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여러분의 지식동냥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원봉돌로 올림낚시를 하다가, 조금 예민한 채비가 조과를 좋게 할지도 모른다는 달콤한 생각에
스위벨채비를 조금 해봤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올림도 아니고 내림도 아닌 얼레벌레 채비가 되고 말았습니다.
여기저기서 인터넷상으로 찌맞춤에 관해서 글로 배우다 보니, 더욱 헷갈리고.....이젠, 내 맘대로 가자....하고
우선, 먼저 봉돌 밑에 작은 스위벨을 달고 무바늘 상태에서 찌톱 바로밑 깔딱 맞춤으로 봉돌을 맞추고
수심채크는 역시 무바늘 상태에서 스위벨에 봉돌을 추가로 달아서 찌가 가라앉도록 하여 찌가 1목정도 나올때 까지
찌를 올려서 맞춤을 했습니다.
그 뒤, 바늘을 달고 낚시를 시작했는데, 같은 위치에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찌가 3목 이상 올라오는 겁니다....
짐작하건데, 너무 가볍게 찌맞춤을 해서 목줄길이 만큼 찌가 올라온건지....도통 알수가 없습니다.
입질 역시, 올림 또는 내림이 일관성이 없네요.....
뭐가 잘못된걸까요?
상기 사항은 전부 현장에서 이뤄진 것들입니다.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스위벨이 너무 가벼우면 나타날수 있는 현상
찌 봉돌마춤 다시 하셔야 할듯,,,,
스위벨 채비는 예민한채비인지라 어떤종류의 원줄을 사용하느냐에따라서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전 처음 카본사 원줄을 사용하다가 지금은 세미플로팅으로 사용중인데, 원줄에따라 찌맞춤이 달라집니다.
시간되시면 군계일학 사이트 찌맞춤 동영상보시는게 제일 정확할듯합니다.
좋은점이훨많습니다.,.
참조만하시길..
수심체크하실때 봉돌을 추가해서 체크하셨다고 하신부분에서 추측하건데..무거워진 채비가 더 멀리 사선을 그리며 물속에 떨어졌을겁니다
그래서 그상태로 수심을 볼때는 더 멀리 나가서 착지가 된거죠..그상태로 한목 맞추고 다시 떼고 던지면 그 무게가 사라진만큼 천천히 입수되다보니 찌위치에 더 가까운 형태가 됬을겁니다..바닥경사나 이런것도 이유가 될수있겠지만 그 자체로도 찌의 높이는 달라지기 쉽죠..
예를들어 일정한 높이로 맞추고 나서 떡밥을 달아 낚시중에도 작게달아던지면 찌가 한목이 나오던것이 크게달아던지니 찌가 수면에 걸리는 현상을 보신적이 있으실거라봅니다..저는 같은 현상이라 보고요...떡밥달아 던지고 수심을 조절하시면 되는거다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떡밥달고 낚시 시작하는 세팅으로 던졌더니 찌가 세목 나왔다 그러면 두목정도 내리고 한목나오게 낚시하셔도 되구요..안정감을 더 주고싶다 하시면 두목으로 조절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분할채비에 빠는입질은 붕어의 활성도도 문제가 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제경우에는 떡밥의 점도나 크기 바늘 사이즈 목줄의 종류등등에 영향을 더 받았던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