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둠벙?
2. 소류지?
3. 저수지?
제가알고있는 지식으로는 어떤 유래나 일본식표현이 아니라는 전제하에서 아래와 같지 않을까 합니다.
둠벙: 저수지와 다르게 상,하류의 구분이 없으며 제방의 형태가 없는 작은 웅덩이를 둠벙으로부르는것으로 알고있으며,
소류지: 소류지는 저수지의 형태를 갖고있으면서 제방과 무너미가 있고 물유입구가 확연히있는 작은(약5,000평이하)저수지 형태로 이름이 없는 곳을 소류지라 칭하는것으로 알고있으며,
저수지: 저수지는 물유입구가 있으며 제방과 무너미 그리고 물을 인위적으로 뺄수있는 시설이 가추어져있으며 규모가커다란
(약8,000평이상)의 이름이있는 곳을 저수지라고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오니 넓은 마음으로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조시 안전운전 하시고 즐거운낚시 하십시요.
얕기 때문에 햇볕이 늪의 바닥까지 충분히 내리쬐므로 순채 ·검정말 ·새우말 ·물수세미 등의 침수식물(沈水植物)이 바닥 전면에 무성한 것이 보통이다. 또 바닥에는 생물의 시체 등 유기물이 퇴적되어 있고, 산호는 볼 수 없다. 수심이 얕아 바람에 의해서 물이 교란되기 때문에 여름철에도 물이 정체되는 일이 거의 없다.
저생동물(底生動物)로는 실지렁이 등이 풍부하여 부영양형(富營養型)에 속한다. 호수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모습을 바꾸어간다. 그 변화는 아주 완만하며 주요한 작용은 호수의 매적(埋積)에 의한다. 즉, 호수 → 늪 → 소택지(沼澤地)로 변화해서 결국 습지에서 초원으로 바뀐다. 소택지는 이 변화과정에서 개수면(開水面)이 있는 최후의 단계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늪은 호소의 변천과정에서 보면 노령기의 것으로 간주된다.
위의 백과사전적 표현은 다분히 일본식 표현을 우리말로 어슬피 번역한걸로 보입니다
다음은 사전적 의미입니다
늪
[명사]
1 땅바닥이 우묵하게 뭉떵 빠지고 늘 물이 괴어 있는 곳. 진흙 바닥이고 침수 식물이 많이 자란다. ≒소.
2 빠져나오기 힘든 상태나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류지란 단어는 결국 늪 (일본식 한자 표현으로 의심)의 한자표기로 보이는데
어디를 찿아봐도 작은 저수지란 의미를 찿을수 없습니다
그런데도 작은못 , 아담한 저수지라는 우리말을 두고 沼溜池 라고들 합니다
沼溜池 란 한자를 두고 볼때 작다는 의미를 어디에서도 찿아 볼수 없습니다
쉽게 생각하세요. 크기로 구분짓지마시고 둠벙 -물흐름이 없이 낮은곳에 물이 고이서 생기는 곳으로 아시고 소류지-물흐름이잇는곳에서 뚝을 쌓아 만든곳 (저수지 )이렇게 구분하시면 될겁니다. 소류지와 둠벙은 크기비교는 물론 소류지가 크다고 보아야하죠
하지만 소류지와둠벙은 크기비교는 의미가 없고요
생성형태로 구분하는게 바른구분이지요
그리고 소류지 란 지칭은 어울리지않으니...사용자제하시면좋겟어요.우리국어사전(네이버)을 찾아보면 늪지( 늪지대-늪이많은지대)로 순화 라든지 찻을수없음으로 나오는걸보면 소류지란 단어는 적절한단어가 아닌게 맞고요
그리고 늪지로 순화한다는것도 잘못이네요
순화라는말은 적절하지못한단어를 바르게 고치어 쓴다는뜻인데...현재 늪지는 국어사전에 나오질 않으니..늪+지대=늪지대의준말로 볼수있습니다.
소류지를 사용하시는분들보면 대부분 규모적은 저수지를 지칭하시는데 결과적으로 소류지는 늪지대가 되니 그냥 작은저수지라 칭하시든지 아니면 저수지 아니면 적절한 새로운 말을 만드는게 좋을것같아요.. 참고로 늪 과 늪지는 틀리니 구분해야 하고요
둠벙이란말 생소하신분도많지만 사실 문학에 많이쓰여요.전라도 방언(전라도에서 생성되어 표준어는아니지만)이라지만 표준어처럼 사용하시는분 많아요.아름답고 순수한 우리말이니...정 붙이시길 바래요 정표준어로 따지시면 웅덩이 와 비교하시면 되어요 전라도는 옛부터 논농사많으니 논에될 물이많이필요했을거고 그러니 많은 물웅덩이가 필요햇겠지요.
그래서 둠벙이란 말도 그쪽에서 생겨 사용 하게된것 같아요 방언이라도 좋은 말이면, 모두가 사용하면 표준어가 되니 예쁘게 키우야겠죠...
소류지=독립된 공간을 가지고 물이 저장되어있는
늪이나 연못 이닐까요?
소류지란 말은 일제의 잔재로 알고있습니다.
물대롱이 뭐예요??
질문에 답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감기조심하시고 498하세요.
구분이 없으면 둠벙...
만평이하는 소류지
4~5만평 이하는 중형지
그 이상은 대형지 간척지 또는 댐.호수 등등 으로 불리우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네이버 국어사전에서의 풀이입니다.
소류지나 둠벙이나 같은 뜻일것 같습니다.
소류지란 표현보다 소형지란 표현이 옳겠지요 소형 중형 대형
소류지 하면 모든 낚시인이 규모가 작은 못으로 알아 들어니
의사 소통 차원에서는 문제가 없는듯 하지만 한자표기로 볼때 잘못 사용하는 말이 아닌가 합니다
소류지. 모두가 사용하지만 저수지 크기로 분류할때는 뭔가 어색한 단어 입니다
소류지란 말이 정확이 어디서 유래되어 사용하게 되었는지 속시원히 밝혀줄 분을 찿아봅니다
둠벙이란 못 또는 저수지의 호남지방 사투리에 불과한 것 입니다!
크기나 형태로 소류지와 둠범을 구분하기엔 무리가 있는듯 합니다!
요 근래 낚시방송에서 주출연진이 자기 과시를 위해서 이런 용어를 썼는지 무지의 소치에서 썼는지 모르겠으나
바랍직한 용어는 아닌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모든 저수지는 용도에 따라 크기가 천차만별이며 또한 저수지마다 이름이 다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공공적인 장소와 공개된 곳에서는 가급적으로 고유 명사를 사용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2. 소류지?
3. 저수지?
제가알고있는 지식으로는 어떤 유래나 일본식표현이 아니라는 전제하에서 아래와 같지 않을까 합니다.
둠벙: 저수지와 다르게 상,하류의 구분이 없으며 제방의 형태가 없는 작은 웅덩이를 둠벙으로부르는것으로 알고있으며,
소류지: 소류지는 저수지의 형태를 갖고있으면서 제방과 무너미가 있고 물유입구가 확연히있는 작은(약5,000평이하)저수지 형태로 이름이 없는 곳을 소류지라 칭하는것으로 알고있으며,
저수지: 저수지는 물유입구가 있으며 제방과 무너미 그리고 물을 인위적으로 뺄수있는 시설이 가추어져있으며 규모가커다란
(약8,000평이상)의 이름이있는 곳을 저수지라고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오니 넓은 마음으로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조시 안전운전 하시고 즐거운낚시 하십시요.
요런곳이,, 무조건~~ "둠벙" 입죠!! ^^
전라도 사투리는 전라도에서 쓰시고 공공장소에서는 가급적 표준어 씁시다!
사전적 의미로 늪지 라 합니다
그러면 늪이란
늪 [swamp]
얕기 때문에 햇볕이 늪의 바닥까지 충분히 내리쬐므로 순채 ·검정말 ·새우말 ·물수세미 등의 침수식물(沈水植物)이 바닥 전면에 무성한 것이 보통이다. 또 바닥에는 생물의 시체 등 유기물이 퇴적되어 있고, 산호는 볼 수 없다. 수심이 얕아 바람에 의해서 물이 교란되기 때문에 여름철에도 물이 정체되는 일이 거의 없다.
저생동물(底生動物)로는 실지렁이 등이 풍부하여 부영양형(富營養型)에 속한다. 호수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모습을 바꾸어간다. 그 변화는 아주 완만하며 주요한 작용은 호수의 매적(埋積)에 의한다. 즉, 호수 → 늪 → 소택지(沼澤地)로 변화해서 결국 습지에서 초원으로 바뀐다. 소택지는 이 변화과정에서 개수면(開水面)이 있는 최후의 단계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늪은 호소의 변천과정에서 보면 노령기의 것으로 간주된다.
위의 백과사전적 표현은 다분히 일본식 표현을 우리말로 어슬피 번역한걸로 보입니다
다음은 사전적 의미입니다
늪
[명사]
1 땅바닥이 우묵하게 뭉떵 빠지고 늘 물이 괴어 있는 곳. 진흙 바닥이고 침수 식물이 많이 자란다. ≒소.
2 빠져나오기 힘든 상태나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류지란 단어는 결국 늪 (일본식 한자 표현으로 의심)의 한자표기로 보이는데
어디를 찿아봐도 작은 저수지란 의미를 찿을수 없습니다
그런데도 작은못 , 아담한 저수지라는 우리말을 두고 沼溜池 라고들 합니다
沼溜池 란 한자를 두고 볼때 작다는 의미를 어디에서도 찿아 볼수 없습니다
발음상으로 沼자를 小자로 오인해서 작은못 으로 잘못 표현 하는게 아닌가 합니다
결론적으로 소류지는 작은못을 의미하는 한자어가 아니라 봅니다
하지만 소류지와둠벙은 크기비교는 의미가 없고요
생성형태로 구분하는게 바른구분이지요
이런저수지를 저는 둥벙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늪지로 순화한다는것도 잘못이네요
순화라는말은 적절하지못한단어를 바르게 고치어 쓴다는뜻인데...현재 늪지는 국어사전에 나오질 않으니..늪+지대=늪지대의준말로 볼수있습니다.
소류지를 사용하시는분들보면 대부분 규모적은 저수지를 지칭하시는데 결과적으로 소류지는 늪지대가 되니 그냥 작은저수지라 칭하시든지 아니면 저수지 아니면 적절한 새로운 말을 만드는게 좋을것같아요.. 참고로 늪 과 늪지는 틀리니 구분해야 하고요
그런데, 지도에 보면 규모가 큰 곳은 "저수지", 작은 곳은 "소류지"나 "제"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건 행정기관에서 부터 명칭을 바꿔야 하는 것 아닌가요?
"소류지" 대신 차라리 "00못" 또는 "00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좋을 것 같은데...
둠벙은 F-TV 모 프로그램에서 처음 사용한 것을 시작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 같은데...
문제의 필요성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둠벙이란 말도 그쪽에서 생겨 사용 하게된것 같아요 방언이라도 좋은 말이면, 모두가 사용하면 표준어가 되니 예쁘게 키우야겠죠...
"소 류 지" 조쿠만요~ㅋㅋ
감사합니다.. ^^ㅣ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