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수심이 깊을 수록 고부력찌를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저두 무의식적으로 이를 따라 하고는 있지만 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혼자 추측컨데
1. 수심이 깊어지면 원줄과 봉돌까지의 길이가 길어지고 안정적인 채비정렬을 위해 봉돌이 좀 무거워야 한다?
---> 어차피 찌맞춤을 통해 영점을 잡으면 봉돌의 부력(알기 쉽게 침력)은 제로에 근접해 있을 듯. 의미 없어 보임
2. 깊은 수심에서 미끼가 하강하는 시간이 길어져 미끼 손실이 발생하므로 봉돌이 무거워야 빨리 가라앉는다?
---> 미끼 손실량은 비슷할 듯.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수심과 부력은 무관하다,, - 라고 배웠습니다. 온도와 부력이 상관하지요.
고부력을 쓰는 이유는 윗 명제
를 전제한다면 수중 팔랑거림을 줄ㅇ이려 함으로 알고있습니다. 생미끼 & 떡밥도 수중에서 팔랑거리고 내려간다면 잡어에 공격에 쉽게 노출될것이고요 .
위 이유로 저는 제등낚시 ( 초친낚시 명칭은 다루고 싶지않지만요 ) 에서는 유동찌의
간격도 30cm 이하로 줄이고 있습니다.
하루에 두개의 댓글도 달아봅니다. ^^
부력이 커지면 봉돌이 무겁게 작용하지요
봉돌은 찌의 부력이 영향을 줄때까지는 힘차게 물속으로
내려 가지요
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은 일단 빼고요~~
봉돌은 그냥 내려가는게 아니라 낚시줄과 두바늘과 떡밥,지렁이,콩,옥수수등을
같이 가지고 하강을 합니다.
물속에는 수압이 있고요
깊은 곳에서는 수압이 높고
이 수압을 이겨내고 빨리 하강(모든 장식물을 같이 데리고 내려가게 됩니다.)
하려면 봉돌이 무거워야 빨리 내려가겠지요
그래서 수압이 발생하는 깊은 곳에서는 봉돌이 커지고 따라서 여기에 맞게 고부력의
찌가 쓰이게 되는 것이지요
편납의 크기를 한개는 작게하고 한개는 무겁게 하여
똑같이 수조통 속에 넣으면 무거운 편납이 빨리 바닥에 안착하지요
현장에서는 더 심합니다.
줄은 쉽게 가라앉으려고 하지않고 떡밥도 글루텐은 늦게 가라 앉지요
이것들을 봉돌이 같이 빨리 가라앉히는 방법은
붕어가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하는 범위(찌맞춤,분할봉돌 등)내의
봉돌이어야 하겠지요
다시 말하면 각칸수에 맞게 던지는데 바람과 여러 장식품들이 같이 투척하기 쉬우면서
바닥에 너무 늦게 하강하지 않는 범위내의 봉돌과 찌, 정도가 맞지 않을까요?
중층에서의 노출시간을 줄여 잡어의 간섭을 피하고, 채비의 신속한 안착을 위해 고부력찌를 쓴다는 말씀으로 이해 해도 되는지요?
그렇다면 잡어성화가 없는 곳에서는 궂이 고부력찌가 필요치 않은가요?
내일 수심 4~5미터권의 관리형 대물터를 가는데
지난주 극히 예민한 입질을 경험해서 저부력찌로 바꾸어 볼까 생각중에 질문 드렸습니다.
즐거운 연휴 보내세요.^^
중층에서 잡어들의 성화가 굳이 없는 곳이라면
저부력의 이물감을 최소화한 봉돌과 저부력 찌로 사용하는 것도
아주 약은 입질을 잡아내는데는 일등공신 역활을 톡톡히 할 것같습니다.]
그렇다고 찌가 노지에서 너무 저부력이면 까분다고 할까
조용히 직립하고 예쁘게 솟꾸치는 초저부력이 아닌 그냥 저부력의
분할봉돌이나 사슬채비나 해결사채비 정도가 어떨까요?
잡어 및 잔챙이 성화가 거의 없다면...
그리고...자리가 한정되어...
수심 3~4미터 뿐이 업ㅅ다면...
적당한 부력으로 예민하게 맞춰 떡밥 낚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