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전 진짜 낚시를 독학으로 해가지고 가라로 낚시를 하고있습니다요...시작한지도 1년도 안되는 젊은놈이죠...
인터넷에서 찌맞춤하는 법을 보니까 추를 단담에 캐미고리부분이 수면과 일치시킨후 봉돌을 깎아 2목정도 올리라고 봤던거 같은디
그렇게 하면 포인트를 옮길때마다 원줄에서 봉돌빼고 바늘빼고 다시끼고 찌맞춤하고... 매번 계속 그렇게 해야하자나요
그래서 저는 수심측정후 깊다 싶으면 비교적 무거운 봉돌을 .... 얕다싶으면 비교적 가벼운 봉돌을 단후 깍지않고 그 상태에서 찌 위치만 조정해서 2목정도 맞춥니다... 이렇게 해도 물고기가 물면 찌가 움직이는건 똑같다는 생각에 ... 계속 이렇게 했습니다.. 월척은 못잡았어도 준척붕어랑 메기는 가끔 잡기는 한다만요..
제가 하는 방법이 많이 틀린겁니까요 ????? ㅠㅠㅠㅠㅠ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저는 낚시는 고기잡는것도 좋치만....찌마춤이라든지 바늘 떡밥등 준비과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구요.....
손맛보다 찌맛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인이거든요.....대충찌마춤해도 활성도 높은고기들은 잡을수있게지요.....
떡밥낚시의 매력적인 점은 예신.본신.챔질타이밍등 기다리고 본다는거지요....그런대로 찌마춤이 정확하지안타면 대물낚시이면 모르겟지만....
떡밥낚시는 숨막히는듯 천천히올라오는 찌맛아닐가생각합니다......귀찬아도 찌맞춤해서 낚시하세요 조과도 확실히차이가남니다....
왕님..께서 어떤낚시를하시는지모르겠지
만..찌맞춤이라면...사람마다 다틀리기때
문에..어떤 찌맞춤이맞다고는할수없습니
다...바닥 대물생미끼낚시라면..부력이나
좀나가는봉돌6.7호봉돌달구..수조넣었을
때 천천히 입수후..바닥에안착후..천천히
올나와 수면과 케미끝맞추면 될껍니다.
최고 평범한 찌맞춤이겠죠...이것말고도
스위벨..이봉..무수한찌맞춤법이많은데..
그거 다알고하면 머리아푸고..짜증만나요
자기 채비에 확실한믿음을가지고..낚시한
다면..언젠가 원하는사이즈 꼭상면할실
껍니다..그리고..대물수초낚시란..기다림
이많이필요한낚시 입니다...도움이 될런지
는모르겠지만...믿음만....있음..언젠가...
워리 ~~하실껍니더....그럼..안전출조..기
원드립니다...이상 바람입니다..
고뇌하는 같은 낚시인으로서 혹시 도움이 되실까
출근 지하철에서 한자 끄적이고 갑니다~
위에도 어떤 분께서 짧게 언급을 해주셨지만
낚시를 하면서 찌올림을 보고 고기를 잡는 것만이 낚시하는 즐거움의 전부는 아닙니다.
줄을 매고... 찌 부력을 맞추고... 떡밥을 개고... 이런 준비 행위들도 낚시하는 즐거움의 일환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사정상 출조를 자주 하기가 어려워 ㅠㅠ
주말에 혼자 집에서 낚시대에 닦는 것도 제 나름대로의 낚시의 즐거움입니다.
지금 하시는 찌맞춤으로도 물론 고기를 잡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찌는 물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인데
그 도구를 대충대충 쓴다면 물 속 상황을 세밀히 볼 수는 없겠죠.
따라서 가능하면 상황에 맞는 찌맞춤은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누구의 찌맞춤을 참조하라는 말씀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낚시한지 10년넘었고 아직도 찌맞춤을 공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완벽한 찌맞춤 이론이라고 인정할 만한 이론을 못 봤거든요.
물론 찌맞춤을 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시는데 어느 정도 도움은 되실겁니다.
우선 집에서 바늘빼고, 캐미랑 봉돌달고 캐미가 수면에 오도록 대충 맞추시고
현장에 도착하셔서 바늘빼고 다 달고 캐미가 수면에 오도록만 약간 부력 조정 해주시면
양어장, 손맛터를 제외하고는 어디에서건 적용가능한 딱히 나무랄데 없는 찌맞춤입니다.
그리고 본인의 찌맞춤을 하셨으면 믿음을 가지세요. 나머지는 붕어에게 맡기시면 됩니다~ ^^
아니면 관련 서적이 많으니 구입하셔서 현장 응용하시면 되지않을까요..
그동안 붕어 크기나 마릿수에 연연하지 않았나 반성을 해 봅니다..
낚시 준비과정의 설레임,찌 올림의 황홀함등 이모든것이 즐거움이라것을 다시금 깨웃치고 갑니다...
옛말에 "백문이 불여일견" 이라고 아시죠?
저말보다는 "백문이 불여 일 실습"이란 말이 있는데요^^
주변에 잘 아시는분한테 직접 듣고, 해보고 이해하시면 나만의 찌맞춤 노하우가 생길 겁니다
한번 찌맞춤한것을 자리마다 다르게 또 맞춘다는것이 이해가지않아요.
걍 쓰시면 되지요. 수심만 다르게 해서요.
낚시의 즐거움중에 하나가 찌맛이라고 봅니다.
님처럼 찌맛춤을 대충하시면 낚시의 제맛을 느끼기 어렵다고 판단됩니다.(그렇다고 님의 찌맛춤이 잘못되었다고 말씀드리는것은 아닙니다.)
어떤채비라도 물고기는 물어줍니다. 다만 이왕 낚시를 시작하셨으면 멋진찌올림을 보시면서 낚시하시면 더욱 재미난 낚시를 하실수있을거라 봅니다.
제가쓰는채비를 가르쳐 드리지요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바닥낚시라도 봉돌은 편납채비로 사용합니다. 편나감기에 편납을 갑고 바늘달지않고 찌맛춤합니다. 채비던지고 찌가일어선후 아주천천히 잠기도록 합니다.(아주천천히)
케미가 수면에 일치하도록 맞춤니다. 영점맞춤이죠 그리고 목줄은 약 20~25쎈치정도로하고 바늘묶습니다.(합사,모노) 그리고 찌맛춤한 편납에서 편납을 약20%정도를 길게잘라서 바늘위 약4~5쎈치정도에 목줄에 감아주고 조여줌니다. 찌는 유동찌를 사용합니다.
그려면 바늘무게로 인해서 처음보다 약간무게감이 있겠지요. 미끼달고 낚시 합니다. 좁쌀봉돌 변형채비인데 찌올리 아주 좋습니다. 몸통까지 쭉올려줍니다.(양어장,노지 모두사용가능합니다.)
이건제가 사용하는 방법이니 참고하셔서 님에맞는 채비 개발하시기 바랍니다. 항상즐낚하시고 대박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