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낚시꾼이 궁금한점이 있어서 월척님들께 여쭈어 봅니다
여기저기 공부하더보니 찌마춤이라는게 있더군요
전 그냥 봉돌은 바닥에 가라 안치는 역활만 하는지 아랏는데 넘 무거우면 안된다네요
제가 낚시대 사고 찌 바늘 달때 낚시점에서 줄달고 찌달고 봉돌달구 바늘달고 주더라구요 찌마춤은 안하구요
찌살때 봉돌이 들어 있다데 그냥 찌에 있는 봉돌 달면 찌마춤 안해도 되는건가요?((찌에 봉돌이 알맞게 마쵸서 나오는건가요?))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수면에 케미가 일치하면 바닥낚시가 되는거 같구요.
케미가 수면으로 반정도 올리면 예민한 체비가 되는거로 알아요
매장에서 판매하는 찌는 대충은 맞추어 나오는듯한대요 그래도 본인이 마추어 쓰셔야 조금씩 변형을 줄수있을꺼에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간단히 말하면 마이너스 마춤 제로마춤 플러스마춤 세종류가 있고요
마이너스 맞춤은 봉돌이 살짝띄우는 아주 가벼운 맞춤으로 대류에 영향이 적은곳에서 사용하고 민감한 입질시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케미끝이 수면에 한미디정도 올라오게 하는 맞춤입니다.
제로맞춤(영점맞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맞춤입니다.
케미 끝부분이 수면에 일치하는 맞춤이죠 떡밥사용시 많이 사용하는 맞춤이고 보편적 맞춤입니다.
플러스 맞춤 수면에서 찌가 케미끝부분이 잠길게끔 맞춰주는 방법인데 주로 생미끼나 건탄으로
대물치기에 많이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조그만 니퍼나 손톱깍기 같은 것으로 봉돌을 조금씩 깎아내면서
균형을 이룰때 까지 조절 하시면 됩니다.
몇번만 해 보시면 쉽게 터득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거의 대부분 약간 무거운 봉돌을 주며, 본인이 깎아서 맞추어야 합니다.
사실때 낚시가게에 아마 수조통이 있을겁니다, 거기서 맞추는것 보시고 배우셔서 하시면 될겁니다.
내리시고 물에 던져보면 찌가 입수 하면 무거운거요
찌가 올라와 있으면 가볍습니다 대체적으로 이봉 채비는
찌 맨끝이 물과 수평 맞춤하실때가지 봉돌을 가감하시면
애지간 혀서는 다른현장에 나가셔도 찌맞춤 다시 할필요도 없습니다
줄이 터지지 않는 이상,,,,,,
당근 새로 맞추어야 하구요
방법은 자연 터득하게끔 고수분을 한분 만드시는게 좋습니다.
아님 동호회라도 가입하는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찌 맞춤법, 채비법, 많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예민하게 맞춘다고 하는데 뭐가 예민한지 증명을 못하잖아요. 수조통에서는 그게 보입니다. 단지 현장, 그리고, 계절별 차이가 있느니까 그 차이만큼 감안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시행착오 후 개념이 잡히리라 생각합니다.
찌자체애 달려있는 봉돌은 무겁습니다
어신의 전달과정은 찌가상승 하므로(간혹 내려갈때)챔질을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부력(무중력)은 필수요소입니다
찌
찌의생명은 도장입니다 보기에 멀쩡해도 도장불량은 물에오래있으면 물을 빨아더려 무게가무거워지니
부력을 잡았서도 갈수록 부력자체가 무거워집니다(사용 불가능)
목줄
활성도가 졶을시는 목줄길이가 15-20cm길이도 가능하지만
여기서 참고할것은 붕어가 먹이흡입후 수직선으로 돌아올때 붕어가 목줄길이보다
더뜨오르지 않으면 아무리 부력을 잘맞춘 찌라도 뜨오르지 않습니다
보통목줄길이 7-8cm가 젇당하더군요
찌맞춤
동물성 미끼면 몰라도 바닥떡밥 낚시경우 현장부력체크는 필수입니다
수조통에 찌맞춤은 현장에 가면 무겁습니다
원줄무게 찌가달린곳에서 밑으로는 무게가있으므로 수압 떡밥무게 그래서 현장부력체크가 필수입니다
수조찌맞춤은 참고로 보시고 현장체크필수
바늘
5호 정도가 적당하고요
정확한 부력잡은찌는 채비투척후 찌다리까지 수면에누운체
발딱일어남과 동시에 서서히 입수를 원칙으로 볼때
찌가 그냥물에 잠길시는 엄청무겁고요 달린봉돌보다 한호수 작은것으로 대체해서 잡으시고
사선입수는 찌의무게 중심이 안맞으므로 찌다리에 편납으로 찌무게 중심 확인후 부력체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