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품

· 낚싯대에 관한 내용은 낚싯대포럼을 이용해 주십시오.
· 구체적인 제품명과 업체명의 언급을 권장합니다.

[질문/답변] 떡밥 원가가 얼마일까요?

IP : 034d1e64c6bce82 날짜 : 조회 : 5547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주말 잘보내고 계시죠^^" 다름이 아니라 인터넷을 돌아보다 보니 마이xx 가 모 싸이드에서 1900원에 판매를 하더군요 제가 알기론 평균가가 2500원에서 비싸면 3000원으로 알고있는데요 (3봉지 들어있는것) 대용량은 3500원이구요 그리고 저는 오프라인에서 사서 사용하는데 제가 가는 낚시점에서는 찐xx 이거 1000원 아쿠xx2 이거 2000원씩에 사서 쓰고있는데요 이것도 평균가보다 싸게 사서 쓰고있어서 좋긴 하지만 떡밥한봉지에 500원이상씩 차이나는것 보면 낚시대만큼 거품이 많은것 같아서 질문 드려봅니다

1등! IP : 1150adb3f856fb3
아는 낚시가게에 물어보니
떡밥은 거의 서비스차원에서 마진을
많이 남기고 팔지 않는다고 합니다..
언급하신 찐버*와 아**텍2 가격은 거의 낚시점 입점가나 그이하일듯 하네요..
싸게 구입하여 쓰시니 조금 부럽기는 하네요..
요즘 인터넷 대형쇼핑몰때문에 동네 낚시가게는 좀 불황인듯 싶습니다..
가격이 거의 오픈되어있는 인터넷 상에서 최저가를 검색하고 구입하시는분들이 많아서....

떡밥 한봉지 500원차이 나는것으로 거품이란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듯 합니다..
100개 팔아야 5만원인데...
인터넷 대형쇼핑몰 몇군데 제외하고 동네낚시가게 일주일에 떡밥 100개이상 파는곳도 이젠 흔치 않습니다..

글 읽고 씁슬한 마음에 몇자 끄적이고 갑니다..
추천 0

3등! IP : 1ec394f87f3e83e
주제넘게 참견해 봅니다.
대물잉어님께서 말씀하신 가격 보단 조금 비싸더라도 거의 반가격으로 팔리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정가 3000원 이라고 해놓고 1500원 받는 제품도 있네요.
만약 조사님들이 어느 낚시점에서 전혀 할인 안해주고 정가대로 받는곳 있다면 과연 그낚시점에서 다 받아봐야
3000원 이라고 하면서 그냥 사주실까요?
딱 1봉지만 산다면 ........ 저도 삽니다.
정가표시는 그냥 폼으로 해놓고 각 판매처 마다 가격은 제각각......
이윤이 없어도 억지춘향으로 소매하시는 분들 입장 생각하면 너무 가격가지고 조잡떠는것 같으나
정찰제지키면 오히려 당한 기분이 들게하는 조구업계의 가격책정이 문제군요.
싸게파는 가격과 포장에 써있는 가격차이를 지적하신 대물잉어1 님의 지적은 지극히 당연한 지적이라고 봅니다
추천 0

IP : 819448800d1ead5
제가 여러쪽으로 유통업하는 지인들을 알고있습니다

근데 보통 옷이나 다른물품같은경우는 원가에서 40%에서 많게는 60%의 이윤을 얹어서 판매합니다

근데 낚시용품같은경우는 더 높은것 같습니다 ..물장사만큼 이윤을 올리는듯 합니다..
추천 0

IP : 889ce2ef8d676e1
낚시 유통을 알고있는 사람으로서 한마디..

밑밥... 안 남습니다. 바다의 경우 마이너스 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고객 유치를 위해
어느 순간부터 밑밥시장은 잠식된 시간이 오래되었습니다.
바다는 장비와 선비에서 마진을 민물에서는 소품으로 마진을 챙기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모든 상품들은 제조원가, 건물임대료, 전기세, 인건비, 광고비 등 부대비용을 감안하여
판매가를 업체측에서 정합니다만, 현재와 같은 불경기 때는 재고를 감수하여 땡처리 또는 원가이하
판매도 여러 회사에서 보이곤 합니다.

특히나, 중계판매상들(일명 나까마)분들은 여러상품을 실고 다니기에, 마진을 많이 남기는 신상품을
낚싯점에 비싸고 넣고, 밑밥 등 돈안되는 상품들은 덤 또는 폭탄가에도 넘기는 것이 경제주의 논리입니다.
쉬운 예로, 낚싯줄은 100개 실으면 20%남는데, 밑밥의 경우 부피는 낚싯줄에 30배~50배 이상으로 덩치만
큰데비해, 마진율이 너무 박하니, 현재와 같은 고유가 시대에 나까마하는 분들 차에 물건 안 실고 다니시겠지요.

구매자 입장에서는 어느 하나라도 값싸게 구입하는 것이 맞겠지만,
너무 싸게, 가격비교하여 구입하려고만 한다면, 상기와 같은 공장의 구조와 원산지가 어딘가는
이제부터라도 머리속에서 지워져야 할 것이 아일까요?

단가, 원가 라는 용어들 때문에,
우리네 낚시 시장은 이미 10여년전 중국에서 인가공으로 모든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낚시업계의 공룡기업들은 B,S,W,Y등 업체들까지도 이미,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베트남에
공장을 운영하거나, OEM으로 생산하지는 하루 이틀이 아니잖습니까~

일부 조구업체들은 이 시간에도 문닫고 있습니다.
돈 있는 자만이 현실적으로 회사 운영이 가능한 세상으로 이미 변화되고 있슴을 물론이며,

낚시인 입장에서는 이왕이면 돈많이 가진 자만이 조구업체를 운영하는 것이 원하는 바입니다.
왜냐하면, 돈으로 제품 재료를 100개 구입하는 사람과,10000개 구입하는 사람의 매입 단가는
분명히 틀리며, 판매가 또한 규모가 작은 회사는 넘 보지 못하는 판매가가 적정될 터이니까요~

이것이 낚시 조구업체의 현실이며, 그, 용품들을 우리가 지금..전국 낚시터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조금 아쉬운 대한민국 낚시인들과 낚시계입니다.

대물들 하십시요~
추천 0

IP : ce62d6b16aff356
유명한 떡밥은 모르겠읍니다만,, 이름없는 것들은 도매가가 많이 싼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물론 소매 비용을 따지지 않고 도매값만 생각하면 거품일수도 있지만 매장운영비 인건비 따지면 옷에 비할 수있겠읍니까?

저렴하게 팔아 주시면 저희가 감사하죠 ^^ 특히 저같이 떡밥 많이 뿌리는 어부한테는 딱입니다. ^^
추천 0

IP : 5dd4f992a07d3b0
저도 예전에 유통을 잠시 한 경험으로 분명 미끼상품은 있습니다. 그러나 요즈음 대형유통마켓 때문에
가격이 많이 오픈되어 있죠!! 그러나 영세 낚시방은 물건 구매력에서 차이가 나다보니 가겨은 따라갈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현금으로 무조건 제품을 구매해서 쌓아놓을 수도 없구요.... 그러나 장점도 있습니다. 바로 정입니다.
비록 조금 비싸지만 커피 한잔과 정보공유,서비스, 때로는 밥시간에 같이 숫가락놓고 식사 등등...
전 그래서 될 수 있으면 제가 아는 가게에서 구매를 많이합니다.
추천 0

IP : e3e41d27f77ae8b
저의 짧은 생각에는
대부분의 낚시점에선 떡밥으로 남기지는 않는 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큰곳들이야 많이 팔게되면 남기도 하겠지만.
대부분 소모성 제품들은 남기면 안되지 않을까요?
제가 낚시점 주인이라면 그런것들 사러와서 친해지고
자주오게하면서 장비를 팔겠습니다.
낚시대 좋은거 하나팔면 그날 떡밥판돈보다 많이 남을것 같은데.
또 작은소모성제품들도 그렇구요.
두세가지 엄청싸게 파는 것들을 몇가지 정하고(케리, 몇가지 떡밥, 지렁이등등)
낚시대, 가방, 받침대, 찌, 또 줄 바늘 한번 셋팅에 들어가는 것들이 좀많나요?
그냥 다른데서 남기고 고객들에서 이곳은 싸다라는 인식을 심어주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게하는게 바로 떡밥류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싸나? 생각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