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줄은 보편적으로 7 - 10cm가 보편적인 목줄 길이 입니다.
짧을 수록 입질이 방정 맞습니다.
길수록 입질이 깨끗하고 확실 합니다.
확실하게 3 - 5 마디 올려 줍니다.
저의 경우엔 3 - 15cm 까지 사용 합니다.
현장 상황에 맞게 사용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반갑습니다. 가디언님.
여러 회원님들의 고견을 참고하시면서
제가 나름대로 느끼는 생각을 올려 보겠습니다.
참고로 목줄길이와 바늘 단차길이에 대해서도 말씀드립니다.
일단
윗분들 얘기에 저역시 공감합니다.
(목줄이 짧으면 입질이 얇고 목줄이 길고 무거운 채비면 입질이 점잖은..)
문제는....
노지낚시의 경우 예신과 본신이 확실한 차이를 두기에 별문제가 없지만..
유료터 떡밥낚시(일명 자장붕어)의 경우는
여러가지의 많은 상황들이 연출되는것 같습니다,.
예신 없이 바로 본신이 오거나..
예신후 한참후에 본신이..
또는 예신 본신없이 밑밥주변에서 깔짝거리는 현상등등..
여러가지 입질상황이 연출되다보니..
(아시면서 사용하시면 다행이지만..)
일부러 목줄을 길게 하여 예신은 무시한채 (목줄이 길면 자장붕어의 예민한 예신은 체크가 안됨)
본신이 왔을때만 챔질을 하려하는 긴목줄 채비와(위에 언급한대로의 찌맞춤도 무거운 입질형태...)
예신의 입질에도 챔질을 하려하는...일명 순발력 낚시 를 하는 짧은목줄채비도 있는것 같습니다.
제경우에 비춰봤을때는
긴목줄 채비보다는 짧은목줄 채비가 조과는 더 좋다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저는 유료터(손맛터) 낚시의 경우 항상 쌍포를 편성하는데
채비는
목줄길이와 단차가 다른 바늘을 6개(단차 1센티,단차 3~4센티, 어리버리) 준비하고 합니다.
(얼마전 낚시할때 구리사시는 조사님이 왜 바늘을 많이 사용하며 낚시하냐는 질문을 했습니다)
그리고는.,..
처음에는 단차 3~4센티 바늘로 하다가 수시로 바늘을 바꿔봅니다.
그리고는 입질의 형태를 파악합니다.
집어가 된경우는 단차가 적은 바늘..입질이 떨어지면 단차가 큰바늘..
이렁경우..
확실히 단차가 짧고 목줄이 길수록 입질이 점잖고 보기좋습니다,
그러나 분명한것은..
단차가 길고 목줄이 짧은 바늘을 채비했을때가 더 좋다는 것입니다.
결론은
목줄길이가 길수록 얇은 예신보다는 본신에 반응을 한다고 보시면 되고
목줄길이가 짧으면 얇은 예신도 파악할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님께서 구사하는 스타일에 맞는 낚시를 하도록 여러가지 채비중 하나를 택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짧을 수록 입질이 방정 맞습니다.
길수록 입질이 깨끗하고 확실 합니다.
확실하게 3 - 5 마디 올려 줍니다.
저의 경우엔 3 - 15cm 까지 사용 합니다.
현장 상황에 맞게 사용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단점은 앞치기실력이 조금 부족하신 분들은 목줄이 길어 채비안착이 어렵다. 다른 수초에 감겨버린다.
짧았을때의 장점과 단점은 길었을때의 반대^^
저는 10cm로 일괄맞추어쓴답니다
짧으면 잔입질에도 찌가예민하게 반응하여 별로구요
목줄이길면 무미늘은 괜찮으나 미늘이있는경우 목줄이 옷에걸리거나 투척시
걸림현상이있어 불편합니다
목줄과 바늘은 현장상황에 맞께 구비하심이 좋을듯합니다
너무길어도 수초우거진곳에서 불편하고 너무 짧아도 찌의 어신이 방정 맞죠 ^^*
찌올림이 중우한듯하여 삼나무(스끼목)을 애용하는데 장대투척시 무게감이 많이나서 3.5칸 부터는 오동목찌를 사용합니다
훨씬 투척이 쉬워지네요..
삼나무 자체가 어신시 찌놀림이 느릿하여(무거운맟춤) 목줄길이 8~9센치
오동목은 자체부력이 좋은관계로 찌가 조금빨리 상승하여 한번의 입질을 그릇칠수있어 조금 늦게 챔질하나(마음은 항상그러지만 요놈의손이먼저가는 관계로...) 충분히 흡입할 타이밍을 같고자 목줄길이를 10~12센치 를 줍니다 나름 걸림이 향샹 ㅎㅎㅎ
자신의 채비에 믿음을 갖는게 제일 좋습니다 ^^*
여러 회원님들의 고견을 참고하시면서
제가 나름대로 느끼는 생각을 올려 보겠습니다.
참고로 목줄길이와 바늘 단차길이에 대해서도 말씀드립니다.
일단
윗분들 얘기에 저역시 공감합니다.
(목줄이 짧으면 입질이 얇고 목줄이 길고 무거운 채비면 입질이 점잖은..)
문제는....
노지낚시의 경우 예신과 본신이 확실한 차이를 두기에 별문제가 없지만..
유료터 떡밥낚시(일명 자장붕어)의 경우는
여러가지의 많은 상황들이 연출되는것 같습니다,.
예신 없이 바로 본신이 오거나..
예신후 한참후에 본신이..
또는 예신 본신없이 밑밥주변에서 깔짝거리는 현상등등..
여러가지 입질상황이 연출되다보니..
(아시면서 사용하시면 다행이지만..)
일부러 목줄을 길게 하여 예신은 무시한채 (목줄이 길면 자장붕어의 예민한 예신은 체크가 안됨)
본신이 왔을때만 챔질을 하려하는 긴목줄 채비와(위에 언급한대로의 찌맞춤도 무거운 입질형태...)
예신의 입질에도 챔질을 하려하는...일명 순발력 낚시 를 하는 짧은목줄채비도 있는것 같습니다.
제경우에 비춰봤을때는
긴목줄 채비보다는 짧은목줄 채비가 조과는 더 좋다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저는 유료터(손맛터) 낚시의 경우 항상 쌍포를 편성하는데
채비는
목줄길이와 단차가 다른 바늘을 6개(단차 1센티,단차 3~4센티, 어리버리) 준비하고 합니다.
(얼마전 낚시할때 구리사시는 조사님이 왜 바늘을 많이 사용하며 낚시하냐는 질문을 했습니다)
그리고는.,..
처음에는 단차 3~4센티 바늘로 하다가 수시로 바늘을 바꿔봅니다.
그리고는 입질의 형태를 파악합니다.
집어가 된경우는 단차가 적은 바늘..입질이 떨어지면 단차가 큰바늘..
이렁경우..
확실히 단차가 짧고 목줄이 길수록 입질이 점잖고 보기좋습니다,
그러나 분명한것은..
단차가 길고 목줄이 짧은 바늘을 채비했을때가 더 좋다는 것입니다.
결론은
목줄길이가 길수록 얇은 예신보다는 본신에 반응을 한다고 보시면 되고
목줄길이가 짧으면 얇은 예신도 파악할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님께서 구사하는 스타일에 맞는 낚시를 하도록 여러가지 채비중 하나를 택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저는목줄(합사&모노) 를 8센티에서 12센티정도 합니다
이정도면 떡밥이든 대물이든 무난 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름과가을은 활성도가 좋다면 8Cm 정도 무난합니다
목줄 길이는 바늘 길이는 제외한 길이를 말합니다
찌맛을 제대로 보는듯합니다...
대신 침수수초가 있는 곳에선 제대로 내려가지는 않는듯...(8~9호 봉돌 쓰는데)
8~10cm 정도가 좋을듯한데...
써보지는 못해서...????
별의별것 다만들어 사용해 봤습니다 목줄 길이가길면 바늘하고 목줄이 잘엉킵니다
입질시 타이밍도 정확하고 꼭한번 실행해보시고 사용후기 올려주세요