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찌오름을 좋아라 해서, 긴찌를 선호합니다. 50~80cm
단점은, 저수심 노릴때 불편하더군요.
다시 단찌로 세팅해야하니, 불편한,,,
노지 대물 주로 하시는 분들은 그닥 긴찌를 쓰실 필요성이 없을 듯 합니다.
작년에 1m70짜리 붕어 전용찌를 하나 만들었는데, 사용 할 곳이 없더군요.
수심이 5m는 나와야 그나마 던기가 좀 수월할 것 같은데,,,
댐낚시 가긴 전에는 사용이 힘들 것 같습니다.
바닥 떡밥 낚시합니다.. 노지에선 주로 3대 정도 피고 합니다.
늘 월척과 4짜를 바라기에 찌길이도 30~50cm 정도 길이 선호합니다.
몸통은 고추형 보다는 길쭉하고 늘씬하게 흐르듯한 모양의 찌가 좋더군요..
야간낚시할때 몸통이 하얀색을 이용합니다. 찌잡을때 아주 편하더군요...
저역시도 대물찌만 사용하다가 다대편성 및 수초지역... 7호이상 봉돌만 사용했습니다
근데 요즘 저부력이 추세인지라 이번에 모두 녹수로 바꿔보았네요 2호 3호 봉돌
생미끼나 옥수수를 주로 사용하구요~
수심의 1/2에 최대한 가까운 길이 사용합니다.
자주 가는 터 수심이 80~100cm라 대부분 35에서 45 사용하네요.
많이 쓰고있습니다^^ ㅎㅎㅎ
늘안출하시고,
즐거운 하루되세요!!
떡밥은 60cm 자리를 좋아하구요 부력은 2~3호사이가 좋아요
장찌는 수심에 따라 선택 사용합니다.
학장찌 제일좋아합니다.
수심이 3M이상 되는 곳에는 장찌(1.0~1.2M) 사용합니다.
이분할채비하여 사용하는데 입수및 입질시에 찌맛 죽입니다.
보통 수심에서는 50~70cm를 사용하며
가능한 긴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떡밥,옥수수,새우,지렁이 모두 써다보니 요싸이즈만
써게되네요
부력 고리추 7~8호 퐁당 이요.
단점은, 저수심 노릴때 불편하더군요.
다시 단찌로 세팅해야하니, 불편한,,,
노지 대물 주로 하시는 분들은 그닥 긴찌를 쓰실 필요성이 없을 듯 합니다.
작년에 1m70짜리 붕어 전용찌를 하나 만들었는데, 사용 할 곳이 없더군요.
수심이 5m는 나와야 그나마 던기가 좀 수월할 것 같은데,,,
댐낚시 가긴 전에는 사용이 힘들 것 같습니다.
30cm는 너무 짧은것 같고요. 찌올림이 별루 더라구요. 수초에 붙일때는 30cm 찌를 사용합니다.
50cm넘어가서 60 ~70cm 이렇게 되면 찌올림은 좋은데 줄에 가꾸 꼬여서 불편하더라구요.
특히 밤낚시 할때 목줄하고 찌하고 꼬이면 짜증나는 낚시가...^^
부력은 4.5~5.5g정도를 좋아합니다.
나루예 백운찌 45cm 정도의 길이와 부력을 좋아합니다.
보유하고 있는 찌들의 대부분이 80~150cm 정도 됩니다
생미끼 낚시만 제외 하고는 거의 70cm이상 찌들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찌맛을 제일로 치는지라........^^*
떡밥낚시는 50~80 약간 장찌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찌맛때문에 찌탑이 조금긴찌를 사용합니다...^^
45~60 정도^
부력은 2에서 많으면 4호까지..무겁다고 멀리(쉽게) 투척되진 않더군요..
가장 기본적인게 가장 효과적일듯..
주력이 54센치네요....떡밥을 주로 합니다
늘 월척과 4짜를 바라기에 찌길이도 30~50cm 정도 길이 선호합니다.
몸통은 고추형 보다는 길쭉하고 늘씬하게 흐르듯한 모양의 찌가 좋더군요..
야간낚시할때 몸통이 하얀색을 이용합니다. 찌잡을때 아주 편하더군요...
가장 많이 쓰는 찌 길이는 35~40cm 정도의 길이에 부력 3~5호 정도 입니다.
참고로 저는 노지 떡밥낚시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
45~60 찌를 가장 좋아 합니다.
펴볼 곳이 많이 않더군요.
낚시대길의 1/10 정도에서 결정한다고 이야기 들었습니다.
가진찌가 대개 50센티 이하찌가 대부분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찌를 써야 할 곳도 많더군요.
30cm~150cm까지 사용합니다.
초봄 수초치기나 저수심에는 30~35cm
외대일침, 경기낚시에는 45~55cm
양방 쌍포에는 60~80cm
더,더,더 장찌낚시에는 120~150cm
주로 3.2칸대는 60~70짜리가 좋지요
수심에 따라 조금 달라지긴 하지만요.. ^^
근데 요새는 찌가 2마디도 안 올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