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스위벨채비시 편납vs봉돌

IP : 59be2e8ab090d37 날짜 : 조회 : 10207 본문+댓글추천 : 0

스위벨 채비시 (1)찌스토퍼2 - 찌고무 - 찌스토퍼2 - 봉돌 - 기둥목줄(당2호) - 스위벨 - 목줄 - 바늘 (2)찌스토퍼2 - 찌고무 - 찌스토퍼2 - 찌스토퍼1 - 편납홀더 - 찌스토퍼2 - 스위벨 - 목줄 - 바늘 (1)번의 경우 처음 스위벨 채비시 기본 사양인데요 대부분 보면 (2)번으로 사용하시더라구요 1번에 비해 2번이 좋은점이 무엇인가요? 편납홀더는 조절이 편해서 사용한다 치면 1번의 봉돌대신 친환경추(오링으로 조절) 사용하면 될듯한데요... 2번의 경우 윗목줄이라 해야하나요 암튼 그게 없이 원줄 끝에 스위벨을 바로 연결하더라구요 손맛터에서보면 저빼고 전부 2번으로 사용하던데 1번과 2번 조과에 많은 차이가 있는지요?

1등! IP : 0477fcfb6da2eb8
저는 반대로 2번을 사용 하다가 그냥 1번을 사용 하는 1인입니다.
제가 2번을 사용 했던 이유는 편납홀더와 스위벨간의 간격을 조절할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즉 바닥에 수초가 많고 지저분한 경우 바닥을 찍기 힘드므로 편납홀더를 스위벨까지 아래로 내려 놓으면 추의 무게는
편납홀더 + 스위벨이 합쳐져서 원봉돌처럼 되어 왠만한 수초들은 쿡 눌러서 바닥에 안착이 됩니다.
그리고 바닥이 깨끗하고 민감한 채비를 요할때는 찌스토퍼를 위로 올려 편납홀더를 올려주면 스위벨만 바닥에 닫게 되므로
좀 더 민감하게 낚시를 즐길수 있습니다.
스위벨 채비의 문제점중 하나가 스위벨 무게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바닥에 있는 수초들을 쿡 하고 눌러주지 못한다는 것이더군요.
고정 보다는 조절을 할수 있는것이 아무래도 많이 유리 하더군요.
그런데 저 같은 경우에는 2번을 쓰다가 1번으로 가는 가장큰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2번에 이점이 있지만 제 맘에 안드는 무엇인가가 있어서 1번의 채비로 가면서 좀 귄찮지만..그때 그때 채비를 다시 해주고 있습니다.
추천 1

2등! IP : 59be2e8ab090d37
프리첼님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유동폭으로 조절하며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장점이 있겠다 싶었는데 맞나보네요
그러나 조과에는 전혀 차이가 없지 않을까 싶은데 그게 가장 궁금한 부분이네요
추천 0

3등! IP : 04c5d8bbf1f7f1e
2번으로 사용하시어 ~~편납홀더로조정하시어 찌에오름을 한번확이해보세요
그러면 좋은 느낌이변할겁니다 ~~~즐겁고 행복한 낚시즐기시길 ~~~
추천 0

IP : 0477fcfb6da2eb8
조과 차이라..이부분은 한두번 테스트를 해봐서 어느쪽이 많이 잡힌다 결론 짓기는 좀 힘든 부분입니다.
같은 채비를 하더라도 어느 낚시대에는 고기가 잘나오고 어느 낚시대에는 고기가 안나오는 부분이 있으니 말이죠.
조과 차이를 따지기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샘플링을 갖고 정확한 조건 아래 테스트를 이루어 분명한 조과차이를 보여야만 결론 낼수있는데
생물을 상대로 정확한 조건아래 테스트가이루어지기는 상당히 힘이 듭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조과차이를 따지기 보다는 이론적으로 따지는것이 더 낳을듯해 보입니다.
제 생각에는 이론적으로 조과차이가 나지 않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추천 0

IP : 6c33d612bddc73f
손맛터에서는 (2)번이 확실히 좋은것 같습니다......편납홀더의 위치에 따라 입질이 달라지는 신기함이.......ㅎㅎㅎ...
이것 저것해보시고 자기에게 맞는거 선택하심이 좋을듯합니다.......
추천 0

IP : 3c2373c03f547a8
2번이 단차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1번 채비시 봉돌위에 핀도래를 추가하여 봉돌을 바닥으로 가게 뒤집을수 있게하면 2번의 장점도 가져오게 됩니다
추천 0

IP : 3c2373c03f547a8
추가로 봉돌위에 핀도래가 있으면 채비교체가 편하구요
추천 0

IP : 3c2373c03f547a8
추가로 덧바늘 채비도 가능하게 됩니다 끝
추천 0

IP : 3c2373c03f547a8
2번의 단점은요 고부력찌일 경우 챔질이 강하면 스토퍼가 2개여도 봉돌하고 스위벨이 붙습니다. 다시올리기 귀찮아요
추천 0

IP : 11ab469fa82ea2d
기둥목줄 이게 고정이여서 불편합니다.

기둥목줄 50Cm도 주고 해보세요.

다틀린 결과과 나올때두 있습니다.

PiYO님 줄에 맞는 스토퍼2개를 사용하면 아무리 99% 안내려 옵니다.
추천 1

IP : e35c76de17d7ce6
제 경우는 2번을 선호합니다. 1,2번 모두 별다른 조과차이 없을테고 채비 기본 구조상으로도 다른 점 없읍니다.
하지만 현지에서 수심이 찌만 세울 정도로 낮다면 1번쓸수 있나요? 수초지역에서 바닥에 봉돌 안착이 어려울 때
1번 쓸수 있나요? 2번이 현장 응용력이 뛰어납니다. 제 경우는 편납보다는 친환경 유동추를 쓰고요. 챔질시 수초에 걸리면 봉돌과 스위벨이 붙는거는 종종 잇는데 스토퍼 다시 올려서 제자리로 놓으면 되는 간단한 것을 불편하다면 어쩔수 없고요.
추천 0

IP : 9e214b6f469009d
2번은 스위벨 사용한 해결사 채비네요...
1번과 2번 어떤 채비가 더 좋은지는 누구도 장담 못할듯 싶네요...
그러나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2번 채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때에따라 중통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니깐요...
추천 0

IP : 9a437455120e967
제가 다 해보았지만 체감으루 느끼기엔 둘다 별반 차이가 없는거같습니다
맘에 드시는걸로 쓰시면 될듯요
추천 0

IP : dd0720557bd8165
당줄이 없을경우에는
분할 봉돌의 간격에 따른
민감도 차이에 해당 하겠지만

당줄과의 매듭이 있는 스위벨은
아래로 내리는 한계가 있어
별 차이 없을것 같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