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희나리? 토종붕어?

IP : b39dd2aaa4c4067 날짜 : 조회 : 6883 본문+댓글추천 : 0

안계낚시 사장님이 올리신 조황에서....희나리 월척이라는 글을 보았는데... 토종붕어와 희나리는 어떻게 구분되나요? 사진상으론 구별을 못하겟는데..
희나리 토종붕어 (월척지식 - 기타지식)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7-03-13 22:47:22 대물낚시 Q&A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1등! IP : a1e4994164f419b
안녕하세요..

짧은 소견이지만 희나리는 일단 몸통을 문질러보면 표면(비늘)이 토종에 비해

좀 더 까끌(?)하구요. 아래턱도 약간더 돌출(떡붕어 보단 적게) 글구 가장 구별이

쉬운 법은 꼬리가 떡붕어 같이 뾰족한 제비형 꼬리임니다.

측선 수도 틀리다던데 그건 아직 확신이 없어서 다른님께

패~~~스^^
추천 0

2등! IP : c3b4dcc0c0b7883
재래종붕어와 희나리붕어의 생태적 차이점을 살펴보면

0. 외형적 차이점: 재래종의 몸체 빛깔은 황갈색, 희나리는 회백색에 옆줄 윗부분에 희미한 검은 가로 띠가 다섯줄 있습니다.

0. 몸체의 넓이와 머리쪽이 재래종보다 희나리가 크게 보입니다.

0. 주둥이는 재래종는 좁고 희나리는 넓고 둥글죠.

0. 입의 위치는 재래종는 눈의 중심 수평에서 입이 눈에 아래쪽에 있고 희나리는 눈과 입이 수평 일직선상에 있습니다.

0. 아래턱은 재래종은 완만하지만 희나리는 떡붕어처럼 아래턱이 위로 올라간 모양입니다.

0. 아가미 빗살이 재래종은 36∼50개, 희나리는 70∼91개죠.

0. 창자는 재래종이 평균 70∼75cm, 희나리는 95∼100cm.

0. 척주골(측점선)은 재래종이 26∼29개, 희나리는 27∼31개로 떡붕어와 비슷합니다.

0. 성장성은 재래종보다 희나리가 빠릅니다..

0. 산란기는 재래종은 3월말에서 7월말에 최적기는 4월, 희나리는 5월이 적기.

0. 산란장은 재래종은 논바닥이나 수초밭, 희나리는 비가 온 다음 수초밭에 나와 산란을 하는데 재래종보다 수심이 깊은쪽입니다.

0. 암수비율은 재래종은 91.4대 8.6, 희나리는 56대 45로 떡붕어와 비슷하구요.
추천 0

3등! IP : 94df73bbc3960c5
참 많이도 연구하신 플라톤님...
알고는 있었지만 대단하심니더 ~~~~
추천 0

IP : 4666f6ec1ef6e0f
한가지 분명한건 희나리도 토종 붕어라는 겁니다. 떡붕어랑은 완전 틀리죠.^^
추천 0

IP : b39dd2aaa4c4067
감사합니다...^^
님들 덕분에 또 배우네요
(갑자기 구창모 가수가 생각나네요 ㅋㅋ)
추천 0

IP : c3b4dcc0c0b7883
맞습니다

희나리는 낙동강계에만 서식하는 완죤...순수 한국산이죠....
추천 0

IP : 78cfc908b91726b
[한국해양연구소 김종만 박사(해양생물자원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의 논문] 내용에서 보면
플라톤 님의 내용이 들어 있읍니다.

-----------------------------------------------------------------------------------------------------------------------------

붕어는 서식 장소의 환경에 따라 변이가 심한 물고기다.
대체로 일반 붕어(이하 붕어로 표기)는 황색을 띤 갈색을 띠고,
희나리는 회백색에 옆줄 윗부분에 희미한 검은 가로띠가 5줄 있다.
희나리는 붕어에 비해 전체 몸길이 중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머리가 크다는 인상을 준다.
붕어는 입이 좁고 뾰족한 느낌을 주는데 비해 희나리는 넓고 둥글다.
입의 위치도 붕어는 눈보다 아래에 있으나
희나리는 눈과 일직선상에 있어 상대적으로 아래턱(하악 下顎)이 위로 빠르게 올라간다.
붕어의 아래턱이 위로 올라가는 각도는 희나리에 비해 완만하다.
물과 함께 입 안으로 들어온 먹이를 거르는 역할을 하는
새파(아가미 안쪽 빗처럼 보이는 부분. 아가미빗살)의 수도
붕어는 36∼50개(평균 48개), 희나리는 70∼91개(평균 81개)로 큰 차이를 보인다.
그 길이도 몸 길이 20cm짜리를 비교해보니
붕어는 가장 긴 것이 6mm이나 희나리는 11mm나 돼 현격한 차가 있다.
창자 길이의 경우 붕어는 몸 길이의 2.9∼7.3배(평균 5.3배)인데 비해
희나리는 4.1∼8.3배(평균 6.3배)로 상대적으로 상당히 긴 편이었다.
같은 크기의 개체를 선택해 비교하면 희나리가 붕어에 비해 창자가 훨씬 더 길다.
이것만으로도 희나리가 붕어에 비해 식물성 먹이를 더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다.
척추골수도 붕어는 26∼29개(평균 27개), 희나리는 27∼31개(평균 29개)로 차이가 난다.
붕어와 희나리는 생태학적으로 큰 차이가 난다.
식도와 창자 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검토한 결과를 보면
붕어는 저서생활을 하는 것(주로 곤충의 유충), 수초의 잎과 뿌리,
패류의 패각, 모래가 거의 같은 비율로 나왔고
간혹 코피파드(copepod 검물벼룩 등 요각류)가 나오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희나리는 식물성 부유생물(플랑크톤)이 90%를 차지했고
그중 너비큘라(navicula 식물성 플랑크통의 일종. 배 모양으로 생겼다)가 전체의 80%나 됐다.
그 다음이 녹조류로 약10%, 나머지 10%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웠다.
희나리가 식물성 먹이를 극단적으로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육식성 어류의 식도와 위에 해당하는 부분의 크기도
붕어가 희나리에 비해 약3배 정도 길어 저서생물을 먹기에 알맞게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재료가 된 붕어는 삼중망으로 포획한 것.
수심별 분포를 알기 위해 바닥과 중간, 표층에 각각 망을 설치해
어느 쪽에서 많이 잡히는가를 살펴봤다.
붕어는 따스한 봄(연구재료를 채집한 시기가 주로 봄이었습니다)에는
수심 1m 전후의 얕은 곳에서 많이 잡혔다.
희나리는 겨울과 봄에 관계없이 깊은 곳에서 주로 잡혔는데
70%는 중층에서, 30%는 바닥층에서 잡혀
중층을 유영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암수의 비율도 차이가 난다.
붕어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현저히 많았으나(암컷 91.4%, 수컷 8.6%)
희나리는 암수의 비율이 비슷했다(암컷 56.9% 수컷 45.1%).

-------------------------------------------------------------------------------------------------------------------------------

영남 지역에 사는 낚시인이 아니면
위의 논문이나 '희나리'라는 용어만으론 어떤 붕어인지
잘 알기 어려우실 겁니다.
일본에서는 대체로 붕어를 5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 붕어의 형질은 이 중
긴부나(Ginbuna:학명 Carassius auratus langsdorfii)와 일치합니다.
체장에 대한 체고비(比), 옆줄 비늘 수,
등지느러미 줄기 수, 새파 수, 체색, 암수비, 식성 등이 일치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분류법에서 희나리와 같은 종류를 찾을 수 없습니다.
우리 나라에 떡붕어라는 이름으로 들어와 있는
겡고로부나(Gengrobuna:학명 Carassius auratus cuvieri)와 비교할 때
척추골(脊椎骨:등골) 수, 체색, 암수의 비율 등에서 거의 일치하지만
새파수, 식성, 체고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일본 붕어 중 가장 작은 종류인
킨부나(Kinbuna:학명 Carassius auratus subsp·다 자란 것도 15cm 내외)와 비교해보면
체고비, 암수비를 제외하면 나머지 형질은 전혀 일치하지 않습니다.
희나리는 '새로운 타입'의 붕어임에 틀림이 없지만
이를 확정하자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추천 0

IP : 57712aab39addc7
님,들 의견 잘 보았습니다.월,희나리,떡 등 순수 우리말 입니다.월척보다 작은붕어를 희나리라고 부르고,희나리보다 작은 붕어를 떡붕어라, 옛날에는 불렀다는 사실 입니다. 국어 국문과를 전공한 사람으로서 월, 희나리,떡, 순수한 토종 붕어라는 사실 입니다.고유의 우리말 전에도 월척에 글 올린적 있습니다.^^*
추천 0

IP : 57e201a593a3266
고향이 창녕 낙동강변입니다. 우리고향에서는 강붕어를 희나리 라고 부르는걸 어릴적부터 들어왔어요.
추천 0

IP : 57e201a593a3266
희나리는 생김새나 색깔이 붕어와 차이가나지만 희나리를 모르는분은 구분을 못하는경우가 많아요 위 긴총님이 설명하신걸보면 외형은 제가 알고있는것과 같아요 속은 제가 모르고....희나리에 대한 좋은정보가 될것입니다// 장마철 비가많이내려 낙동강에연결되는 수로와 통하는 늪지형저수지에서는 희나리를 만날수잇죠.간단한구별법은 노란색이없이 날씬한모습이에요.
추천 0

IP : 57e201a593a3266
제 이름 흰나리는 우리고향에서는 희나리를 흰나리로 불렀기에.....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