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re] 토종붕어와 희나리 구분은 어떻게....

IP : 8521ad87d0c6496 날짜 : 조회 : 4127 본문+댓글추천 : 0

dduk.jpg 육안 식별로 보아도 선명하게 구분하실수있을것입니다 사진 1-토종붕어 사진 2-희나리 사진 3.4 -떡붕어입니다. 꼬릿글로 다시한번 사진을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등! IP : 60ddd5f9dd00543
토종붕어와 떡붕어 희나리 구분은 여러가지로
할수있으나 외형상 육안으로 구별할수있는
몇가지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측선비늘수
토종은 28~30 개입니다.
떡.희나리는 30~34 개까지나옵니다
2. 지느러미 형태입니다.
토종은 둥근 형태를 보이지만
떡.희나리는 제비꼬리처럼 날카로운 모양입니다.
3. 입모양
토종은 바닥을 회유하며 먹이활동을 하므로
입술(?) 이 위에서 아래로 흡입하는 관계로
윗입술이 길다(자바라형태)
떡.희나리는 중층을 회유하며 먹이활동(피라미같은 습성)
사진에서 보는것처럼 아래입술이 유난히 깁니다.
주걱턱 형태를 보입니다.
4. 체형
간혹 혹부리붕어(토종)는 있지만
떡붕어는 머리위에 체고가 유난히 높다.
5. 비늘의 모양
토종은 비늘이 강하며
떡과 희나리 비늘이 약하며 피멍이 바로듭니다.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떡붕어님의 설명에 좀더 양념을 치겠습니다.
1. 체형
토종의 경우 체장과 체고의 비율이 대략 7.5 : 2.5의 비율로 나타나며
위에서 보았을시, 부드러운 유선형을 띱니다. 이는 일반적인 형태이며,
서식여건에 따라 체고가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떡붕어의 경우 체장과 체고의 비율이 대략 7 : 3정도의 비율로 체고가 높다가
꼬리지느러미로 갈수록 급격히 낮아지는 유형을 띱니다.
희나리붕어의 경우 토종붕어와 체격이 비슷합니다.
2-체색
체색의 경우 세종류 공히 서식환경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희나리 붕어의 경우, 토종과 떡붕어와의 확실한 구분이
이 체색입니다.
희나리붕어의 몸통을 자세히 살펴보시면 검은 세로줄 띠가 5개 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희나리붕어에만 있는 특징중 하나입니다.
3-머리 생김새
앞서 떡붕어님께서 설명해주신 그대로 입니다.

겉모습으로 세 종류를 판단하기는 꽤나 난감한 문제입니다.
가장 확실한 구분법은 좀 잔인하지만, 해부를 해서 아가미에 있는
세파수를 세는 것입니다.
여기서 세파란 물과 함께 흡입된 먹이를 걸러내는 빗살 형태의 기관입니다.
토종의 경우 세파수가 대략41-51개이며 떡붕어의 경우 100-120개의
새파를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성 유기물을 주식으로 하는 떡붕어의 경우, 새파를 통해 유기물을
걸러내야 하기 때문에 토종보다 새파가 더 발달해 있는 것입니다.
희나리 붕어의 경우 세파수가 70-90개로 토종과 떡의 중간단계이니다.

-전문 발체 월간 "낚시춘추" 2002년 7월호 222page-
추천 0

3등! IP : 60ddd5f9dd00543
토종과 떡, 토종과 희나리는 너무도 확연히 달라서
구분이 쉽습니다.
다만 떡과 희나리는 혼동을 일으키기 쉬울만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토종은 입술이 가지런 하며 떡과 희나리는 아랫입술이 깁니다.
주걱턱 이라고 하지요.
떨어지는 미끼를 받아먹기 쉬운 구조로 볼수 있습니다.

토종은 몸통의 중앙부에서 꼬리로 이어지는 선이 완만하여
꼬리까지 두툼하게 생겼습니다.
떡과 희나리는 몸통의 중앙부는 높고 꼬리쪽은 급격히 좁아져서
꼬리가 잘록 하게 생겼습니다.

토종의 꼬리지느러미는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이며
떡과 희나리의 꼬리지느러미는 제비꼬리 처럼 뾰족하게 생겼습니다.

토종의 비늘갯수는 30개 미만이며
떡과 희나리의 비늘갯수는 30개 이상 입니다.
아주 드물게 30개 이상의 비늘을 가진 토종이 있긴 하지만
쉽게 보이지 않는 특수한 경우에 불과 합니다.

떡과 희나리는 위의 그림에서는 확연히 구분이 되지만
실제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붕어가 많습니다.
떡에 비해서 희나리는 몸통에서 꼬리로 이어지는 선이 완만하며
그로 인해서 덜 억세게 보입니다.
얼핏 보기에 떡에 비해서 희나리는 흰빛이 난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떡과 희나리를 옆줄의 검은테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는 떡도 희나리도
비슷한 정도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분기준은 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이상 토종과 떡, 희나리의 구분법에 대해 안내를 드렸습니다.
3종의 붕어를 자주 보게 되면 첫눈에 알아보는 안목이 생깁니다.
즐낚 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