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품

· 낚싯대에 관한 내용은 낚싯대포럼을 이용해 주십시오.
· 구체적인 제품명과 업체명의 언급을 권장합니다.

[질문/답변] 2-3미터권 맹탕지와 찌선별 문의,,

IP : cd80530e1421bec 날짜 : 조회 : 4284 본문+댓글추천 : 0

반갑습니다 제목처럼 여러 월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일반 수초지 외에 2-3미터 깊은 수심권의, 맹탕지 생미끼용으로 어떤 찌를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등! IP : d1f2e1a211c32cb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가는것이 정답일듯싶은데..... 2~3미터권이면 떡밥낚시하기 딱~ 좋은 수심이라....

제경우 수심 1.5미터가 넘으면 물방울형으로 길이 60cm 이상을 사용합니다.

긴찌여서 떡밥달때 발앞에서 찌톱이 걸리적 거리긴합니다만..... 천천히 입수 및 상승하는 찌맛을 보기에 장찌이상 있나요... ^^

그리고..... 찌 모양으로 생미끼와 떡밥을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좁쌀봉돌로 부력을 조정하는 정도입니다.
추천 0

2등! IP : d5f995316129d16
왠만하면 60cm 이상 찌를 쓰시고 저부력으로 맞추세요 !
아참 생미끼는 중부력으로요 떡밥은 저부력으로...
추천 0

3등! IP : d5f995316129d16
어라! ~ 자세히 보니 붕어사랑님이 시네요 ㅋㅋ
너무 겸손한 자세 아니신가요 나름데로 낚시도 잘하시면서 ...
언제 시간나시면 전화 전화 한번 주세요
그리고 건강 항상 잘 챙기시구요 ^^
추천 0

IP : d5f995316129d16
또 빼먹어서 올리네요 요번에 통화할때 유료터에서
최고에 채비를 가르쳐 드릴게요 기대 하세요
추천 0

IP : dd5521600a62459
저두 제가 사는 이쪽 지역에선 그런 포인트가 많아 **예 홍단이라는 찌를(저의 젊은 마음에 그찌가 tv에 나와서) 샀다가

수조통에 찌 부력만 맞춰놓고 그냥 분양해 드린 경우가 있습니다..

이유는 한마리가 아니라 마릿수라는 것을 착각한 제 자신의 무의미한 선택이어서 입니다.

오직 한마리 입니다.." 30.3cm 이상 한마리..."
추천 0

IP : cd80530e1421bec
답변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경우를 보면 일반 떡밥찌로 옥수수외 대물낚시(생미끼)를
해본적이 몇번 없는것 같고,
그렇다고 길이가 짧은(23-32센티)대물찌로 2-3미터,
깊은 수심권에서 대물낚시를 해본적도 없는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대물낚시에서 수심이 깊다고 보는 2-3미터권에서
짧은 대물찌로 생미끼 낚시를 하시는분이나,
또,사용하시면서 무리가 없는지,장,단점은 무엇인지,,
아니면 좀더 길이가 있는 장찌를 사용하시는
장찌 매니아님들은 어떤류의 찌를 사용하시는지
일반찌보다 효과가 좋다면 구체적인 찌의 소재를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출조시 일반 대물찌와 깊은수심권의 맹탕지용으로
각각 따로 챙겨 다니시는 분들도 계시리라 봅니다
저뿐 아니라 다른 궁금하신 월님들께도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추천 0

IP : c97cf6f10af0008
요즘은 거의 맨바닥수심에서 많이했습니다
조과 좋았구요
대물채비보다 훨신 재미있었습니다
30쎈티정도되는 떡밥찌 (개당5000원)
1미터권에서는 좋았습니다
2미터가 넘어가니 조금 짧다는 생각이들더군요
부력이 너무 작다보니 깊은수심에 원줄이 지에미치는영향도잇는것같고
깊은수심이라면 부력3호고리봉돌정도 길이 40-50쎈티정도면 맞을것같네요
그래서 다시 장찌에전에쓰던거 5개를 찿아놧는데
아직 적용은 못해봤습니다
추천 0

IP : 23adbe5be4df882
- 일반 떡밥찌로 옥수수외 대물낚시(생미끼)를 사용

제경우 가장긴찌가 75cm 정도이고... 대물낚시 찌선택의 기준은 수심과 주변여건입니다.
수심이 2~3m권이며 주변여건에 걸림이 없다면.... 장찌를 먼저 생각합니다.
미끼도 바닥이 깨끗한곳이면 대부분 옥수수가 잘먹히기에 일반 떡밥찌맞춤으로 할수있고.... 찌올림 또한 깨끗하니까요.
새우나 참붕어가 먹히는곳에선 미끼 움직임에 둥둥 떠다니지 못할정도까지 목줄에 좁쌀봉돌을 답니다.


짧은(23-32센티)대물찌로 2-3미터 깊은 수심권에서 생미끼낚시

봉돌 및 채비교환의 귀찮이즘에 대물찌로 깊은수심에서 경험이 저도 몇번 없지만.....
장찌를 좋아하는지라 낚시하면서 저걸 교환할껄.... 후회와 찌올림의 폭이 좁기에 입질을 받아도 그 맛이 덜해서
장점은 없는듯하고 단점이라면 앞상황과 잔챙이 입질에 둔한 몸짓(?)정도지 않을까 싶습니다.


좀더 길이가 있는 장찌를 사용하시는..... 장찌 매니아님들은 어떤류의 찌를 사용하시는지

장찌를 선호하는 부류 대부분이 떡밥낚시일겁니다. (대부분이라 썼지만.... 전체라봐도 ^^;)
제경우 보관의 문제점이있지만 발사찌를 선호합니다. 그 어떤소재보다 앞치기가 편하기에.....

부력은 5~6호 정도가 떡밥달고 앞치기시 대끝의 무게감이 가장 좋은듯합니다.
찌몸통은 고추형찌와 물방울형이 장찌에 쓰이는데.... 제경우 길수록 물방울형이 좋더군요.
그리 힘들이지않게 찌맞춤해도 직립후 자리잡는 시간이 가장 긴듯하고.... 무엇보다 입질이 중후(?)합니다.
아마도 몸통형태에따른 물의 저항이 만들어내는 솟음이라 그렇겠죠.

가장 큰 단점이라면 찌 보관입니다.
발사라 조금만 힘주어도 몸통이 들어가기에 각각의 찌는 처음구입시 들어있는 찌통에 보관합니다.
그결과.... 35대에 찌가 35개입니다. (대피면서 칸수에 맞는 찌 찾느라.... ㅠㅠ)


일반찌보다 효과가 좋다면 구체적인 찌의 소재

소재별로 효과가 좋고 나쁜것은........
수온변화에 민감한 공작찌를 제외하면 앞치기의 쉽고 힘든것 차이정도입니다................ ^^; (뒤 고수분께 패스)


출조시 일반 대물찌와 깊은수심권의 맹탕지용으로 각각 따로

대물낚시와 떡밥낚시를 위해 각 대별로 각각의 찌를 고정해 놓았습니다.
각 대의 대탄력이 다르기에 앞치기가 조금이라도 편한 부력의 봉돌 기준으로 찌 케이스에다 칸수를 표시해서 떡밥낚시용으로...
대물낚시에는 동일 부력으로 부탁해서 맞춰놓은 대물찌 10개(스기목,25cm)를 따로 보관해서 들고다니다....
현장에서 원줄 및 채비 전체를 교환후 사용합니다. (10대 편성하는데 반낮절....... ㅠㅠ)
추천 1

IP : 773e839a6a400c3
붕어사랑님 잘 계시지요?
예전 동천동에서 가방 받았던 까꿍입니다..
허리가 아프시다고 하셨는데 조금 낳았는지요?
언제 기회가 된다면 물가에서 함 뵙기를....^^
추천 0

IP : 387fb81745ab5b0
붕어사랑님 반갑습니다 .수심깁은 계곡지 에선 당연히 장찌가유라하죠.
제 경험상으론요 50~60되는찌길이에 몸통은 유선형이나 막대형 이 좋구요 찌톱이 한 30센치 몸통이 대략 20~25정도 되는형태의 찌가좋습니다.부력은 1모호메 나 1.2푼 정도 . 수심이 깊을수록 원줄의장력이많이 발생하는되요 .그러면 원줄 을 가늘게 사용하시는게 좋을 듯 십습니다. 줄이굵으면 찌와 봉돌간의 장력으로 인해서 찌와봉돌사이에 균형이 암 맞는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런점에서 찌는 길이가 길면서 안정감이있는찌 즉 몸통이 막대나유선형이 적합할것 같습니다 .찌맞춤을 현장에 맞게맞추시면 입질이 장관입니다 특히 미끼를새우로 달았을때 장찌의찌오름 은 가히 기가막힙니다 스스히올라오는입질에 찌 가 스러질때까지올라옵니다 .요수이화찌중에 제가말씀 드린 찌의모양이 출시 하고있ㅎ더군요 한번 구입하셔서 사용해보십시요 .전 이화찌하고는 아무런 상관 없는사람입니다.부디 시원하고 환상적인 찌올림 보시길......
추천 1

IP : 1f1f9e069b600f2
답변주신 모든분께 감사드립니다
질문에 대한 내용으로 셋팅하시는 분들이 많으라 생각했는데
부족하지만 도움이 된것 같습니다
까꿍님 이게 얼마만인지요
근처에 살면서도 자주 뵙지를 못했네요
안부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님들 늘 건강하시고 즐낚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IP : bff809a4e65ca22

저는 찌 전천후로 씁니다..

길이는 35센티
부력은 5호 봉돌
찌톱은 솔리드 (역광에 강한)


지렁이도, 떡밥도, 새우도, 주간도, 야간도

다소 둔탁한 찌이지만 떡밥 낚시를 해도 옆 조사보다 적게 낚은 적은 별로 없습니다..

제 소견입니다 만은 찌 별로 신경 안쓰셔도 될 것 같습니다..

찌 올림은 찌에 달린게 아니라 붕어에 달린거 같습니다...


추천 0

IP : 897827ab476d1fe
어느 조사분이 카든데 붕어가 올리는 만큼 찌를 들어준다고 하던데..

제 생각은 아닌데..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