로 떡밥낚시 하는데 그냥 떡밥달고 입질없어면 10분 간격으로 미끼를 교채합니다 여기 글을 보니까 자주투척을 해서 집어를 시키는것 같든데 대략집어를 낚시 시작하자마자 얼마동안 해야되는지여? 고기가 집어될때 까지는 아닌것 같고... 그리고 동절기때는 집어가 안된다는 소리도 있든데...맞나여? 떡밥고수님 한수 가르침을 주소소~~~^^

1등! IP : f63df3a1aa529ef
너무 방대하고 어렵네요

줄 : 1.5호줄. 2호줄. 3호줄 이내의 줄 사용
바늘 : 붕어 바늘 6호 이하의 외바늘 또는 이봉사용
찌 : 되도록이면 떡밥용 찌
찌맞춤 : 전 그냥 수평찌맛춤 캐미꼽고 바늘 띠고 한마디 나오게 맞춤
떡밥 : 집어용 떡밥 : 보리보리. 어분. 글루텐 약간 넣어서 찰지게 만들어서 바늘에 달고 투척
약 십회정도 헛챔질
미끼용떡밥 : 그냥 글루텐5 쓰거나 아님 어분섞어서 사용
한바늘에 집어용 한바늘에 미끼용 쓸수도 있음 집어됐다 싶으면 두바늘에 미끼용
추천 1

2등! IP : 7648ad3296dab26
부족한지식이지만 몇자 적어봅니다
일단 관리형이나 손맛터 경우
집어될때 까지하지만 집어되어도 저의경우는
짝밥으로 계속 하게되더라고요 꼭 밑밥만 먹고 올라오는게 아니라서...

노지의경우
집어개념보다 어느정도만 집어제 넣어주고
밑밥던지고 풀리는시간에 갈라주네요
추천 0

3등! IP : 9d6876287a23b6f
집어가 될때까지가 아니고요. 집어가 되도 게속적으로 반복투척해 줘야 합니다.

집어됐다고 집어제 안넣고 미끼만 넣으면, 고기 바로 빠집니다.

예를 들어 쌍포편성했을때 두대에 초기부터 집어가 될때까지 집어제 넣었다가 집어가 된거 같아 미끼만 달면,

고기 바로 빠집니다.

낚시 처음 할때는 30초에 한번씩 즉 쌍포 편성후 한대에 캐스팅하고, 찌가 내려가기 시작하면 다른한대 걷어서 달고

이런식으로 1시간 가량 넣어주면(집어제 밤톨만하게), 떡밥 한그릇정도.

그다음부터는 2-3시간 가량 1분에 한번씩 넣어주면 떡밥 한그릇정도.(엄지손가락 만하게)

그다음부터 낚시끝날때까지 3분정 간격으로 검지손가락 만하게 넣어주면 떡밥한그릇정도.

이렇게 하시고, 고기가 잡히든 안잡히든 계속적으로 넣어주시면 좋습니다.

그래서 떡밥낚시에는 손맛대도 찾으시지만, 가볍고 밸런스 좋은대를 많이 찾으십니다.

팔이 엄청 뻐근하거든요..ㅎㅎㅎ
추천 1

IP : 4012982f75a5a12
전 절대로 다윤아빠님처럼은 못합니다 ㅎㅎ
귀찮기도 하고 ... 안잡히면 말고~
떡밥도 대물못지않게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저에겐요^^

다윤아빠님 설명이 맞습니다
아따비오님 즐낚하시고 군계일학 홈페이지에 자세한 동영상 있습니다
많은 도움되실겁니다
추천 0

IP : 1beecf710faaf2b
떡밥낚시도 장소와 시기에따라 다릅니다
일단 지금같은 저수온기에 노지가아니 양방이나 손맛터 하우스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원줄은 보통 모노1호줄을 사용합니다
노지일경우는 카본2호줄을 많이 사용하시고요
찌는 저부력찌를 사용합니다 저부력찌라함은 보통3호이하를 말하지만 저는 1호이하를 주로사용합니다
바늘은 보통5호,6호 바늘을 사용하고요
집어는 윗분도 말씀하셨지만 계속합니다 고기가 들어왔다고 끝난느것이 아닙니다 들어온고기를 다른쪽으로 안빼기고 가지고 있으려면 지속적인 집어는 필수입니다 양바늘시 한바늘에는 계속 집어제를 달아넣는 이유입니다
집아제는 보통 어분계열 아텍2,3에 보리계열 찐버거 ,향맥을 사용하고요 저수온기에 밑밥풀림을 좋게하기위해서 바라케(GTS)나
광속,휘모리등을 섞어서 바닥풀림을 좋게합니다
미끼용 글루텐은 딸기글루텐하고 이모글루텐에 와다글루텐섞어서 사용합니다
딸기하고 이모글루텐은 비중이큰 바닥용글루텐이다보니 풀림이 조금 시간이 걸리므로 메쉬성분인 와다글루텐을 이용해 풀림을 빠르게갑니다
목줄길이는 양어장이나 손맛터의경우 길게쓰심이 좋으실겁니다
추천 0

IP : e80c352006fb252
저도 다윤아빠님 말씀처럼 밥질엄청하고 집어 품질엄청합니다.. 즉소위말해 잡이터 스타일~ㅋㅋ 노지만다니는꾼이지만..

떡밥도 물성조절 떡밥 배합이 엄청중요합니다 여기서부터가 남들과 많은조과차이가납니다

그리고 저는 주로 댐을다니기때문에 대편성을 3~4대 하고 피자마자 집어 어분 보리계열 신장

집어계속합니다 1번부터4번까지 차례로집어하고 4번까지 집어햇음 다시 1번부터 집어 계속번갈아가며 집어합니다

한 떡밥그릇 이빠이개서 집어합니다 그후로는 다시집어제개고 미끼용 글루텐개서 한바늘은 미끼용 한바늘은 집어제

그렇게 한바가지정도 다썻으믄 이제는 다시개서 콩알로 갑니다 물론 고기가많은터거나 바닥에 고기가많으면 집어할때 물고올라옵니다

근데 대부분 터쌘곳이나 베스터나 댐지역은 고기얼굴보기가쉽지않기때문에 집어를해야합니다

떡밥은 아쿠아.신장.콩가루.보리계열 글루텐3.5 가지고다닙니다

떡밥은 생각과 각자스타일이있고 세월아내월아해서는안되고 부지런해야 고기얼굴보기가 쉬운거같습니다 제생각.ㅎㅎ

원줄2.5호 합사1.5호 바늘7~8호 씁니다 ㅎㅎ
추천 0

IP : 9d6876287a23b6f
전 댐같은데 가면, 국민신수향님처럼 품질안합니다.

여러대깔고, 그냥 떡밥,옥수수,겉보리등등 던집니다..죄송합니다. 그러면 안되는데,

관리형을 제외한 다른곳에서 낚시할때는 집어하기가 귀찮더군요.ㅋㅋㅋ
추천 0

IP : 7648ad3296dab26
댐외 노지에서도 집어를 하시는군요
그럼 노지에서 입질이 있을때까지 계속하는건가요
추천 0

IP : c82019d9d43cd8e
저는 잉어릴꾼이었고요. 붕어릴꾼이기도 했습니다.
잡아서 먹자나 수질 좋은 곳에서 잡아서 남 주자!고 낚시를 다녔었지요.

그리고 수질 나쁜 곳에서도
손 맛도 좀 볼겸도 있었지만 뽀대나게 좀 잘 잡아보고자하는 것도 있었습니다.

일단 터를 잘 알으셔야 그 자리를 알아야하는 점에서 잘 잡으셔야 하는 것 같습니다.
터를 잘 잡으신 후
바닦지형은 자연 현상에 관한 것이며 바늘 없는 봉돌로 확인이 가능한 것 같은 미리 알고있지 않다면하는 문제 같습니다.

그리고 집어는 다윤아빠의 말씀에다가 '고기가 안 빠져나게 계속적으로 집어한다'
상황 보아가며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계속 적으로 집어한다이며
투척 타이밍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 같으며
고기 많으면 운용 댓 수 1대로 되며 자동적으로 되는 것 같습니다.

투적자리를 선택했다면 쌍포라 생각하며(고기가 아주 잘 잡힌다면 1대겠지만),
릴낚으로는 2~8대까지 한 포인트에 대하여 집중 공략하며 여기저기 투척하는 광역집어보다는 조과에서 훨씬 앞섰었습니다.
추천 0

IP : c82019d9d43cd8e
근데 오늘 같이 추울 때는 온도관련 더욱 더 스쿨링된 포인트가 중요할 것 같지만...
살 얼음 얼 때는 안잡히는 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6d4504d1dc140bd
답변주신 모든 회원님께 감사합니다
떡밥낚시 생각보다 힘들군여...글 읽어보니까....ㅎㅎㅎ
왠만한 채비는 할줄아니까 패스하고
결론은 투척을 자주해야 한다는 말이네여...집어제랑 같이
한번씩 떡밥낚시대를 왜 가벼운걸 찾는줄 의아해 했는데 궁금증이
풀리네여...전 떡밥낚시 할때 떡밥달고 10분이고~20분씩 기다리는
낚시를 지금까지 했습니다 대물낚시처럼...
많은 배움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9e214b6f469009d
개인적으로 시작은 좀 자주자주 크게 투척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 밤톨만하게 달아서 서너번은 10분정도식 투척 합니다...
그 이후엔 떡밥의 크기가 점점 작아집니다...
추천 0

IP : 98120bc805be1ed
집어는 말그대로 집어가될때까지 쭈~욱
고기가 입질하기시작하면 집어제의양을줄이되
집어를포기하면 괴기들 다도망갑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