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다리에 편납을 감은것은 침력을 분할한 것입니다
맨 아래 봉돌에 집중되어있는 침력을 나눈것인데요
찌의 부력이 부담스럽지만 부득이하게 써야하는 상황에선
부담스러운 부력과 침력을 어느정도는 해소해줄 수 있습니다
기존의 분납채비와 분납의 비율이나 길이가 다를 뿐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찌가 예민한지 붕어가 예민한지 뭉뜽그려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분할은 찌가 예민해진다기보다는 예민한 붕어에게
사용하기 좋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심이 좋을듯 합니다
예민함 즉 봉돌의 움직임에 즉각적으로 가감없이 반응하는것은
분할보다는 단일봉돌이 조금이라도 더 빠릅니다
맨위 장군님처럼 본인도 여러개의 찌 부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서 쓰고 있습니다.
찌가 훼손되거나 했을 때 아무찌나 끼우면 되니까 엄청 편하고 좋드군요.
찌 올림에 크게 방해 되는 거 못 느끼고 입질 하는 대로 챔질하니 되더군요.
하긴 조사님들 마다 취향이 다들 다르니 이것이 옳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냥 내방식 대로 편하니까!
찌다리에 편납을 감는것은 1차적으로는 찌부력의 침력을 나누려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모든 낚시에서 사용한다기 보다는 주로 장찌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입니다.
주로 전체길이가 1m 이상 되는 장찌 입니다. 70~80cm 수준의 찌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도 150, 또는 180정도의 찌를 반조립으로 만들어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물론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
사용하구요. 요즘은 장찌 재미가 시들해져서 그냥 구석에 놓여 있습니다^^
이런 장찌는 여러이유로 부력이 많이 나갈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장찌가 고부력인것은, 저부력으로는
장찌의 톱의 길이등으로 인한 무게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물론 저부력으로도 어느 정도 까지 감당이 되는
찌의 길이는 있습니다만 장찌 매니아들이 사용하시는 장찌 수준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만일 저부력에 억지로 긴 찌톱을 사용하면 밸런스의 균형이 깨져 정상적인 찌의 기능을 갖지 못하게 됩니다.
고부력 장찌를 사용할 경우 찌다리에 편납을 감는건 하나의 방법입니다. 여기에 분할 채비를 함께 사용하기도 하구요.
그냥 고민없이 즐겁게 낚시를 즐기는 것이 가장 좋은 낚시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분들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그 즐거움 더 한층 높여 보려고 하기도 합니다. 비록 머리는 좀 더 아프겠지만요^^;
제 경우도 좀 더 고민하고 방법을 찾으면 결과적으로 좀 더 나은 찌올림, 다양한 낚시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저의 생각 입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시는 분할채비나 좁쌀봉돌 채비등이 그런 예가 되겠죠. 많은 분들이 즐겨 사용하고 계시니까요.
그런 이유에서 찌 다리에 편납을 감는 것은 누군가의 고민과 생각, 그리고 연구로 부터 이루어진 또 하나의 낚시방법이며
많은 조사님들에게 도움을 주는(특히 장찌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좋은 결과물이라고 생각 됩니다.
요즘낚시, 과학이며 또 하나의 공부라고 하잖아요? 그리고 그걸 즐기시는 분들이 계시고 그런분들 덕분에 새로운 방법을
알게 되는 유익함이 있죠. 고마운 일일 뿐입니다^^
제 경우 고부력 장찌 다리에 편납을 감았을 때 좀 더 찌올림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 합니다. 둔해 지지는 않는것 같네요.
찌다리에 13%감고 2분할 3분할 그런용도로는 안씁니다. 복잡한거 딱질색 ^^
저는 그냥 부력을 모두 동일하게 하게하려고 편납감아 씁니다.
봉돌은 꿰미추 사용합니다.
봉돌이 막섞여도 상관없고 찌가 막섞여도 상관없습니다.
그냥 섞어있는 꿰미추하나 찌하나 골라서 채비달면 부력 딱맞습니다.
평균오차는 +- 반목정도입니다.
저는 분할이나 예민성보다가는
찌다리에 편납감아서 모든찌와 봉돌 동일하게 맞춰놓으니
대물,바닥,예민한바닥,옥내림 모두 찌하나 봉돌하나로 모두 할수 있어서 편합니다.
무거운 장찌의 부력을 줄이는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찌올림은 묵직하게 표현됩니다.
맨 아래 봉돌에 집중되어있는 침력을 나눈것인데요
찌의 부력이 부담스럽지만 부득이하게 써야하는 상황에선
부담스러운 부력과 침력을 어느정도는 해소해줄 수 있습니다
기존의 분납채비와 분납의 비율이나 길이가 다를 뿐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찌가 예민한지 붕어가 예민한지 뭉뜽그려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분할은 찌가 예민해진다기보다는 예민한 붕어에게
사용하기 좋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심이 좋을듯 합니다
예민함 즉 봉돌의 움직임에 즉각적으로 가감없이 반응하는것은
분할보다는 단일봉돌이 조금이라도 더 빠릅니다
합니다. 겨울철에는 내림보다 힘들지만 봄부터는 내림 안부럽게 잡아내고 있읍니다. 튜닝의 종착역은 순정입니다. 원래그대로가
좋은거 같읍니다.
찌가 훼손되거나 했을 때 아무찌나 끼우면 되니까 엄청 편하고 좋드군요.
찌 올림에 크게 방해 되는 거 못 느끼고 입질 하는 대로 챔질하니 되더군요.
하긴 조사님들 마다 취향이 다들 다르니 이것이 옳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냥 내방식 대로 편하니까!
원봉돌의 무게를 줄여 보자고 하는것 같은데 아예 저부력을 사용하시면 그런 고민 없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모든 낚시에서 사용한다기 보다는 주로 장찌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입니다.
주로 전체길이가 1m 이상 되는 장찌 입니다. 70~80cm 수준의 찌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도 150, 또는 180정도의 찌를 반조립으로 만들어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물론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
사용하구요. 요즘은 장찌 재미가 시들해져서 그냥 구석에 놓여 있습니다^^
이런 장찌는 여러이유로 부력이 많이 나갈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장찌가 고부력인것은, 저부력으로는
장찌의 톱의 길이등으로 인한 무게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물론 저부력으로도 어느 정도 까지 감당이 되는
찌의 길이는 있습니다만 장찌 매니아들이 사용하시는 장찌 수준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만일 저부력에 억지로 긴 찌톱을 사용하면 밸런스의 균형이 깨져 정상적인 찌의 기능을 갖지 못하게 됩니다.
고부력 장찌를 사용할 경우 찌다리에 편납을 감는건 하나의 방법입니다. 여기에 분할 채비를 함께 사용하기도 하구요.
그냥 고민없이 즐겁게 낚시를 즐기는 것이 가장 좋은 낚시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분들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그 즐거움 더 한층 높여 보려고 하기도 합니다. 비록 머리는 좀 더 아프겠지만요^^;
제 경우도 좀 더 고민하고 방법을 찾으면 결과적으로 좀 더 나은 찌올림, 다양한 낚시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저의 생각 입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시는 분할채비나 좁쌀봉돌 채비등이 그런 예가 되겠죠. 많은 분들이 즐겨 사용하고 계시니까요.
그런 이유에서 찌 다리에 편납을 감는 것은 누군가의 고민과 생각, 그리고 연구로 부터 이루어진 또 하나의 낚시방법이며
많은 조사님들에게 도움을 주는(특히 장찌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좋은 결과물이라고 생각 됩니다.
요즘낚시, 과학이며 또 하나의 공부라고 하잖아요? 그리고 그걸 즐기시는 분들이 계시고 그런분들 덕분에 새로운 방법을
알게 되는 유익함이 있죠. 고마운 일일 뿐입니다^^
제 경우 고부력 장찌 다리에 편납을 감았을 때 좀 더 찌올림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 합니다. 둔해 지지는 않는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