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무게와 부력에대해문의

IP : 1d79155891dd2ca 날짜 : 조회 : 9688 본문+댓글추천 : 0

찌부력은 4그램 나오는데 찌만 무게를 재보니 4.5그램나옵니다 ㅠ 찌가불량인건지요? 아니면 찌를 그냥사용해도 예민성부근에서 문제가 전혀없는건지요? 찌는 깨지거나 그런것없이 새제품인데 나루예찌이며 떡밥및생미끼 겸용으로 써도 된다고해서 구매햇는데 ᆢㅠㅠ 알려주시면 궁금증이풀릴듯 합니다 조언 부탁드리겟읍니다ᆢ

1등! IP : 0aa984b7e40a762
찌무게랑 부력은 별게 아닌가요?
수제찌 만드시는분들 보니
자중 얼마 부력얼마 이렇게 적어놓으셨던데
추천 0

2등! IP : 0826d4f9bb14199
찌를 구매하실때 일일히 수조통에 담겨 볼수도 없죠
막상 찌맞춤시에는 상당한 부력차이로 인해
머리아픈경우가 많읍니다~~

정확한 부력표기는 없는듯 하더군요
찌건조시에 따른 영향도 있고요
그러러니 하시는게 답일듯요 ~~~
추천 0

3등! IP : 7d98c0b5533e51f
정상인데 뭘 고민하시나요 그냥 사용하심 됩니다
순부력, 자중부력이니 신기한 용어를 잘도 만들어 내시는데 기능상 아무런 의미도 없는 야그입니다
찌는 무게중심이나 용도에 따른 상하발란스 뭐 이런게 중요하죠
찌무개 대비해서 부력이 높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낚시패턴이나 용도에 따라서 다 다르죠
그냥 사용하세요
추천 0

IP : 01cf414379a13a6
좋은 말씀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냥 써도 된다는 말씀이신듯하네요
참고하겟읍니다 ..

궁금증이 조금은 풀린듯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안출하세요,,,,,,,,,,,,,,,,,,,,,,
추천 0

IP : 3d81fea2c5bef8a
그냥 사용하셔도 붕어 입질은 무방합니다만
4.5+4 정도면 앞치기나 챔질시에 엘보를 부를수있으니 참고하시고
이것저것 사용해보시면서 몸으로 느끼시는게 좋겠습니다.
추천 0

IP : 17a23d6d52fd3bb
찌무게를 안재봐서 저정도나가는게 맞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제생각으로는 찌가 봉돌 보다 무거우면 낚시를 제대로 할수가 없습니다

설명드리면 장대로 갈수록 배런스가 중요한데 배런스가 전혀 안맞습니다

투척해보시면 알것입니다 찌가 더 무겁기때문에 날라가는 힘이 강하고 원봉돌이 일반적으로 쭉뻗어서 입수되는것이 아니라 찌믿에 툭 떨어집니다 느낌 드럽거든요 또한 봉돌보다 부피도 커서 저항도 많이 받아 흔히말하는 풀스웡 자체가 거의 안된다 보시면 될것같네요
추천 0

IP : 71924bcfce36d22
이런찌들 보통 오동 스기목(삼나무)등이 자중이 있음다.
원하는 봉돌무게에 찌부피가 다른재료보다 크게먹히는
경우 앞치기 해보면(유동찌채비 아닌 재래식채비 경우)
찌와 봉돌간격이 클수록 목표점에 넣기가 불편한점이
한 이유가 되겠음다.
추천 1

IP : 01cf414379a13a6
아~그런점이있군요 ^^
친절한 설명 감사하고....

덕분에 많은걸 알게되고 배우게 되었읍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어쩌다 나서는 출조길 4짜 하시길 바래드립니다...
추천 0

IP : c3a6c95c54bdab0
찌의 무게가 봉돌의 무게보다 비슷하게나 무거울 경우 압치기하기가 무척 어럽습니다.
봉돌이 일자로 쭉 날라가는게 아니라 날라가다가 되돌아옵니다.
유동채비인 경우에도 경질대가 아닌경우 무거워서 잘 날라가지 않습니다.
또한 생미끼 낚시의 경우는 상관 없겠지만 떡밥낚시의 경우 둔탁하여 예민한 입질 받가가 어렵습니다.
조과가 많이 차이납니다. 봉돌에 비래하여 자중이 반이하로 나가는 찌(부력이 4g인경우 자중이 2g이하)가
떡밥낚시의 경우 적합하다고 봅니다.
추천 0

IP : bffbb91acbd4532
그냥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만,
입질 측면에서 본다면 다소 손해보는 면도 있습니다.
찌 자중을 보니 아마도 스기목인듯 합니다.
대물낚시야 뭐 크게 관계없다지만, 가벼운 채비로 떡밥, 지렁이 낚시를 하신다면 헛챔질이 많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장대에서 앞치기시에도 불리한 면이 있습니다.
부력이 4-5그램 정도라면, 오동목이 찌 자중이 2-2.5그램 정도, 발사/부들 소재의 찌는 찌 자중이 2그램 미만이 나옵니다.
찌 자중이 가벼운 찌가 장대 앞치기에 유리합니다.
추천 1

IP : bd42fdcfa79754b
자중대비 부력이 높은찌가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본찌를 물가에 드리워 낚시한다면
요즘처럼 붕어 예신.본신이 지저분할땐..
표현자체를 못할수도 있단 생각이드네요..
올릴놈은 올리겠지만...깔짝깔짝 거리는 찌보고있음 낚시꾼은 속터집니다..
추천 0

IP : 09b6aa62289449b
자세하고도 정성이들어간 답변에글들~~
너무고맙고 잘배웠읍니다

참고햬서 생미끼 찌로만 쓰겟읍니다ᆞ
가르침 다시한번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추천 0

IP : 9467a6280e6ae07
가볍고 순부력이 높은 찌를 좋게 표현하면 예민한 것이고
나쁘게 표현하면 까불거리는 찌라고 하지요
나그네 붕어님이 구매하신 찌는 반대로 점잖은 입질 표현을 한다는 찌가 되겠지요
자중이 무거운 찌도 상품으로 유통되는 것은 취향의 차이 때문입니다
추천 0

IP : 096e6604c279781
저는 발사나무로 직접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찌를 만들고나서 전자저울에 찌의 무게를 재보면 2g 내외더군요
하지만 부력은 약 4~5g 정도 됩니다.
어신을 표현하는 능력을 찌의 예민성이라고 친다면
찌의 자중은 이러한 예민성을 떨어뜨리는 주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나무재질의 비중이 높으면 자중이 많이 나가게 되므로
비교적 둔한 대물낚시용 찌로 많이 사용하고
비중이 낮은 재질의 나무는 바닥, 내림, 중층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찌로써의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으니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추천 0

IP : 5368a38ff6d4e91
단지 저울로 그람수만 재면 안되고 물속에 넣어서 몇호봉돌 먹나 보셔야 하고 앞치기 힘들면 유동찌 찌 내려서 봉돌쪽으로 찌를 많이 내려서 캐미끝이 봉돌을 넘지않는수준까지 내려서 앞치기 하면 할만 합니다~
추천 0

IP : 6804ccbf26920e9
찌 무게와 부력은 별개라고 생각이 듭니다.

찌의 무게는 물밖에서의 찌 무게지만,
부력은 물속에서는 봉돌을 들수있는 힘인걸로 압니다.
추천 0

IP : 34b6e12ac9b2651
자중대비 순부력이 좋으면 떡밥낚시에서
예민성이 그만큼 좋습니다.
예민하게 맞추면 미끼 흡입시에 이물감이 줄어 들기 때문입니다.
여기 장터에 조희 밤색 통공작찌 새거 5000원 파시는분 계시던데요.
자중 대비 부력 및 품질 최상이더군요.

군계,예인,나루등 기성제품 보다 더 좋더군요.
그리고 새거 정상가가 15000~20000원 인데 재고 정리 차원이라 가격도 5000원밖에 안하더군요.
추천 0

IP : cbaf8e76939a072
일반적으로 좋은찌의 조건중 하나가 자중이 작고 부력이 큰 찌입니다
이것은 찌의 예민성과 투척성이 우수하다는것을 말합니다

님께서 구입하신 찌는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상대적으로 덜 예민하고 장대로 갈수록 투척하기가 어렵다는것을 말합니다

어떤 장르의 낚시를 하느냐에 따라 용도가 달라지지만,
무엇보다 님께서 사용하시고 경험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안낙즐낙하십시오
추천 0

IP : 4ac6fc3d789a61e
쉽게 찌자중이 적게나가고 부력은 그보다 두배정도 나오는것이 앞치기에좋습니다

찌자중1~2그램에 봉돌4~5그램이면 쭉쭉맞바람불어도

잘날라갑니다^^
추천 0

IP : 4bb2ee3f4c13008
불량은 아닙니다...다만 앞치기에 불편함이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