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그대로 봉돌의 무게 비율은 대체로 어느정도로 하는게 좋은가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분할채비 위 아래 봉돌 무게 비율 댓글 14 인쇄 신고 인현왕후 IP : 04b0e9b61c057a4 날짜 : 2025-07-09 16:31 조회 : 3788 본문+댓글추천 : 6 제목 그대로 봉돌의 무게 비율은 대체로 어느정도로 하는게 좋은가요? 추천 0 1등! 목마와숙녀25-07-09 16:48 IP : d6fdcd98c25ab55 찌탑을 원봉돌일때 얼마를 내놓고 쓸건지 결정하시고 나머지 비율을 분활로 맞추실건지 결정하시면 됩니다 분활봉돌시 본봉돌과 분활봉돌도 얼마큼 뛰우실건지에따라 입질 표현도 달라집니다 그리고 분활을 무겁게 갈건지 가볍게 갈건지에 따라 입질표현이 지저분해집니다 선택은 꾼의몪입니다 챔질시 입걸림을 확인하시고 헛챔질 되지 않도록 타점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찌탑을 원봉돌일때 얼마를 내놓고 쓸건지 결정하시고 나머지 비율을 분활로 맞추실건지 결정하시면 됩니다 분활봉돌시 본봉돌과 분활봉돌도 얼마큼 뛰우실건지에따라 입질 표현도 달라집니다 그리고 분활을 무겁게 갈건지 가볍게 갈건지에 따라 입질표현이 지저분해집니다 선택은 꾼의몪입니다 챔질시 입걸림을 확인하시고 헛챔질 되지 않도록 타점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2등! 하드락25-07-09 17:09 IP : 6d0e74a58c245e2 비율은 의미 없구요. 너무 가벼우면 빠는 입질 나오구요. 너무 무거우면 분할의 의미가 없구요. 0.8g 정도 씁니다. 분할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합니다. 저는 가볍게 삶짝 닿는 것 보다는 기둥줄이 좀 눌리더라도 무겁게 닿는 마춤을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비율은 의미 없구요. 너무 가벼우면 빠는 입질 나오구요. 너무 무거우면 분할의 의미가 없구요. 0.8g 정도 씁니다. 분할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합니다. 저는 가볍게 삶짝 닿는 것 보다는 기둥줄이 좀 눌리더라도 무겁게 닿는 마춤을 합니다. 3등! 어인魚人25-07-09 17:24 IP : 92917a2c7097627 8:2에서 7:3 정도를 많이들 하시는거 같더군요 신고하기 추천 2 8:2에서 7:3 정도를 많이들 하시는거 같더군요 부처핸섬25-07-09 18:46 IP : 4848c60889ac328 일타 강의 해드리모, 수조맞춤하고 스위벨 들어올림 그대로 찌도 같이 들려와야합니다 얼래채비등 바늘달고하는 채비도 바늘들어올리면 찌도 같이 올라와야되요 참 쉽죠?? 신고하기 추천 0 일타 강의 해드리모, 수조맞춤하고 스위벨 들어올림 그대로 찌도 같이 들려와야합니다 얼래채비등 바늘달고하는 채비도 바늘들어올리면 찌도 같이 올라와야되요 참 쉽죠?? 2칸대최고25-07-09 19:47 IP : b17b34d80286c57 찌탑 무게 만큼 스위벨에 줍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찌탑 무게 만큼 스위벨에 줍니다 목마와숙녀25-07-09 20:25 IP : 8cb6e3bf815ce56 참고로 찌맞춤시 현장 찌맞춤 권장합니다 낚시줄무게 물의비중 때문입니다 저수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감안하셔서 맞추시고 아시져 쓰레기는 집으로 신고하기 추천 0 참고로 찌맞춤시 현장 찌맞춤 권장합니다 낚시줄무게 물의비중 때문입니다 저수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감안하셔서 맞추시고 아시져 쓰레기는 집으로 추적25-07-10 07:58 IP : 7d281b8da3c1998 저는 찌가 소,중,대를 사용해서 무게가 각기 3.5g~5g까지 사용하는데 아랫봉돌은 전부 1g을 사용합니다. 불편함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간격은 윗봉돌이 유동이라 지형,수심에 따라 달리 사용합니다. 약간의 흐름이나 상황이 여의치 않고등등 그때는 윗봉돌 내려서 원봉돌처럼 사용합니다. 무게를 더 주거나 빼기도 하구요 신고하기 추천 1 저는 찌가 소,중,대를 사용해서 무게가 각기 3.5g~5g까지 사용하는데 아랫봉돌은 전부 1g을 사용합니다. 불편함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간격은 윗봉돌이 유동이라 지형,수심에 따라 달리 사용합니다. 약간의 흐름이나 상황이 여의치 않고등등 그때는 윗봉돌 내려서 원봉돌처럼 사용합니다. 무게를 더 주거나 빼기도 하구요 조은총각25-07-10 10:29 IP : 3775fa04ac033d6 윗봉돌 : 찌의 몸통이 모두 수면에 잠길 정도의 무게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신고하기 추천 2 윗봉돌 : 찌의 몸통이 모두 수면에 잠길 정도의 무게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인현왕후25-07-10 11:13 IP : 04b0e9b61c057a4 관심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몇 번 해 보고 제 나름대로 더 깨우쳐야 겠군요. 신고하기 추천 0 관심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몇 번 해 보고 제 나름대로 더 깨우쳐야 겠군요. 허당대물25-07-10 13:18 IP : 7fdf620a688413c 찌 그람수에 따라 봉돌 스위벨 벨런스 맞추면 되요 신고하기 추천 0 찌 그람수에 따라 봉돌 스위벨 벨런스 맞추면 되요 redalert25-07-11 08:35 IP : 9dd3da9b56e4f44 논리적으로는 좋은 총각님 댓글이 맞는거 같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논리적으로는 좋은 총각님 댓글이 맞는거 같습니다 보라색로드25-07-11 13:37 IP : 3dde42fb2c9377e 원봉돌로 찌탑 전부노출 스위벨로 찌탑 조정 신고하기 추천 0 원봉돌로 찌탑 전부노출 스위벨로 찌탑 조정 조은총각25-07-11 15:49 IP : 3775fa04ac033d6 윗봉돌 : 찌의 몸통이 모두 수면에 잠길 정도의 무게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참고로 바늘 캐미까지 모두 부착한 상태에서 입니당~~~ 신고하기 추천 0 윗봉돌 : 찌의 몸통이 모두 수면에 잠길 정도의 무게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참고로 바늘 캐미까지 모두 부착한 상태에서 입니당~~~ 하늘내음25-07-12 00:24 IP : dcd6947009c1094 분할채비 수조찌맞춤시에 윗봉돌은 몸통의 부력을 상쇠할정도 분할봉돌은 찌탑을 가라안힐정도의 무게로 나누면됨니다 수조에서 분할봉돌을 서서히 들어올리다보면 찌탑이 다 올라오고난 뒤부터 본봉돌과 분할봉돌 사이의줄이 휘어지기 시작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분할채비 수조찌맞춤시에 윗봉돌은 몸통의 부력을 상쇠할정도 분할봉돌은 찌탑을 가라안힐정도의 무게로 나누면됨니다 수조에서 분할봉돌을 서서히 들어올리다보면 찌탑이 다 올라오고난 뒤부터 본봉돌과 분할봉돌 사이의줄이 휘어지기 시작합니다 목록 이전글다음글 하단에 목록보기
1등! 목마와숙녀25-07-09 16:48 IP : d6fdcd98c25ab55 찌탑을 원봉돌일때 얼마를 내놓고 쓸건지 결정하시고 나머지 비율을 분활로 맞추실건지 결정하시면 됩니다 분활봉돌시 본봉돌과 분활봉돌도 얼마큼 뛰우실건지에따라 입질 표현도 달라집니다 그리고 분활을 무겁게 갈건지 가볍게 갈건지에 따라 입질표현이 지저분해집니다 선택은 꾼의몪입니다 챔질시 입걸림을 확인하시고 헛챔질 되지 않도록 타점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신고하기 추천 0
2등! 하드락25-07-09 17:09 IP : 6d0e74a58c245e2 비율은 의미 없구요. 너무 가벼우면 빠는 입질 나오구요. 너무 무거우면 분할의 의미가 없구요. 0.8g 정도 씁니다. 분할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합니다. 저는 가볍게 삶짝 닿는 것 보다는 기둥줄이 좀 눌리더라도 무겁게 닿는 마춤을 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부처핸섬25-07-09 18:46 IP : 4848c60889ac328 일타 강의 해드리모, 수조맞춤하고 스위벨 들어올림 그대로 찌도 같이 들려와야합니다 얼래채비등 바늘달고하는 채비도 바늘들어올리면 찌도 같이 올라와야되요 참 쉽죠?? 신고하기 추천 0
목마와숙녀25-07-09 20:25 IP : 8cb6e3bf815ce56 참고로 찌맞춤시 현장 찌맞춤 권장합니다 낚시줄무게 물의비중 때문입니다 저수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감안하셔서 맞추시고 아시져 쓰레기는 집으로 신고하기 추천 0
추적25-07-10 07:58 IP : 7d281b8da3c1998 저는 찌가 소,중,대를 사용해서 무게가 각기 3.5g~5g까지 사용하는데 아랫봉돌은 전부 1g을 사용합니다. 불편함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간격은 윗봉돌이 유동이라 지형,수심에 따라 달리 사용합니다. 약간의 흐름이나 상황이 여의치 않고등등 그때는 윗봉돌 내려서 원봉돌처럼 사용합니다. 무게를 더 주거나 빼기도 하구요 신고하기 추천 1
조은총각25-07-10 10:29 IP : 3775fa04ac033d6 윗봉돌 : 찌의 몸통이 모두 수면에 잠길 정도의 무게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신고하기 추천 2
조은총각25-07-11 15:49 IP : 3775fa04ac033d6 윗봉돌 : 찌의 몸통이 모두 수면에 잠길 정도의 무게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참고로 바늘 캐미까지 모두 부착한 상태에서 입니당~~~ 신고하기 추천 0
하늘내음25-07-12 00:24 IP : dcd6947009c1094 분할채비 수조찌맞춤시에 윗봉돌은 몸통의 부력을 상쇠할정도 분할봉돌은 찌탑을 가라안힐정도의 무게로 나누면됨니다 수조에서 분할봉돌을 서서히 들어올리다보면 찌탑이 다 올라오고난 뒤부터 본봉돌과 분할봉돌 사이의줄이 휘어지기 시작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쓸건지 결정하시고 나머지 비율을
분활로 맞추실건지 결정하시면 됩니다
분활봉돌시 본봉돌과 분활봉돌도
얼마큼 뛰우실건지에따라
입질 표현도 달라집니다
그리고 분활을 무겁게 갈건지
가볍게 갈건지에 따라 입질표현이
지저분해집니다
선택은 꾼의몪입니다
챔질시 입걸림을 확인하시고
헛챔질 되지 않도록
타점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너무 가벼우면 빠는 입질 나오구요.
너무 무거우면 분할의 의미가 없구요.
0.8g 정도 씁니다.
분할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합니다.
저는
가볍게 삶짝 닿는 것 보다는
기둥줄이 좀 눌리더라도 무겁게 닿는
마춤을 합니다.
수조맞춤하고
스위벨 들어올림 그대로 찌도 같이 들려와야합니다
얼래채비등
바늘달고하는 채비도
바늘들어올리면
찌도 같이 올라와야되요
참 쉽죠??
권장합니다
낚시줄무게 물의비중 때문입니다
저수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감안하셔서 맞추시고
아시져 쓰레기는 집으로
찌가 소,중,대를 사용해서 무게가 각기 3.5g~5g까지 사용하는데
아랫봉돌은 전부 1g을 사용합니다.
불편함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간격은 윗봉돌이 유동이라 지형,수심에 따라 달리 사용합니다.
약간의 흐름이나 상황이 여의치 않고등등 그때는 윗봉돌 내려서 원봉돌처럼 사용합니다. 무게를 더 주거나 빼기도 하구요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몇 번 해 보고 제 나름대로 더 깨우쳐야 겠군요.
스위벨로 찌탑 조정
아랫봉돌 : 원하는 찌톱 높이가 나올 정도의 무게
참고로 바늘 캐미까지 모두 부착한 상태에서 입니당~~~
수조에서 분할봉돌을 서서히 들어올리다보면 찌탑이 다 올라오고난 뒤부터 본봉돌과 분할봉돌 사이의줄이 휘어지기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