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손맛터및 관리형 저수지를 다닙니다. 그래서 이채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있는
초보조사입니다. 다른게 아니라 궁금점이있는데요
그림에서 보듯이 본봉돌아래있는 편납홀더멈춤찌고무와 분할봉돌(봉돌1호)의 거리를 사진에서 나오듯
거리를 둬야합니까? 아니면 멈춤찌고무를 분할봉돌(봉돌1)호 바로위까지 붙여서 써도되는건가요?.
이채비를 제가봣을땐 좀 예민한채비인듯한데 관리형저수지나 활성도가 좋을땐 찌가빠른속도로 올라오거나
많이 까불거 같은데 어떨까요?.. 아그리고 입질이 뜸하면 유동홀더찌고무를 위로올려주라고 되어있는데
유동홀더 찌고무를 위에꺼만 올려주는건가요? 아래꺼는 그냥 냅두고? 아니면 같이올려줘야합니까? 궁금합니다.
그리고꼭 유선형찌를 사용해야하는지 아니면 60cm정도되는 오뚜기형 찌를 사용해도 될런지.. 봉돌 한 3~4호되는거


편납홀더의 위치를 위로 올리면 일반적으로 입질이 조금 느린듯 스무스하게 올라오는 경우가 많구요... 간혹 지렁이의 일명 "훌러덩" 같은 형태의 올림을 보여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봉돌3~4호 정도먹는 찌를 굳이 3분할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네요...좁쌀 하나로도 충분하지 싶은데요....
올림낚시에서 분할을 많이하면 찌놀림이 지저분 해지더군요..되도록이면 원봉돌 채비가 찌오름이 예쁩니다..
부력이 좀 나가는찌라 할지라도 찌톱을 내릴정도의 좁쌀 하나 달아주면 충분하구요..
위 그림의 채비와 비슷하게 제가 약3~~4년전부터 사용중입니다..다만 변형 얼레벌레 채비로 목줄을 길게 주지요..
일단 해보시죠. 내 스타일에 맞는지 직접 경험해 보는게 좋을듯 합니다....
이채비 찌 진짜 중후하게 몸통까지 찍는 채비죠~~~ 장찌 채비기법을 조금 변형시킬채비 입니다.
1호봉돌대신 성동 분납추 유동되게 하시면 속공 낚시 , 더더더 낚시 구할수 있습니다.
동출 같이 가시면 완벽히 갈켜줄수 있는데...
그림까지 너무 보기좋게 수고해주셨네요.
또 한가지 알았으니깐 실험 정신으로다가 한번 시도해봐야것네요.
양어장 가면 또 꽁칠 기분인데..이거.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