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에서 찌맞춤할때 찌를 약간 예민하게 맞추려고하는데요
찌톱이나 캐미가 어느정도 나오게 맞춰야하나요?
저는 보통 찌톱을 수면이랑 일치시켜서 맞추는데 현장가서 바늘달고 낚시하면 다소 무거운채비인거같아서요
현장에서 찌맞춤 다시 안하고 그냥 수조찌맞춤해서 계속사용하려고하는데요
영점 찌맞춤이시면 다소 그렇게 무겁다고 생각은 안되네요.
찌 맞출때 수조에 넣으면 서서히 물안에서 올라와서 수면에 일치되는찌맞춤이랑 서서히 내려가서 수면일치되는 찌맞춤의 차이정도인데 그렇게 무거운 채비는 아니신듯 합니다..
다만, 채비의 원활한 교체를 하기위해서 핀도레를 사용하신다면 핀도레 크기 무게까지 조금 감안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케미무게도 조금 감안하시구요..
그리고 예민하게 맞췃다고 생각되시면, 낚시하실때 케미가 물에 잠기게 되면 봉돌이 바닥에서 뜨는경우가 생기니 케미와 케미고무정도는 물밖으로 내어놓고 낚시하시면 될껏 같습니다..
채비 연결하시고 혹시 주간케미와 야간케미 무게가 같다면 상관없지만 틀리다면 감안하셔야 합니다..
수조 입수시 기포 잘털어 주시고 보통은 케미 꽂이 고무 제일 하단 가는 부위에 맞춰주시면 됩니다 조금은 예민한 찌맞춤 입니다..
그리고 현장 찌맞춤 안하신다면 입질 패턴이나 찌 입수상태 보시면서 오링이나 편납으로 부력 가감하시면 됩니다..
그럴려면 미리 오링을 한두개 끼워 놓고 맞추세요..
그리고 모노줄과 카본줄 수조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납니다 원줄 잡고 입수시킬때 보면 느끼실 겁니다..
낚시 찌맞춤이 기계가공의 1/100mm 또는 1/1000mm 정밀공차 맞추는 것 보다 힘드니 참으로 아리송 합니다..
찌 맞출때 수조에 넣으면 서서히 물안에서 올라와서 수면에 일치되는찌맞춤이랑 서서히 내려가서 수면일치되는 찌맞춤의 차이정도인데 그렇게 무거운 채비는 아니신듯 합니다..
다만, 채비의 원활한 교체를 하기위해서 핀도레를 사용하신다면 핀도레 크기 무게까지 조금 감안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케미무게도 조금 감안하시구요..
그리고 예민하게 맞췃다고 생각되시면, 낚시하실때 케미가 물에 잠기게 되면 봉돌이 바닥에서 뜨는경우가 생기니 케미와 케미고무정도는 물밖으로 내어놓고 낚시하시면 될껏 같습니다..
이 맞춤으로 낚시 하실땐 필히 캐미고무가 물밖으로 나와야합니다.
현재로선 위 맞춤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수조 찌맞춤은 준비 과정 이구요
현장 수심 수압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읍니다
원줄이 모노와 카본에서도 차이가 있구요
현장 찌맞춤을 권장 합니다
수조에 찌맞춤할때 물에 담구면 찌에 기포가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포 잘 털어내시고(물속에서) 수조바닥에서 약 15cm 가량 띄우시고 찌탑 반마디면 최상의 맞춤입니다.
중요한건 수조통이 넓을수록 좋으며, 최초 맞추시고 30분에서 한시간 가량 놔두시고 부력에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시면
더 좋지만,,, 전 그냥 딱맞으면 바로 다른찌 맞춥니다..ㅎㅎ
글구 원줄은 카본줄은 아니아니 아니되오~! 모노줄로 하심을 권해드립니다.
혹시 바늘까지 달고 맞추실까봐 말씀드리는 겁니다~
수조 입수시 기포 잘털어 주시고 보통은 케미 꽂이 고무 제일 하단 가는 부위에 맞춰주시면 됩니다 조금은 예민한 찌맞춤 입니다..
그리고 현장 찌맞춤 안하신다면 입질 패턴이나 찌 입수상태 보시면서 오링이나 편납으로 부력 가감하시면 됩니다..
그럴려면 미리 오링을 한두개 끼워 놓고 맞추세요..
그리고 모노줄과 카본줄 수조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납니다 원줄 잡고 입수시킬때 보면 느끼실 겁니다..
낚시 찌맞춤이 기계가공의 1/100mm 또는 1/1000mm 정밀공차 맞추는 것 보다 힘드니 참으로 아리송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