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글다신 회원님들의 말처럼 버들붕어 맞습니다.
어릴적 집에서 몇마리 키워보았는데 성질은 생김새와 달리 아주 포악합니다.
멀쩡한 금붕어 공격하여 다 죽여서 뜯어먹더군요.
그당시 금붕어와 여러마리 섞어서 키웠는데 가장 환경에 적응잘했던 놈이지 않나 싶네요
벌써 보지 못한지 20여년이 된것 같은데 이렇게 보니 참 반갑네요.
귀한 우리나라 토종물고기 "버들붕어" 맞습니다.
제 어릴때는 붕어보다 많았던 어종이었죠?
그 소류지가 잘 보존되길 빕니다.
@퍼온글@
버들붕어는 지방에 따라 각시붕어, 기생붕어, 꽃붕어로도 불린다. 몸길이 5∼7cm이다. 몸은 길고 나뭇잎 모양으로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짧은 삼각형으로 비교적 크다. 눈은 비교적 크고 머리의 양쪽 옆면 가운데보다 앞에 있으며 위로 붙는다. 주둥이는 짧고 뾰족하며 입은 작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어 입이 위를 향한다. 양 턱에는 조그만 이빨이 나 있다. 아가미뚜껑은 비늘로 덮여 있고 매끄럽다.
수컷은 암컷보다 큰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특히 크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기부(origin:기관 또는 부속기관이 몸통과 연결되는 부위 중 가장 앞쪽 끝 지점)가 다 같이 길어서 몸 길이의 반이 넘는다. 가슴지느러미는 아가미뚜껑의 바로 뒤에 붙고 좁으며 길다. 배지느러미는 가시가 1개, 연조(soft ray:마디가 있고 끝이 갈라져 있는 지느러미 줄기)가 5개인데 첫번째 연조가 특히 길다. 꼬리지느러미는 갈라지지 않고 끝이 부채처럼 퍼져 둥글다. 측선(옆줄)은 없다.
몸빛깔은 등쪽이 암록색이고 배쪽은 엷은 갈색이다. 옆에는 흑갈색의 분명하지 않은 U자 모양의 얼룩 무늬가 줄지어 있다. 아가미뚜껑은 금속광택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황회색을 띠고 뒷지느러미는 암록색인데 연한 녹색의 작은 점이 흩어져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투명하고 배지느러미는 회색이다.
산란기는 6∼7월이다. 물풀이 많은 곳의 수면에 수컷이 거품과 끈끈한 진을 내어 동그란 거품집을 만든다. 여기에 암컷을 유인하여 알을 낳게 하고 방정을 한 뒤에 그 밑에서 알을 지킨다. 적어도 알이 부화할 때까지 수컷이 보호한다. 알을 낳을 무렵에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수컷끼리 매우 치열하게 싸운다. 또 암컷이 알을 낳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것들이 접근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막는다.
늪이나 연못, 웅덩이처럼 물이 고여 있고 물풀이 우거진 곳에 주로 서식한다. 더러운 물에도 내성이 강하고 주둥이로 다른 어류를 공격하는 투쟁력이 있어 관상용으로 기른다. 수생곤충을 잡아먹는다. 중국 남방이 원산지이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블루길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버들이 입니다...
관상용으로 "구라미"라는 외래종도 있는데요
아주 흡사한놈으로 수족관에 키우시면 아주 재미납니다
서식지가 많이 줄어 걱정인 어종중에 하나인데,,
채집도 잘 안되고요...ㅎㅎ
필요치않으시면 돌려 보내 주심이 어떠실지..ㅎㅎ
그리 하셨으리라 믿습니다. ^^
제주도 자리돔이 올라왔나 ?
예전 물깨끗한 강이나 냇가 이런곳에 많이 서식햇엇는데 지금은 보기힘든 어종이 되엇지요..
우리토종의 버들붕어 맞습니다. 아주 구하신몸이 되엇지요..
오늘 첨봣어요 사진으루 이쁘당..ㅋ
제가 어릴적에 저희 동네에도 있었는데...
지금은 찾아볼 수도 없게된 귀한 몸이시죠
전 첨 봅니다만 예쁘네요^^*
이름도 예쁘고 토종이라니 더욱 애착이 가네요
잘 보존되어 많이 보였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 되어있습니다............
환경이 무지 안좋은것 같습니다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컴벌리
다시 보니 반갑네요.
요즘은 보기 힘들어진듯 합니다.
버들붕어.
어릴적 집에서 몇마리 키워보았는데 성질은 생김새와 달리 아주 포악합니다.
멀쩡한 금붕어 공격하여 다 죽여서 뜯어먹더군요.
그당시 금붕어와 여러마리 섞어서 키웠는데 가장 환경에 적응잘했던 놈이지 않나 싶네요
벌써 보지 못한지 20여년이 된것 같은데 이렇게 보니 참 반갑네요.
잘보았습니다
예전에는 많앗는데 이젠 거의 희귀종 처럼 느껴지네요.
아직두 물 맑은곳에서 간간히 잇기는 하지만
좀 처럼 드믄일이죠.
토종 버들붕어가 맞습니다~^^
제 어릴때는 붕어보다 많았던 어종이었죠?
그 소류지가 잘 보존되길 빕니다.
@퍼온글@
버들붕어는 지방에 따라 각시붕어, 기생붕어, 꽃붕어로도 불린다. 몸길이 5∼7cm이다. 몸은 길고 나뭇잎 모양으로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짧은 삼각형으로 비교적 크다. 눈은 비교적 크고 머리의 양쪽 옆면 가운데보다 앞에 있으며 위로 붙는다. 주둥이는 짧고 뾰족하며 입은 작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어 입이 위를 향한다. 양 턱에는 조그만 이빨이 나 있다. 아가미뚜껑은 비늘로 덮여 있고 매끄럽다.
수컷은 암컷보다 큰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특히 크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기부(origin:기관 또는 부속기관이 몸통과 연결되는 부위 중 가장 앞쪽 끝 지점)가 다 같이 길어서 몸 길이의 반이 넘는다. 가슴지느러미는 아가미뚜껑의 바로 뒤에 붙고 좁으며 길다. 배지느러미는 가시가 1개, 연조(soft ray:마디가 있고 끝이 갈라져 있는 지느러미 줄기)가 5개인데 첫번째 연조가 특히 길다. 꼬리지느러미는 갈라지지 않고 끝이 부채처럼 퍼져 둥글다. 측선(옆줄)은 없다.
몸빛깔은 등쪽이 암록색이고 배쪽은 엷은 갈색이다. 옆에는 흑갈색의 분명하지 않은 U자 모양의 얼룩 무늬가 줄지어 있다. 아가미뚜껑은 금속광택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황회색을 띠고 뒷지느러미는 암록색인데 연한 녹색의 작은 점이 흩어져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투명하고 배지느러미는 회색이다.
산란기는 6∼7월이다. 물풀이 많은 곳의 수면에 수컷이 거품과 끈끈한 진을 내어 동그란 거품집을 만든다. 여기에 암컷을 유인하여 알을 낳게 하고 방정을 한 뒤에 그 밑에서 알을 지킨다. 적어도 알이 부화할 때까지 수컷이 보호한다. 알을 낳을 무렵에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수컷끼리 매우 치열하게 싸운다. 또 암컷이 알을 낳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것들이 접근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막는다.
늪이나 연못, 웅덩이처럼 물이 고여 있고 물풀이 우거진 곳에 주로 서식한다. 더러운 물에도 내성이 강하고 주둥이로 다른 어류를 공격하는 투쟁력이 있어 관상용으로 기른다. 수생곤충을 잡아먹는다. 중국 남방이 원산지이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조그만 병에 물만 넣고 키워도 잘안죽는 버들붕어...
근데 오염앞에선 장사없네요... ㅠㅠ*)
요즘 보기가힘든고긴데...
사라지는 토종들 참으로 안타까움이~~!!!
생명력 질겨서 밥풀 몇개 넣어주어도 잘살던 녀석입니다.
그런데 그놈이 천연기념물이라니 ...
방생 하셨죠
지금은 보기 힘드네요.
관상용으로 정말 이쁜녀석들~
답답합니다
버들각시 ..보존해야 될 토종어종입니다
버들붕어 이쁘게 생겼습니다 ^^
버들붕어라고는 듣기도 첨들어보네여^^
잘 보고 갑니다..
구경잘하고 갑니다.
난리칩니다. 자기보다 5배 이상되는 열대어들과 같이 키우는데 역시 한국민을 닮아서 그런지 작은것이 맵다고..
사진 너무 잘봤습니다
월척 님들 덕분에 저도 새로운 어종을 하나 배웟습니다..
날이 조금씩 더워지고있습니다..우리 월님들 항상 안출하시고
여름 감기 조심하십시요~~ 전지금 감기걸려 죽을거같음 ㅋㅋ
버들붕어라고도 하나봐요?
참 이뿌죠^^"
귀한 어종입니다.
지금은 보기 힘들지요,
어항에 키운 생각이 남니다,
버들붕어네요.....
수컷 혼인색을 뛸 때면
우리나라 토종 물고기 중
그 아름다움이 2등 가라면 서러워 할 녀석인데....
투명한 병에 몇 마리 담아 키우면 상당히 오래도록 사는 놈 입니다.
도랑 치고 물 품던
그 시절이 그립습니다.
옛날 에는 학교 앞에서 시골 노인들이 양동이에 담아와서 팔기도 하곤 했는데....^^
진짜로~~ 올만에 보니,, 정말 반갑습니다^^
울 당진권에선~~ "각시붕어"라 하지요..
반가운사진.. 감~~~솨 ^^
일단은 버들붕어라고 보입니다.
귀여운 관상어로 딱입니다...꼬리쯤해서 희미하게 태극무늬가 있는것으로 아는데 확인해 보시길....
잘 보고 갑니다
귀한고긴줄 몰랐네요..
화려한 놈이 사내녀석입니다.
짝짓기 시의 색이며, 짝짓기 시기에는 성격이 한 성격합니다.
지금은 찾아보기 귀합니다.....가까운 곳에 있음 꼬옥 잡아다 집 수족관에 키워보고 싶습니다...
아련한 어릴적 추억으로요^^
저희동네에선 어려서 꽃붕어라 했는데..
흠... 이름이 이쁘네요 ㅋ
귀한 물고기인데 잘 보고 갑니다
무너미쪽에서 했는데... 새우 미끼에 갈딱깔딱 헛챔질 이상하다 싶어 다시
지렁이로 하니 갈딱깔닥 밤에 3시간 헛챕질에 간신히 한마리 잡구 보니
블루길이네 에구,,,,
담날 배타고 건너와서 커피한잔
옆조사분에게 왈
여기 블루길 새끼가 다 있네여,,,
조사분 크게 웃더니 한마디 합니다
무너미쪽에 버들붕어 많아요,,,
이쁜고기라 수족관에 키우고 싶네요.
울 동네에도 많아섰는데...
지금은 볼수없어 아쉽네요
정말 버들붕어네요!
마지막 본것이 30년도 넘은것 같네요
잘 보존 하십시요
지금은 수족간에 잘 키우고 있습니다..
서방님이 올리신 사진으로나마 버들붕어 오랜만에 구경하고 갑니다...
해남군 화원면 산수지와 해남군 현산면 신방지가 그곳입니다.
채집망에 들어오는 녀석들을 다시 곱게 물로 돌려보낸 기억이 있습니다.
강원도사는 저두..저놈은..첨인데..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