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러 잉어나 향어를 잡으러 간적은 없으며 불청객으로 몇번 잡아봤는데... 짜증 지대로 나더군요...
두세마리까지는 괜찮았으나 그이상은 힘에 부쳐서... 완전 생노가다 더군요
입질 형태는 2마디정도 올렸으며 이때 당겨도 챔질되고요 그냥 나두어도 자동빵 되더군요...
빨채비는 개인적으로 선호 안합니다...
추를 가볍게 쓰셔야 고기가 이물감없이 잘 빱니다.
빨채비는 직립입수가 아닌 사선입수이므로 찌는 저부력(3푼-4푼미만)이면서 장찌를 쓰시는게 유리합니다.
찌가 길수록 바늘과의 거리가 가까워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주로 찌부력보다 1.5-2배정도의 추를 쓰신다고 보시면 무난합니다.
입질시에는 관계없지만 추를 너무 무겁게 쓰시면 사선이 많이 지기때문에 고기들의 몸짓으로 인한 헛챔질이 많아집니다.
낚시대를 끌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뒷줄로 낚시대 묶어두는것은 필수입니다.
대구리 하시길...
알아야 답변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올림과 비교했을때 조과차이가 엄청나는거 같습니다.
요즘 유료터만 줄줄이 다니고 있는데 매번 경기낚시하시는 분들 보면
배부분 완빨 아니면 반빨인거 같습니다.
저역시 빨채비로 바꾼 후 많은 조과가 있었습니다.
완빨과 반빨의 차이는
빨 전용 찌를 달고 추를 찌보다 무거운 관통추를 사용하여 입질을 하면 원줄이 추를 관통하여 찌가 빨려내려가고
빨 전용 찌를 달고 추와 찌를 올림채비처럼 예민하게 마추어 입질을 하면 원줄이 추와 같이 찌가 빨려내려갑니다.
목줄은 어떤분은 길게하고 어떤분은 짧게 하시는데 저는 긴것을 자주 이용합니다.
바늘은 ㅜㅎ지꾸 11호 정도 사용합니다.
두세마리까지는 괜찮았으나 그이상은 힘에 부쳐서... 완전 생노가다 더군요
입질 형태는 2마디정도 올렸으며 이때 당겨도 챔질되고요 그냥 나두어도 자동빵 되더군요...
빨채비는 개인적으로 선호 안합니다...
빨채비는 직립입수가 아닌 사선입수이므로 찌는 저부력(3푼-4푼미만)이면서 장찌를 쓰시는게 유리합니다.
찌가 길수록 바늘과의 거리가 가까워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주로 찌부력보다 1.5-2배정도의 추를 쓰신다고 보시면 무난합니다.
입질시에는 관계없지만 추를 너무 무겁게 쓰시면 사선이 많이 지기때문에 고기들의 몸짓으로 인한 헛챔질이 많아집니다.
낚시대를 끌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뒷줄로 낚시대 묶어두는것은 필수입니다.
대구리 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