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현장찌맞춤은 매번 해야하는가요?

IP : c64c5cfe4148fdb 날짜 : 조회 : 9524 본문+댓글추천 : 0

현장찌맞춤을 한 상태인데 다른 노지에 갔을 경우 수심체크 이외에 다시 현장찌맞춤을 또 해야하는가요? 찌맞춤이 된 상태에서 다시 현장찌맞춤을 하는 방법은 어떻게 하나요?

1등! IP : ccd48dd48a16d34
안녕하세요 ^^
제 경우 한번 맞춤하면 수심히 비슷한 곳에선 하지 안고요
수심히 특별히 많이 차이나거나 입질이 너무 예민할시 평상시 핀도레를 사용하기 때문에 쇠링을 추가하거나 빼거나 하여 상황에 맞게 대처를 합니다
저수심이나 비슷한 수심에서는 한해 찌맞춤 신경 안쓰고 낚시를 하는데요 조과에 차이를 못느끼고 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찌맞춤에 비중보다는 포인트와 미끼가 조과에 더 큰 영향이 있다는 개인적인 확신으로 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물론 노지기준입니다
한 예로 친구와 낚시를 하느중 저는 표준 찌맞춤 친구는 고부력 풍덩 채비인데도 같은 떡밥미끼에 친구에 찌를 쭉쭉 올려주더군요 ^^
추천 0

2등! IP : 777a527b7e38cc0
전에는 민물낚시에서는 모노줄만사용했는데
요즘들어 카본줄을 많이 사용합니다.
모노와 카본줄과 어느것이 좋고 나쁨을 떠나서(논쟁의 대상이 됩니다) 저는 모노줄만을 사용합니다.
이유는 줄의 비중이 최초 찌맞춤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기때문에 단한번의 찌맞춤으로(상황에따라 쇠링으로 가감적용)
낚시에 임합니다.
카본줄의경우는 수심에따라 뒷줄의 영향으로 찌맞춤을 달리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카본줄을 사용하신다면 당연히 현장맞춤을 매번다시 해야합니다.
추천 0

IP : 3f69cdd28e468b3
저는 같은자리 같은 낚시대를 사용하더라도 찌맞춤 다시합니다. 항상합니다.
추천 0

IP : ccd48dd48a16d34
떡밥 하시는 분들께선 역시 정석대로 하시는군요
전 게을러서 카본줄에 현장맞춤도 아닌 수조통 맞춤으로 끝인데 ...
추천 0

IP : d7aa3ace4f1b532
아주 예민한 맞춤일 경우 물의 탁도에 따라 바늘만 바닦에 닿고 봉돌은 뜨는경우가 있으니 현장 체크는 필수일듯 하네요.
추천 0

IP : dec22d2a0e715da
만에 하나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현장 가서 한번은 확인 꼭 합니다.
추천 0

IP : 5385f30cc808639
강스타일님..역시정알고같은분이계셧네요..ㅋ하지만전..90프로가꽝입니다..ㅋ
추천 0

IP : 2ad7d62768799a8
옆사람 꽝처도
절대 꽝 없는 낚시에
올해도 4짜 5수하고 월척급 수없이 했습니다.

매번 갈 때마다 혹여 같은 자리라도
필히 현장맞춤 다시 합니다.
추천 0

IP : 47dc466ded38d68
귀찮아서 집에서 수조통에서 천천히 가라안게 만들곤 끝.

저수지 바뀔때마다 우찌합니까 귀찮고 낚시대 한두대펴는거도 아닌데 ㅎㅎ
추천 0

IP : 5385f30cc808639
죄송한데그럼 매번바늘빼고현장에서수평맞춤하는건지요?그럼매번깎다가벼워져서찌가안맞응션어떡하시는지요?현재대물찌에 6호봉돌유동채비입니다..설명좀요..
추천 0

IP : e570377a9042581
어짜피 노지 풍덩채비이기 때문에여..별루 신경 안써여 ㅎㅎ
추천 0

IP : 42898611396b2c7
jun1님 매번깎는것은 아닙니다
매번 수심채크와 찌맞춤을 한다는것이지요
무겁고 가벼운것은 쇠링을 첨부해서 사용하지요
처음에 반목이나 한목나오게 맞추어놓고
쇠링으로 케미꽃이만 잠기게추가 해주면 되지요
현장가서 무거우면 빼면되고 가벼우면 추가하면
되는데요
추천 0

IP : c18e790bfcb46d5
수조에서 찌맞춤하면
현장에서도 맞아요..
그리 신경 안써도 됩니다
현장 찌맞춤안해도 만일 찌가 뜨면 찌가 움직이며 유동 되기때문에 알게 마련..
그런때는 찌를 조금1센치정도 올려서 쓰면 됩니다
낚시 편하게 합시다
추천 0

IP : d89995ed4af5572
수심체크 할때 같이 한번 정도 해줍니다.
요즘은 오링으로 가감을 할수 있어서 시작전에 한번 해주면 그나마 위안이 됩니다.
추천 0

IP : 4531d158c7f08f9
현장맞춤은 필수라 생각됩니다..
저수지마다..계절마다..미세한 부력차이가 발생하더군요
그리고...찌도 물먹을수도있고.
아무튼..한다고해서 실보다..득이 많은것같아 시작할때..접을때 꼭 현장 맞춤 합니다
추천 0

IP : c18e790bfcb46d5
오링으로 가감....
말되네요..
참 방법 여러가지다..
추천 0

IP : a6c5544eac33868
마린코프 같은 생각 ㅎㅎㅎㅎㅎㅎㅎㅎㅎ 하지만 조과는 ㅠㅠ 그래서 술로 달래요 ㅎㅎ
추천 1

IP : 29a3d6d8c5c798c
저도 현장 맞춤 거의 안합니다.
수조맞춤 하고 현장가서 낚시하다 이상한넘만 현장 맞춤 합니다.
추천 0

IP : 5e3059add938f47
갈때마다 현장찌맞춤은 예민한채비하시는분들 얘기일겁니다 아마도 거의열대피는 풍덩은 하고자해도 못합니다ㅋㅋ6호봉돌정도쓰시면 가볍고 예민한채비는아닌듯한데 본인생각대로가시죠 어차피낚시란게 습관이라 매번하던걸 안하면 그래서조과가떨어지나 이리생각되기마련입니다ᆢ
추천 0

IP : 7ff42073fc15823
낚시에 과연 정답이있을까요? ㅋㅋ 저도전에는 수조에서영점잡고 풍덩하다가 그나마요증은여기저기서 눈팅에 귀동냥으로 현장 찌맞춤으로 하는데 조과는 그닥 ㅋ 뭐니뭐니 해도 어느뽀인트에 자리잡았냐가 젤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자기만의 스탈데로 들이데세요 ㅋ 항상 안출들 하세요
추천 0

IP : 2ef7a168d8fba63
노지에서 현장 찌마춤을 하셨어도 다른 노지 가시면 다시 그 현장 찌마춤을 하시는게 좋을듯 노지는 보통 카본 2호 이상을쓰기땜에 그 저수지의 수심과 대류 가 따 틀리기땜에 다시 하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제생각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