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길의 전파경로를 추측해 봅니다.
1. 전문 새우잡이의 새우틀에 치어나 알이 묻혀 전파될 수 있습니다.
2. 강물을 퍼올려 저장하는 양수형(?)저수지는 블루길이 전파될 가능성이 많죠.
3. 낚시인의 망태기에 치어나 알이 묻혀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4. 특수목적(?)으로 블루길을 넣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5. 수로를 타고 옮겨 다닐 수도 있습니다.
위 다섯가지중 확율이 가장 높은 것은 1번이라고 생각합니다.
물기 젖은 새우틀을 회수와 동시에 다른 못에 설치하는 걸 몇 번 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로가 강물과 닿아 있거나 강물을 퍼올리는 못에는 블루길이 서식할 확율이 높습니다.
주관적인 관점입니다. 민물시즌의 끝자락에서......
블루길이 유입되면 새우의 개체수는 점차적으로 감소합니다.
1. 유입초기(1~2년): 새우 개체수 거의 감소 없음.
2. 유입중기(3~5년): 새우의 개체수가 서서희 감소함.
3. 유입말기 5년~ : 새우의 개체수 눈에 띄게 급감함.
유년기부터 수십년간 해마다 몇차례 출조한 바 있는 저수지에 7~8년전에 블루길이 유입된 걸 확인한 후 겪은 일입니다.
1. 전문 새우잡이의 새우틀에 치어나 알이 묻혀 전파될 수 있습니다.
2. 강물을 퍼올려 저장하는 양수형(?)저수지는 블루길이 전파될 가능성이 많죠.
3. 낚시인의 망태기에 치어나 알이 묻혀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4. 특수목적(?)으로 블루길을 넣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5. 수로를 타고 옮겨 다닐 수도 있습니다.
위 다섯가지중 확율이 가장 높은 것은 1번이라고 생각합니다.
물기 젖은 새우틀을 회수와 동시에 다른 못에 설치하는 걸 몇 번 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로가 강물과 닿아 있거나 강물을 퍼올리는 못에는 블루길이 서식할 확율이 높습니다.
주관적인 관점입니다. 민물시즌의 끝자락에서......
대채로 블루길이 서식하는곳엔 새우가없죠.있어도 극소수 그러니 업자들이 블루길이있는못에 새우채집할이유가없죠.
1. 유입초기(1~2년): 새우 개체수 거의 감소 없음.
2. 유입중기(3~5년): 새우의 개체수가 서서희 감소함.
3. 유입말기 5년~ : 새우의 개체수 눈에 띄게 급감함.
유년기부터 수십년간 해마다 몇차례 출조한 바 있는 저수지에 7~8년전에 블루길이 유입된 걸 확인한 후 겪은 일입니다.
낮낙시 위주로 하시는 분들이 많더니 보이지를 않고 대물 밤낚시하시는 분들만 보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