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릴떡밥 달때(릴낚시 고수님 부탁합니다)

IP : aa43bbcc4d521b5 날짜 : 조회 : 13685 본문+댓글추천 : 0

위 사진처럼 목줄에 딸랑 떡밥을 달면 투척할때 다 박살날것 같은데요 솔방울채비는 솔방울이 떡밥을 잡아줘서 던져도 잘 박살나지 않더군요 위 사진처럼 떡밥을 달고 박살나지 않게 던지려면 떡밥을 무지 단단하게 뭉쳐야 하나요? 그럼 떡밥이 잘 안 풀리텐데. 과연 사진처럼 목줄에 떡밥을 달아 던지면 안 떨어질까요 릴낚시 떡밥을 다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1등! IP : 0d7374a3027c077
안녕하세요... 우선 제일 중요한것이...떡밥을 다는것 보다... 떡밥의 배합비율이 더욱 중요합니다....
예전에 릴낚시 많이 할때... 많은 방법을 접해 보았지만... 파손없이...공략지점에 잘 안착되는것 보다..
떡밥의 배합과 물의 비율인듯 해서.... 지나가다..몇글자 올려봅니다...
개인적으로는 사진에서 처럼 바늘을 바깥쪽으로 다는것보다는.........안쪽으로 하는것이...
님이 걱정하시는... 파손문제에는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누구나 겪는 경험이지요...준비해간 재료들로 열심히 만들어서 던지면 날아가면서 깨져버리고
다시 좀 질게 만들어서 던져보면 깨지지는 않으나 떡밥 갈아 줄때쯤 건져보면 하나도 안 풀어진 채로 따라 올라오고...
잉어 낚시의 릴낚시의 핵심은 떡밥의 제조술? 인듯 합니다...

파손의 이유는... 떡밥의 배합비율과...물의 양.. 바늘이 꽂혔을때..중심이 잘안맞는경우... 릴대로 던질때의...문제점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중에는...(제기억) 원자탄 뭉치기.. 채비장비도 있습니다... 그걸 사용해서..만들어 보기도 했지만... 제일 좋은것은... 사진처럼 중심을 잘잡아...관통시키고..바늘을 일정간격으로 사진과 달리 안으로 감아꽂는 방식을 많이 사용했던거 같습니다....
파손이 걱정되시면... 인찌끼나 스프링바늘을 이용한 시중제품이 있습니다..
떡밥을 받쳐주는 부분이 있어서...깨지는 것을 보완해 줍니다...
조과는... 원자탄보다는 못했던것 같은 기억이 납니다....(원자탄이 좋아요..)
6~7호 정도의 바늘에 떡밥에 잘꽃아서... 멀리 투척시 파손없이 날아가게 해 주어야 하는데...
질문하신 바늘 꽂는 방식보다는... 키 포인트는 물의 양입니다..
물과 떡밥은 6:4 비율이 적당할것 같으며... 풀어질지 안풀어질지가
의심스러우시면... 투척시...(파손없이 날아간경우) 문제가 없는 떡밥한뭉치를 바늘을 꿰어...
근처의 수면속이 담궈보신후... 풀리는 시간을 확인해 보십시요..
30분에서 50분 정도에 풀어진다면... 잘 배합된 떡밥일것 입니다....

보통 릴낚시 하면...투척후... 30분에서 길게는 1시간이상후에...입질승부를 봐야 하니까요...
떡밥을 만드실때.. 뭉쳐진 바늘 목줄이 중심을 잘 통과하게 하시고.... 6개~10개
정도의 바늘을 ... 잘 균등 분활하시어... 잘 끼워넣으세요...
사진처럼 바깥꿰기는 다 하지 마시고... 몇바늘만...그렇게 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떡밥은 옥수수/깻묵/보리/콩가루/강냉이 등등의... 많은 조합을 하셔야...좋은 조과를 봅니다..
특히 중요한것이... 낚시하시는 포인트에... 자주 오는 조사분에게 질의하여 떡밥의 냄새나...배합등...어떤것을 쓰는지 파악하는게 중요하져..
안동댐에서 릴낚시할때... 할아버지 한분이 썩은 된장을 넣어 많이 잡는게 생각납니다..
또.. 떡밥의 크기가 크다고 좋은것이 절대 아닙니다.. 뭉치실때.. 힘을 다해 뭉치는것은 절대 금물하시고... 70%정도의 힘과... 물기의 힘... 등등으로 적당히... 뭉쳐있기를 권장하고 싶네요..
먼거리의 포인트 공략시는 크게... 단거리의 포인트 공략시는... 보다 작게....
딱딱해진 떡밥보다는...물기가 있는 떡밥이 오래 갑니다... 제조후...목줄을 당겨서...바늘이 고정되야 하는데... 사진처럼 바깥방향으로만 하시면... 당김시...제대로 되지 않겠지요............
바늘을 꿰는 방식은 어차피 안착된 떡밥뭉치속에, 바늘이 그 위에 잘 놓여 있으면 됩니다... 투척시...
잘 잡아 주는 역활을..바늘이 한다고 보시고.. 풀어지는 시간대를 생각하시어... 교체시기를 잡으세요

보통....릴잉어 낚시시... 미리 5~10개 정도의 여분 탄을 만들어 놓습니다.....
교체용이지요... 보관하실때...습기와 점도를 잘 생각하시고..........

아는 내용이 별로 없어서 미안합니다...... 그냥 지나치기가...
저도 릴낚시를 대낚시 많큼이나 좋아해서... 중요한것이...바늘을 꿰는 방법보다는.....떡밥의 배합과....물의 비율등의 점도 문제 입니다.............
잘 파손이 되어 힘드시면...바늘을 몄개 더 추가하시여.... 결집을 높여주는 방법도 있고.... 원자탄이 아닌...인지끼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저말고 다른 경력이 많으신분의... 자세한 답변 저도 궁금하고...기대해 봅니다....
개인적인 사견이니... 참고만 하세요....
추천 1

2등! IP : 8e0119cb2d3e6af
올해는 대물낚시 한다고 릴낚시 제대로 못해봤네요.
위에 상세하게 설명 잘해 주셨네요.
제가아는거 한두가지 첨부하겠습니다.
미리 바늘을 달아 만든 떡밥은 그릇에 담아 젖은 수건을 덥어줍니다. 그래야 수분이 날라가지 않습니다.
하나더.....제가 쓰는 방법입니다만,
떡밥을 둥글개 그까이꺼 대강 뭉쳐서 한가운데에 가느다란 갈코리같은걸로 통과시킵니다. 통과한떡밥아래 갈코리에 목줄고리를 걸어서 다시 당겨서 떡밥에 바늘을 꼽으면 됩니다. 제가 써본결과 이방법이 떡밥도 잘안풀어지고, 떡밥에 바늘달기도 가장 간편한것 같습니다.
참고가 됬으면 합니다.
그리고 떡밥을 장시간 만지면 피부에 좋지 않습니다.
불편하지면 비닐장갑같은걸 착용하는게 좋겠습니다.
추천 0

3등! IP : d398fea9612b992
한강에서 좀 던져본 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파탄이 안나게 던지려면 한 일년정도 열심히 던지면 적당한 묽기의 반죽을
저절로 알게 되더라구요
그리고 한 열대개쯤을 세팅한 후에 냉동실에 얼린후 아이스박스에 가져가서
사용하면 하루정도는 무난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장점은 반죽을 무르게해도 됩니다.)
추천 0

IP : 6053cec1571f85e
저도 릘를 한강에서 10년정도 해보았읍니다 제 짧은 경험을 말슴드릴것 같으면 떡밥 반죽은 좀되게 했구요 줄채비는 고리를만들어 대추알만한 봉돌를 매담니다 그아래 20쎈찌밑에 바늘이 5ㅡ6개정도 달린 목줄바늘을 연결합니다 그런다음 떡밥을 매달고 던지면 됨니다 떡밥은 미리만들어서 겉이 약간 굿어야 좋읍니다 봉돌을다는것은 던지면 봉돌무게가 줄을풀고 나아갑니다 그래야 떡밥이 공중분해 안됨니다 더 확실한것은 똑같은방법에 쏠채로 던지면 더멀리 더안전하게 한 15년전에 이 방법으로 팔당대교 바로위에서 잉어 두자짜리 일주일동안 한 30 마리정도 잡았읍니다 낯에는 자고 밤에만 나오던대요 그리고 더 확실한방법은 저는엽에서 구경만해는대요 반포대교아래서 릘 10대를 쎗팅하고 있는대 두사람이 엽쪽에서 자리를 피더니만 <번개불에 콩구어먹는속도> 떡밥을 만들어 릘에달더니 큰가방에서 히안한걸 꺼내대요 가까이가서보니 크기가 다리미 밭침대보다 큰 모터 보트를 물에띠우고 떡밥 2 개를 배 뒤고리에다가 걸고 한사람은 리모콘으로 시도을걸고 무얼누르니까 배가 떡밥을 달고 앞으로 쭉 전진합니다 한100미터는 더갔을거에요 릘줄을 잡으니까 떡밥이 배에서 똑 떨어지구요 다시좌회전 하더니 또원하는 지점에 또 떨꾸고 배는 유턴해서 돌아오는대 이거 이거뭐야요 친구랑 술 먹으면서 그 이야기를 했더니 친구하는말이 야 그거는 아무것 도 아니다 행주대교 밑에서보니까 모형핼기에 떡밥2개 매달고 날아가서 강가운대다가 투하 하고 돌아온다나 밑어야할지 말아야할지 그친구 별명이 풍구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